$\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노각나무(Stewartia koreana Nakai)의 cDNA library 제작 및 EST 분석
Construction of a Full-length cDNA Library from Korean Stewartia (Stewartia koreana Nakai) and Characterization of EST Dataset 원문보기

원예과학기술지 = Korean journal of hort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v.29 no.2, 2011년, pp.116 - 122  

임수빈 (충남대학교 원예학과) ,  김준기 (충남대학교 원예학과) ,  최영인 (충남대학교 원예학과) ,  최선희 (충남대학교 원예학과) ,  권혜진 (충남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송호경 (충남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임용표 (충남대학교 원예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지리산에서 자생하는 한국 특산종인 노각나무(Stewartia koreana Nakai)의 EST library를 제작하고 서열을 분석하였다. 노각나무의 유엽을 재료로 cDNA library 만들었고 1,392개의 cDNA에 대한 부분 서열 분석을 진행하였다. EST와 unigene 서열의 분석은 컴퓨터를 기반으로한 filtering과 수작업 그리고 NCBI의 BLAST 분석을 통해 수행하였다. 벡터 서열과 100bp 이하의 서열을 제거한 후 1,301개의 EST를 분석하였다. 전체 150개의 contig와 743개의 singleton을 분리하여 총 893개의 unigene을 분리해냈으며 서열 분석을 통해 95개의 microsatellite를 확인하였다. NCBI 데이터베이스의 BLASTX로 상동성을 검색한 결과 EST의 65%는 기능을 알고 있는 유전자와 11.6%의 EST는 아직까지 기능이 보고되지 않은 유전자와 높은 상동성을 보였다. 남아 있는 23.2%의 EST는 기존에 데이터베이스에 보고된 유전자와 상동성을 보이지 않는 유전자로 밝혀졌다. 다양한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한 유사성 기반 기능 분석은 노각나무의 EST가 포도나무와 포플러와 높은 유사성을 보인 것을 확인하였다. 기능에 따른 분류에 있어 molecular function은 nucleotide binding, biological process는 transport, cellular component는 plastid가 가장 높은 비율로 나왔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EST 자료는 노각나무의 새로운 유전자원에 대한 연구의 기본 자료로 유용하게 활용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report the generation and analysis of 1,392 expressed sequence tags (ESTs) from Korean Stewartia (Stewartia koreana Nakai). A cDNA library was generated from the young leaf tissue and a total of 1,392 cDNA were partially sequenced. EST and unigene sequence quality were determined b...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지리산에서 자생하는 노각나무의 유엽 조직의 EST library를 제작하여 전체 1,301개의 EST clone을 분석하였다. 전체 150개의 contig와 743개의 singleton을 분리 하여 총 893개의 unigene을 분리해 냈으며 EST 서열분석을 통해 총 95개의 microsatellite를 분리해 냈다.
  • 또한 생물 다양성 협약을 통해 유전자원의 다양성이 하나의 유형으로 분류되었고 유전자원의 이용에 의해 발생하는 이익배분에 대한 협약이 이루어짐에 따라 생물체 자체를 하나의 자원으로 보는 경향이 강해지기 시작했다. 본 논문은 지리산에 자생하는 국내 특산 수종인 노각나무의 유전자원을 발굴 분석하여 국내자생식물의 유전자원 확보의 일환으로 진행되었다.
  • 본 연구에서는 지리산에서 자생하는 한국 특산종인 노각나무(Stewartia koreana Nakai)의 EST library를 제작하고 서열을 분석하였다. 노각나무의 유엽을 재료로 cDNA library 만들었고 1,392개의 cDNA에 대한 부분 서열 분석을 진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노각나무(Stewartia koreana Nakai ex Rehder) 특산종이 가로수, 공원수 및 정원수로 사용 빈도가 높은 이유는? , 1992), 내한성이 강해 중부이남에서도 생육이 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공해에 강하고 수피를 비롯한 외형의 관상적 가치가 높아 가로수, 공원수 및 정원수로 사용 빈도가 높다(Dirr, 1991; Spongberg and Fordham, 1975). 그러나 노각나무의 경제적 가치가 높음에도 국내보급은 낮은 실정이며 이는 삽목의 성공률이 낮고 종자의 이중휴면으로 인해 발아에 걸리는 시간이 2년 이상 소요되어 실생번식의 효율이 낮기때문이다(Shim et al.
노각나무의 분류학적 소속은? 차나무과(Theaceae)의 노각나무속(Stewartia)에 속하는 노각나무(Stewartia L.)는 전세계적으로 30종이 중국, 일본, 미국 그리고 한국에 분포한다(Stevens et al.
노각나무의 분포지역은? 차나무과(Theaceae)의 노각나무속(Stewartia)에 속하는 노각나무(Stewartia L.)는 전세계적으로 30종이 중국, 일본, 미국 그리고 한국에 분포한다(Stevens et al., 200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Anterola, A.M. and N.G. Lewis. 2002. Trends in lignin modification: a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effects of genetic manipulations/mutations on lignification and vascular intergrity. Phytochemistry 61:221-294. 

