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야관문 잎 페놀 추출물의 항산화능 및 미백 효과

Effect of Phenolic Extract of Dry Leaves of Lespedeza cuneata G. Don on Antioxidant Capacity and Tyrosinase Inhibition

원예과학기술지 = Korean journal of hort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v.29 no.4, 2011년, pp.358 - 365  

조은정 (경희대학교 식품공학과) ,  주현미 (경희대학교 식품공학과) ,  정창호 (경희대학교 식품공학과) ,  엄석현 (경희대학교 원예생명공학과) ,  허호진 (경상대학교 식품공학과) ,  김대옥 (경희대학교 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야관문은 당뇨병, 설사, 여러 염증성 질병의 치료에 널리 이용되어진 약초로서 아시아 지역에서 흔히 자라는 식물이다. 야관문의 총페놀 함량, 총플라보노이드 함량, 항산화능과 tyrosinase 활성 저해능 평가를 통한 미백효능을 연구하고자 80%(v/v) 수용성 메탄올을 이용한 페놀 추출물과 이 추출물로부터 극성이 서로 다른 5개 분획층(n-hexane, chloroform, ethyl acetate, n-butanol, 물)의 기능성을 평가하고자 총페놀 함량과 총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측정하였고, 아울러 항산화능을 ABTS와 DPPH radical 소거능을 이용하여 정량 평가하였다. 건조 야관문 잎 1g의 추출물은 총페놀 함량이 199.4mg GAE, 총플라보노이드 함량이 60.4mg CE, 항산화능은 416.6mg VCE(ABTS 분석)와 366.8mg VCE(DPPH 분석)을 보였다. 극성이 서로 다른 5개의 분획층에서 ethyl acetate 분획층이 총페놀 함량(240.8mg GAE), 총플라보노이드 함량(90.4mg CE), 그리고 항산화능(523.4mg VCE(ABTS 분석), 329.5mg VCE(DPPH 분석))에서 유의적으로 가장 높은 수준을 가졌다. 멜라닌 생성 초기 단계에서 가역적 산화반응에 관여하는 tyrosinase 활성 억제능을 평가하는 미백 실험에서는 야관문 페놀 추출물과 chloroform 분획층이 tyrosinase를 효과적으로 억제하였다. 본 연구는 야관문에 생리활성을 부여하는 페놀성 화합물의 항산화능 및 미백효과에 관한 기본적인 정보를 제공함과 아울러 기능성 소재로서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였다는데 큰 의미가 있겠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Lespedeza cuneata G. Don is a plant commonly grown in Asian countries, which has been widely used as an oriental medicinal herb to treat diabetes, diarrhea and various other inflammatory diseases. The phenolics of dry leaves of L. cuneata G. Don were extracted by using 80% (v/v) aqueous methanol in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Tyrosinase는 멜라닌 합성 과정의 초기 단계에 관여하는 중요한 효소로서, 산화적 hydroxylation 반응을 통해 기질인 L-tyrosine을 L-DOPA로 만들고, 이어서 L-DOPA를 L-DOPA quinone으로 산화시키는 역할을 한다(Kim and Uyama, 2005).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야관문의 추출물과 각 분획층에 존재하는 생리활성 물질의 미백효능을 평가하고자, tyrosinase의 기질인 L-tyrosine과 L-DOPA를 이용하여 멜라닌 생성과정의 초기 단계인 가역적 산화반응에 대한 억제능을 측정하였고 그 결과는 Fig. 3과 같다. 페놀 추출물과 각 분획층들이 L-tyrosine에 hydroxylation을 시키는 tyrosinase의 활성 저해능 측정시, 야관문의 페놀 추출물은 300μg‧mL-1의 농도에서 48.
  • 그러나, 풍부한 천연생물자원으로서 다양한 약리작용과 더불어 여러 생리활성물질을 함유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야관문의 효능에 관한 구체적인 연구는 여전히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생약제로 사용되고 있는 야관문의 추출물 및 분획층을 이용하여 총페놀 함량, 총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항산화능을 정량분석하고, tyrosinase 활성 억제능을 비교 평가하여 야관문의 기능성 식품소재로서의 가치를 확인하고, 미백소재로서의 가능성을 평가하고자 하는 것이다.
  • 멜라닌 생성 초기 단계에서 가역적 산화반응에 관여하는 tyrosinase 활성 억제능을 평가하는 미백 실험에서는 야관문 페놀 추출물과 chloroform 분획층이 tyrosinase를 효과적으로 억제하였다. 본 연구는 야관문에 생리활성을 부여하는 페놀성 화합물의 항산화능 및 미백효과에 관한 기본적인 정보를 제공함과 아울러 기능성 소재로서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였다는데 큰 의미가 있겠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멜라닌의 생합성 기작은 어떠한가? 또한, 식품산업에서는 페놀성 화합물(phenolic phytochemicals)을 함유한 과채류와 이들의 가공 식품인 음료 등에서 바람직하지 못한 효소적 갈변화 반응을 일으켜 상품의 가치 하락과 영양학적인 손실을 초래하기도 한다(Kim and Uyama, 2005). 멜라닌의 생합성은 tyrosinase에 의해 기질인 tyrosine을 L-3, 4-dihydroxyphenylalanine(L-DOPA)으로, 이어서 L-DOPA를 L-DOPA quinone으로 전환되는 것으로 시작하여, 이후 일련의 다양한 산화적 중합 반응을 거친 뒤 멜라닌이 형성된다. Tyrosinase에 의해 tyrosine에서 L-DOPA로 대사되는 가역적 산화 반응 과정이 멜라닌 합성의 초기속도결정 단계이며, tyrosinase 외에도 tyrosinase related protein-1(TRP-1), TRP-2와 같은 단백질이 멜라닌 생성에 관여한다.
멜라닌의 순기능은 무엇인가? 피부와 머리카락의 색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인 멜라닌은 UV광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Riley, 1997). 하지만 멜라닌의 과도한 형성은 기미, 주근깨와 같은 색소침착 등 균일하지 못한 피부색을 띄게 하고, 피부암과 같은 질병과 주름 발생과 같은 노화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야관문의 이명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 2008). 우리 말로는 ‘비수리’라고 하며 절엽철소추(截葉鐵掃帚), 삼엽초(三葉草), 야계초(野鷄草) 등의 여러 가지 이름으로 불려진다. 지상부는 한약명으로 야관문(夜關門)이라 하는데(Kwon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hn, D.K. 1998. Illustrated book of Korean medicinal herbs. Kyohaksa Publishing Co., Ltd., Seoul, Korea. 

