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군 급식소의 이용실태 및 만족도 조사
Measuring Attitudes and Satisfaction Level towards Military Foodservice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0 no.7, 2011년, pp.1032 - 1042  

강보경 (충북대학교 교육대학원) ,  이영은 (충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군장병과 급양관을 대상으로 군 급식에 대한 이용실태, 인식 및 급식품질에 대한 중요도 및 수행도와 전반적인 만족도를 분석함으로써 향후 군 급식의 질 향상에 기초가 되는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조사대상 군장병의 계급은 일병 32.6%, 상병 116명 29.3%, 병장 22.5%이었고, 연령은 20~25세 미만이 96.0%로 가장 많았으며 학력은 대부분(84.6%)이 대학 재학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대상 급양관 중 남성이 92.3%, 여성은 1명 7.7%이었고 조사대상군 급식소는 직영으로 운영되고 있었으며, 조사대상 급양관은 영양사 자격증을 소유하고 있지 않았다. 식단계획은 지역 급식회의를 통해 메뉴선정이 되었고 군급식소의 배식방법은 부분적 자율배식을 실시하는 곳이 53.8%, 자율배식을 실시하는 곳이 38.5%이었으며, 메뉴작성 주기는 한 달에 1번작성하는 곳이 69.2%이었다. 조사대상 군장병의 식사시간은 10~20분 이내가 58.3%로 나타났고, 잔반이 많은 끼니는 아침(62.4%)이, 많이 남기는 잔반으로는 국(66.9%)과 반찬(20.2%)으로 나타났다. 급양관 대상 군 급식 운영에 대한 의견 조사 결과 급식 운영 시 어려운 사항으로 급식시설의 부족 및 노후화(28.6%)가 가장 높은 응답률이었고, 취사병수의 부족(14.3%), 숙달된 취사병 부족(10.7%) 등이 있었다. 취사병관련 개선사항에 대해 작업량에 적절한 취사병 수의 배치(46.2%)가 가장 높은 응답률이었고 작업 활동의 능률성향상(30.8%)과 취사병의 청결한 복장 및 외모(23.1%) 등이 있었다. 군장병의 급식의 질 향상을 위한 고려사항으로는 음식의 맛이 40.6%, 배식량 증가가 30.4%, 위생상태 개선 13.6% 등이 요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군장병이 군 급식으로 선호하는 조리법은 볶음류(45.7%)와 튀김류(25.8%)였으며, 선호하는 식재료의 종류로는 육류(78.5%)가 가장 높은 응답률이었다. 식단에 대한 희망사항으로는 양식메뉴의 증가(25.7%), 한식메뉴의 증가(21.5%)로 나타나 식단메뉴의 다양화를 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군 급식의 39개 속성의 품질특성과 이를 구분한 5개 영역으로 군 급식에서 제공되는 급식의 품질특성에 대한 중요도와 수행도를 평가한 결과 속성과 영역 모두에서 중요도가 수행도보다 높게 평가되어 모든 품질에 대해 개선이 요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요도 점수가 가장 높은 속성은 위생영역의 음식위생(평균 4.59점)이었고, 음식영역의 '음식의 외관'이 평균 3.70점으로 가장 낮았다. 수행도 점수가 가장 높은 속성은 시설영역의 '식단의 사전 공지'(평균 4.09점)이었고, 메뉴영역의 '다양한 메뉴'가 평균 3.28점으로 가장 낮았다. 또한 '음식의 신선도', '음식의 간', '냉 난방의 적절성', '음식의 맛', '환기'로 중요하다고 판단되지만 잘 수행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인 만족도는 평균 3.43점(5점 만점)으로 보통 수준의 만족도 점수를 나타냈다. 따라서 음식의 맛 개선, 메뉴관리의 체계화, 위생관리 향상 등을 통한 군 급식의 질적 향상을 위해 전문적인 지식과 자격을 갖춘 영양관리직 군무원의 인력배치가 요구된다. 또한, 식단의 조리법을 다양화하고 음식의 맛 향상과 조리시간 단축을 위해 급식 시설부족 및 노후화의 개선이 요구되며, 중요하게 생각하지만 군대 급식소에 의해 잘 수행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고 전반적인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음식의 맛' 속성 질적 개선을 위해 식단의 질적 개선이 요구된다. 또한 군 급식비는 국방부 전체 예산의 4.3%로 타 예산 항목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ttitudes and satisfaction level towards military foodservices as well as suggest effective ways to increase foodservice quality. A questionnaire survey was administered to 413 subjects, which included 400 soldiers and 13 foodservice managers. The survey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군 급식은 영리를 목적으로 하지 않고 특정 다수인 군장병에게 지속적으로 식사를 제공하는 단체급식(1)으로 급식대상자의 특징과 식재료의 공급, 조리인력의 배치와 시설, 설비면을 고려할 때 다른 단체급식 유형과는 차별화된다(2). 군 급식의 목적은 피급식자인 군장병에게 적절한 급식을 제공함으로써 바람직한 식습관을 형성하고 개인의 건강, 체력 및 사기를 유지할 수 있도록 도와주며 전투력을 최대로 발휘하도록 하여 국민의 재산과 생명을 보호하며 국민건강 향상에 기여하고자 함이다(3).
  • 본 연구는 군장병과 급양관을 대상으로 군 급식에 대한 이용실태, 인식 및 급식품질에 대한 중요도 및 수행도와 전반적인 만족도를 분석함으로써 향후 군 급식의 질 향상에 기초가 되는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조사대상 군장병의 계급은 일병 32.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급식을 담당하고 있는 급양관리관인 급양관 및 군장병을 대상으로 군 급식의 운영현황, 군장병의 군 급식 이용실태 및 급식 품질특성에 대해 중요하다고 인식되는 정도(중요도) 및 실제 제공된 급식 품질에 대한 평가(수행도)와 만족도를 분석함으로써 효율적인 급식품질 향상 방안 마련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군 급식은 무엇인가? 군 급식은 영리를 목적으로 하지 않고 특정 다수인 군장병에게 지속적으로 식사를 제공하는 단체급식(1)으로 급식대상자의 특징과 식재료의 공급, 조리인력의 배치와 시설, 설비면을 고려할 때 다른 단체급식 유형과는 차별화된다(2). 군 급식의 목적은 피급식자인 군장병에게 적절한 급식을 제공함으로써 바람직한 식습관을 형성하고 개인의 건강, 체력 및 사기를 유지할 수 있도록 도와주며 전투력을 최대로 발휘하도록 하여 국민의 재산과 생명을 보호하며 국민건강 향상에 기여하고자 함이다(3).
군 급식의 목적은 무엇인가? 군 급식은 영리를 목적으로 하지 않고 특정 다수인 군장병에게 지속적으로 식사를 제공하는 단체급식(1)으로 급식대상자의 특징과 식재료의 공급, 조리인력의 배치와 시설, 설비면을 고려할 때 다른 단체급식 유형과는 차별화된다(2). 군 급식의 목적은 피급식자인 군장병에게 적절한 급식을 제공함으로써 바람직한 식습관을 형성하고 개인의 건강, 체력 및 사기를 유지할 수 있도록 도와주며 전투력을 최대로 발휘하도록 하여 국민의 재산과 생명을 보호하며 국민건강 향상에 기여하고자 함이다(3).
군 급식소 이용실태 조사 결과 아침에 잔반이 많은 이유는? 2%)으로 나타났다. 중․고등학생의 식습관 조사(44,45)에 따르면 학년이 높아질수록 아침식사를 가볍게 하거나 결식 비율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군장병은 군에서 규칙적인 생활이 식습관으로 이어져 결식은 하지 않지만 그동안의 습관화된 아침 결식의 영향으로 아침식사에 잔반이 많은 것으로 사료된다. 잔반은 음식에 대한 수응도를 측정할 수 있는 하나의 지표(1)로 잔반량이 많다는 것은 수응도가 낮다는 것이므로 개선을 위해 다양화하고 기호도가 고려된 레시피 개발이 요구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7)