  2. Chang, C.S., H. Kim, and Y.S. Kim. 2001. Reconstruction of rare and endangered plant species in Korea based on the IUCN red list categories. Korean J. PI. Taxon. 31:107-142. 

  3. Chang, S., J. Puryear, and J, Cairney. 1993. A simple and efficient method for isolating RNA from pine trees. Plant Mol. Biol. Rep. 11:113-116. 

  4. Choi, Y.H., S.S. Han, H.O. Lee, and S.H. Baek. 2005. Biological activity of bioactive components from Acer ginnala max. Bull. Korean Chem. Soc. 26:1450-1452. 

  5. Conesa, A., S. Gotz, J.M. Garcia-Gomez, J. Terol, M. Talon, and M. Robles. 2005. Blast2GO: a universal tool for annotation, visualization and analysis in functional genomics research. Bioinformatics 21:3674-3676. 

  6. Dirr, M.A. 1990. Manual of woody landscape plants. 4th. ed. p. 1007. Stipes Publishing company Ilinois. 

  7. Dirr, M.A. 1991. It's time to bring Stewartia out of the garden closet. Nursery Manager 10:27-30. 

  8. Durand, J., B. Catherine, E. Chancerel, J.-M. Frigerio, G. Vendramin, F. Sebastiani, A. Buonamici, O. Gailing, H.-P. Koelewijn, F. Villani, C. Mattioni, M. Cherubini, P. G. Goicoechea, A. Herran, Z. Ikaran, C. Cabane, S. Ueno, F. Alberto, P.-Y. Dumoulin, E. Guichoux, A. Daruvar, A. Kremer, and C. Plomion. 2010. A fast and cost-effective approach to develop and map ESTSSR markers: oak as a case study. BM Genomics 11:570. 

  9. Eom, I.Y., H.H. Kim, S.M. Lee, Y.S. Yi, and J.W. Choi. 2010. Characterization of chemical composition in Poplar wood (Populus deltoids) by suppression of CCoAOMT gene expression. Mokchae Konghak 38:213-222. 

  10. Han, S.S., S.C. Lo, Y. Choi, J.H. Kim, and S.H. Baek. 2003. Antioxidant activity of crude extract and pure compounds of Acer ginnala Max. Bull Korean Chem. Soc. 25:389-391. 

  11. ISUN. 2001. The ISUN red list catagoris (Version 3.1). ISUN Species Survival Commission. Gland. Switzerland. 

  12. Kantety, R.V., M. La Rota, D.E. Matthews, and M.E, Sorrells. 2002. Data mining for simple sequence repeats in expressed sequence tags from barley, maize, rice, sorghum and wheat. Plant Mol. Biol. 48:501-510. 