  2. Boissy, R.E. and P. Manga. 2004. On the etiology of contact/occupational vitiligo. Pigment Cell Res. 17:208-214. 

  3. Brand-Williams, W., M.E. Cuvelier, and C. Berset. 1995. Use of a free radical method to evaluate antioxidant activity. LWT-Food Sci. Technol. 28:25-30. 

  4. Chan, E.W.C., Y.Y. Lim, L.F. Wong, F.S. Lianto, S.K. Wong, K.K. Lim, C.E. Joe, and T.Y. Lim. 2008. Antioxidant and tyrosinase inhibition properties of leaves and rhizomes of ginger species. Food Chem. 109:477-483. 

  5. Chung, Y.-H. and C.-H. Lim. 2005. Bioactivity of an extract of Lespedezea cuneata G. Don to rabbit corpus cavernosum smooth muscle tone. J. Agric. Sci. 32:63-70. 

  6. Deng, F., J. Chang, and J.-S. Zhang. 2007. New flavonoids and other constituents from Lespedeza cuneata. J. Asian Nat. Prod. Res. 9:655-658. 

  7. Ding, J.-L., I.-J. Lim, H.-D. Lee, and W.-S. Cha. 2006. Analysis of minerals, amino acids and vitamin of Lespedeza cuneata. Kor. J. Biotechnol. Bioeng. 21:414-417. 

  8. Huang, K.C. 1993. The Pharmacology of Chinese Herbs. CRC Press, LLC, Boca Raton, Florida, USA. 

  9. Kim, D.-O., S.W. Jeong, and C.Y. Lee. 2003. Antioxidant capacity of phenolic phytochemicals from various cultivars of plums. Food Chem. 81:321-326. 

  10. Kim, D.-O. and C.Y. Lee. 2002. Extraction and isolation of polyphenolics. p. I1.2.1-I1.2.12. In: R.E. Wrolstad (ed.). Current Protocols in Food Analytical Chemistry. John Wiley & Sons, Inc., New York, USA. 