  1. Yang IS, Lee BS, Cha JA, Han KS, Chae IS, Lee JM. 2003. Institutional foodservice management. Kyomunsa, Seoul, Korea. p 3-20. 

  2. Lee YM, Lee WJ, Min SH. 2003. A study on seafood dishes in military standard menu. Korean J Food Culture 18: 261-269. 

  3.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2004. Ethics of military forces. p 2-11. 

  4. Office of Munitions Staff on Goods. 1993. The development history of military foodservice. p 5-9. 

  5. Army Headquarters Quarters of Munitions. 2007. Guideline for foodservice operation. p 1-3. 

  6. Kim YH. 1993. The study on quality improvement of military foodservices. MS Thesis. Korea National Defense University, Seoul, Korea. p 30-35. 

  7. Procurement Headquarters,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1994. The development history of procurement in military forces. p 1-7. 

  8. Kim MY. 2007. Study on foodservice outsourcing in army. MS Thesis. Dankook University, Seoul, Korea. p 1-3. 

  9. Lee HS. 2001. Role of dietitians in military foodservices. Nutrition and Dietetics 12: 12-14. 

  10. Park CR, Lee SH, Kim YH, Kim AJ, Back JE, Bae HJ. 2007. Institutional foodservice management. Kwangmoonkag, Seoul, Korea. p 11-20. 

  11. Kwak DK. 1996. Quality management in foodservice industry. Nutrition and Dietetics 166: 18-23. 

  12. Seo DJ. 2004. Quality improvement proposition through menu preference survey and reviews of transition in Korean military food services. M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Korea. p 25-30. 

  13. Moon SJ, Sohn KH, Yang IS, Sohn CY, Kim DY. 1991. Development in computer program for standardized quantitative recipes in military services. Korean J Culinary Research 7: 61-68. 