  13. Kim, Y., H.Y. Min, H.J. Park, E.J. Lee, E.J. Park, H.J. Hwang, C. Jin, Y.S. Lee, and S.K. Lee. 2004. Suppressive effects of nitric oxide production and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NOS) gene expression by Calystegia soldanella methanol extract on lipopolysaccharide-activated RAW 264.7 cells. Eur. J. Cancer Prev. 13:419-424. 

  14. Kwon, H. and H. Song. 2008. Vegetation structures and ecological properties of Sterwartia koreana community. Jour. Korean For. Soc. 97:296-304. 

  15. Kwon, H., H., Song, and M. Kim. 2008. Taxonomic review of the Stewartia koreana Nakai ex Rehder (Theaceae). Korean J. PI. Taxon. 38:233-250. 

  16. Li, J. 1996. A systematic study on the genera Stewartia and Hartia (Theaceae). Acta Phytotaxonnmica Sinica 34:48-67. 

  17. Min, B.S., K.H. Bae, Y.H. Kim, H. Miyashiro, M. Hattori, and K. Shimotohno. 1999. Screening of Korean plants against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type 1 protease. Phytother. Res. 13:680-682. 

  18. Okayama, H. and P. Berg. 1982. High efficiency cloning of fulllength cDNA. Mol. Cell Biol. 2:161-170. 

  19. Peng, F.Y., K.E. Reida, N. Liaob, J. Schlossera, D. Lijavetzkyc, R. Holtb, J.M.M. Zapaterc, S. Jonesb, M. Marrab, J. Bohlmannd, and S.T. Lund. 2007. Generation of ESTs in Vitis vinifera wine grape (Cabernet Sauvignon) and table grape (Muscat Hamburg) and discovery of new candidate genes with potential roles in berry development. Gene 402:40-50. 

  20. Prince, L.M. and C.R. Parks. 2001. Phylogenetic relationships of Theaceae inferred from chloroplast DNA sequence data. Am. J. Bot. 88:2309-2320. 

  21. Shim, K.K., B.K. Seo, K.W. Lee, K.W. Cho, and S.C. Shim. 1992. Study on the Korean native Stewartia (Stewartia koreana) I. Study on the native distribution of Korean Stewartia (Stewartia koreana) in Mt. Sobaek. J. Kor. Soc. Hort. Sci. 33:413-424. 

  22. Shim, K.K., B.K. Seo, K.W. Cho, and S.C. Shim. 1993. Study on the Korean native Stewartia (Stewartia koreana) II. Seed germination and softwood cutting of Korean Stewartia (Stewartia koreana) in Mt. Sobaek. J. Kor. Soc. Hort. Sci. 34:160-166. 

  23. Son, S.G., Y.J. Cho, and H.K. Moon. 2004. Effects of BA and NAA on adventitious shoot formation from mature zygotic of Stewartia koreana Nakai. Korean J. Plant. Res. 17:272-277. 

  24. Spongberg, A.S. and A.J. Fordham. 1975. Stewartias-small trees and shrubs for all seasons. Arnoldia 35:165-180. 

  25. Stevens, P.F., S. Dressler, and A.L. Weitzman. 2004. Theaceae. In The Families and Genera of Vascular Plants, p. 463-471. VI. Kubitzki, K. (ed.), Springer. 

  26. Struve, D.K., B.A. Oleksak, T. Kawahara, and A. Kanazashi. 1999. Germination of Japanese Stewartia seeds: The effects of warm and cold stratification. J. Envt. Horticul. 17:197-202. 

  27. Temnykh, S., W.D. Park, N. Ayers, S. Cartinhour, N. Hauck, L. Lipovich, Y.G. Cho, T. Ishii, and S.R. McCouch. 1999. Mapping and genome organization of microsatellites in rice (Oryza sativa). Theor. Appl. Genet. 100:697-712. 

  28. Yang, B.H., S.D. Han, Y.B. Koo, and Y.G. Park. 2006. Genetic variation in the natural populations of Korean Stewartia (Stewartia koreana Nakai) based on I-SSR analysis. Korean J. Plant Res. 19:189-19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