  11. Kim, D.-O. and C.Y. Lee. 2004. Comprehensive study of vitamin C equivalent antioxidant capacity (VCEAC) of various polyphenolics in scavenging a free radical and its structural relationship. Crit. Rev. Food Sci. Nutr. 44:253-273. 

  12. Kim, J.-S. and M.-J. Kim. 2010. In vitro antioxidant activity of Lespedeza cuneata methanolic extracts. J. Med. Plant. Res. 4:674-679. 

  13. Kim, S.-J. and D.-W. Kim. 2007. Antioxidative activity of hot water and ethanol extracts of Lespedeza cuneata seeds. Kor. J. Food Preserv. 14:332-335. 

  14. Kim, Y.-J. and H. Uyama. 2005. Tyrosinase inhibitors from natural and synthetic sources: Structure, inhibition mechanism and perspective for the future. Cell. Mol. Life Sci. 62:1707-1723. 

  15. Kim, Y.H. and S.N. Ryu. 2008. Antioxidant activity of methanol extract from aerial parts in Lespedeza cuneata G. Don. Kor. J. Crop Sci. 53:121-123. 

  16. Kwon, D.-J. and Y.-S. Bae. 2009. Flavonoids from the aerial parts of Lespedeza cuneata. Biochem. Syst. Ecol. 37:46-48. 

  17. Kwon, D.-J., J.-K. Kim, Y.-H. Ham, and Y.-S. Bae. 2007. Flavone glycosides from the aerial parts of Lespedeza cuneata G. Don. J. Kor. Soc. Appl. Biol. Chem. 50:344-347. 

  18. Mason, H.S. and E.W. Peterson. 1965. Melanoproteins I. Reactions between enzyme-generated quinones and amino acids. Biochim. Biophys. Acta 111:134-146. 

  19. Matsuura, S., M. Iinuma, E. Ito, H. Takami, and K. Kagei. 1978. Studies on the constituents of the useful plants. VIII. The constituents of Lespedeza cuneata G. Don. Yakugaku Zasshi 98:1542-1544. 

  20. Numata, A., K. Hokimoto, and H. Yamaguchi. 1980. C-Glycosylflavones in Lespedeza cuneata. Chem. Pharm. Bull. 28:964-965. 

  21. Parvez, S., M. Kang, H.-S. Chung, C. Cho, M.-C. Hong, M.-K. Shin, and H. Bae. 2006. Survey and mechanism of skin depigmenting and lightening agents. Phytother. Res. 20:921-934. 

  22. Riley, P.A. 1997. Melanin. Int. J. Biochem. Cell Biol. 29:1235-1239. 

  23. Siddiqui, I.A., F. Afaq, V.M. Adhami, N. Ahmad, and H. Mukhtar. 2004. Antioxidants of the beverage tea in promotion of human health. Antioxid. Redox Signal. 6:571-582. 

  24. Singleton, V.L. and J.A. Rossi, Jr. 1965. Colorimetry of total phenolics with phosphomolybdic-phosphotungstic acid reagents. Amer. J. Enol. Vitic. 16:144-158. 

  25. Sugumaran, M. 2002. Comparative biochemistry of eumelanogenesis and the protective roles of phenoloxidase and melanin in insects. Pigment Cell Res. 15:2-9. 

  26. Szeto, Y.-T. and I.F.F. Benzie. 2002. Effects of dietary antioxidants on human DNA ex vivo. Free Radic. Res. 36:113-118. 

  27. Vinson, J.A., Y.A. Dabbagh, M.M. Serry, and J. Jang. 1995. Plant flavonoids, especially tea flavonols, are powerful antioxidants using an in vitro oxidation model for heart disease. J. Agric. Food Chem. 43:2800-2802. 

  28. Wang, C., B. Zhou, and H.L. Palm. 2008. Detecting invasive sericea Lespedeza (Lespedeza cuneata) in mid-Missouri pastureland using hyperspectral imagery. Environ. Manage 41:853-862. 

  29. Wang, K.-H., R.-D. Lin, F.-L. Hsu, Y.-H. Huang, H.-C. Chang, C.-Y. Huang, and M.-H. Lee. 2006. Cosmetic applications of selected traditional Chinese herbal medicines. J. Ethnopharmacol. 106:353-359. 

  30. Zhishen, J., T. Mengcheng, and W. Jianming. 1999. The determination of flavonoid contents in mulberry and their scavenging effects on superoxide radicals. Food Chem. 64:555-55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