  14. Task force team on military foodservice improvement. 2004. The study on military foodservice improvement. p 7-21. 

  15. Kotler P, Bowen JT, Makeus JC. 2007. Marketing for hospitality and tourism. Prentice Hall, Upper Saddle River, NJ, USA. p 37-42. 

  16. Yeo WS, Lee YH. 2006. Factors related to foodservice satisfaction in military foodservice. J Korean Diet Assoc 12: 1-9. 

  17. Symington LEG. 1987. Satisfaction and consideration in foodservice standards in resorts. ACBI Book, New York, NY, USA. p 49-66. 

  18. Jo SH. 1996. Study on quality improvement of military foodservice. MS Thesis. Korea National Defense University, Seoul, Korea. p 10-12. 

  19. Yeo WS. 2004. Study of menu variety in military foodservice. Korean J Culinary Research 10: 140-152. 

  20. Kim SJ. 2002. Perception of service quality of military foodservice of new generation military personnels. M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p 4-6. 

  21. Lee JY. 2006. Development of the sanitation evaluation tool through researching of management practice at the military foodservice. M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p 4-8. 

  22. Yang IS. 1996. Foodservice strategies and competitive improvement. Symposium of the Korean Dietetic Association (3rd). p 117. 

  23. Park DW. 1999. Study on service quality of military meals. MS Thesis. Dongkuk University, Seoul, Korea. p 5-10. 

  24. Yeo WS. 2003. Study on satisfaction level of military foodservice. MS Thesis. Kyunggi University, Gyeonggi, Korea. p 3-40. 

  25. Kang IM. 2006. Satisfaction for military foodservice system of Korean soldiers in Iraq. MS Thesis. Dankook University, Seoul, Korea. p 5-10. 

  26. Lee JD. 1994. Study on effective meal service in military. MS Thesis. Kookmin University, Seoul, Korea. p 4-10. 

  27. Lee SJ. 1996. Study on quality improvement of military foodservice. MS Thesis. Korea National Defense University, Seoul, Korea. p 2-30. 

  28. Park BY. 1997. Study on operation and improvement of military foodservice. MS Thesis. Suwon University, Gyeonggi, Korea. p 5-10. 

  29. Han YS. 1998. Study on improvement of military foodservice. MS Thesis. Andong University, Gyeongbuk, Korea. p 3-20. 

  30. Hong SG. 1999. Stduy on improvement of military foodservice system. MS Thesis. Daejeon University, Daejeon, Korea. p 25-30. 

  31. Choi YJ. 2003. A study on the military rationing policy for improving combat power. MS Thesis. Sungkyunkwan University, Seoul, Korea. p 4-10. 

  32. Kim YS. 2004. Study on the efficient meal supply system in the Korea military. MS Thesis. Kyunggi University, Gyeonggi, Korea. p 4-10. 

  33. Kang KH. 2004. Study on the efficient meal supply system in Korea military. MS Thesis. Kyunggi University, Gyeonggi, Korea. p 3-40. 

  34. Jeon GI. 2005. Study of improvement on procurement management in military foodservice. MS Thesis. Korea National Defense University, Seoul, Korea. p 3-10. 

  35. Park TH. 2001. Study on satisfaction of military foodservice for naval forces. MS Thesis. Hannam University, Daejeon, Korea. p 20-31. 

  36. Kim SY. 2002. Study on preference of military foodservice for air forces in Cheongju area. MS Thesis. Sookmyung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p 20-23. 

  37. Jung SJ. 2006. A survey of satisfaction and preference for military meal service and food behavior and food habit of some military personnel. MS Thesis. Yosu University, Jeonnam, Korea. p 20-25. 

  38. Sohn GR. 2005. Status of military food service system and satisfaction of soldiers on military food service. MS Thesis. Dankook University, Seoul, Korea. p 43-47. 

  39. Kim KY, Yoe WS. 2003. Study of kitchen and mess hall service in military foodservice. Korean J Culinary Research 10: 1-14. 

  40. Kang KW. 2003. Study of the improvement method of the military meal service support: lay emphasis on manpower management. MS Thesis. Hannam University, Daejeon, Korea. p 3-50. 

  41. Ministry for Health Welfare and Family Affairs. 2008. The law on food sanitation. Korea. 

  42. Army Headquarters Quarters of Munitions. 2006. Guideline for foodservice operation. p 1-5. 

  43. Consolidated Army Logistics School. 2005. Teaching materials on foodservice operation. p 2-15. 

  44. Lee NY. 2004. Investigation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menu preference and nutrient intake for improving nutrition management in school foodservice. M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p 3-20. 

  45. Kang YH. 2003.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systematic web-based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MS Thesis. Yeonsei University, Seoul, Korea. p 5-20. 

  46. Kim ES, Jung BM. 2006. A survey of satisfaction and preference for military meal service and food behaviors and food habits of some military personnel. Korean J Community Nutr 11: 520-533. 

  47. Yang IS, Kang H, Weon C. 2000. Customer perception levels towards service quality attributes of university residence hall foodservice by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Korean J Community Nutr 5: 662-67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