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부 당뇨병 환자의 구강관리 실태와 그 연관요인
Oral care status and its related factor in diabetic patients 원문보기

한국치위생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v.11 no.1, 2011년, pp.81 - 94  

나희자 (고구려대학 치위생과) ,  정의정 (혜전대학 치위생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is study conducted to investigate oral care abilities in diabetic patients to find a good dental method which may efficiently control diabetes. Methods : The diabetic group consisted of 40 patients with type 2 diabetics, while the non-diabetes were 34 persons with no signs of diabeti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당뇨 환자와 비당뇨 환자의 구강관리 실태를 비교하여 구강보건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하고, 구강관리를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구강질환을 가지고 있는 사람 중에서 당뇨 환자와 비당뇨 환자의 구강관리 실태를 비교하여 구강관리 상태를 파악하고, 당뇨 환자에 있어 구강보건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하여 구강관리를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있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정상군을 비교 집단으로 하는 경우에는 구강 관련 질환에 있어 차이를 보일 수 있어 당뇨군과 비교하는 것은 별 의미가 없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진성 구취는 어떻게 분류되는가? 진성 구취는 생리적 구취와 병적인 구취로 분류하는데, 생리적 구취는 기상 시, 공복 시, 월경 시, 임신 중, 흡연 시, 음주 시, 약물섭취 및 음식섭취 후 등으로 구강내 세균의 부패 과정에서 나타나는 증상을 말하며9), 병적인 구취는 설태, 치주염, 치아우식증, 구내염, 불량 보철물 등이 요인이다10).
당뇨 환자가 구강건강관리에 더욱 신경을 써야 하는 이유는? 치주질환을 치료하면 치아가 좋지 못해 잘 섭취하지 못했던 잡곡이나 채소의 섭취가 늘어나 혈당 조절 기능을 향상시켜 당뇨병을 개선할 수 있고, 구강 내 염증을 제거해 면역력이 좋아져 당뇨병에 의한 합병증도 예방 하는 데 도움이 된다. 따라서 당뇨 환자에 있어 구강건강은 일차적으로 중요하기 때문에 더욱 구강건강관리에 신경을 써야 한다.
당뇨병에 걸릴 경우 동반되는 합병증은? 당뇨병의 여러 합병증 중 치주질환은 여섯 번째로 많 으며, 당뇨 환자는 보통 사람보다 치주질환에 걸릴 위험이 3~4배 높다. 당뇨병에 걸리면 우리 몸의 면역 기능을 주도하는 백혈구의 기능이 약해서 구강에도 염증이 쉽게 생기며, 당뇨합병증인 골다공증으로 치아가 빠지는 경우도 흔하다. 치주질환과 당뇨병은 모두 우리나라를 포함해서 전 세계적으로 유병률이 높은 질환이므로두 질환을 관리하고 예방하는 문제는 매우 중요할 뿐만 아니라, 최근 치주질환을 당뇨병의 제6합병증이라고도할 정도로 서로 매우 밀접한 관련성이 있다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Swedberg Y, Noren JG. Analysis of caries status development in relation to socioeconomic variables using a case-based system. Swed Dent 2001;25:81-88. 

  2. 건강보험심사평가원. 2008년 진료비 통계지표. 2008. 

  3. Muacevic-Katanec D, Katanec D, Metelko Z, Juric H. Most common dental and oral diseases in diabetic patients. Diabetologia Croatica 1998;27:1-10. 

  4. 최상희. 당뇨 환자에서 지속적인 구강건강관리의 효과 [석사학위논문]. 경산: 영남대학교 대학원; 2007. 

  5. Shibasaki T. 당뇨병과 치과질환의 관계에 대해서. The Quintessence(한국판) 2000; 5:79. 

  6. Christgau M, Pallitzsch KD, Schmalz G, Kreiner U, Frenzel S. Healing response to non-surgical periodontal therapy in patients with diabetes mellitus: clinical, microbiological, and immunologic results. J Clin Periodontol 1998;25:112-124. 

  7. Bollen CM, Rompen EH, Demanez JP. Halitosis: a multidisciplinary problem. Rev Med Liege 1999;54:32-36. 

  8. Ratcliff R. Current Concepts in the Causes and Treatment of Halitosis. Practical Hygiene 1997;47-50. 

  9. The British Dental Association. Fact file on Bad Breath. 1996;July. 

  10. Tonzetish J. Production and origin of oral malodor, a review of mechanical and methods of analysis. J Periodontol 1977;48:13-20. 

  11. Berg M, Fosdick LS. Studies in periodontal disease. II. Putrefactiveorganisms in the mouth. J Dent Res 1946;25:73-81. 

  12. Howe JW. The breath and the diseases which give it a fetid odor. 4th Ed. NewYork: D. Appleton and Co; 1898. 

  13. McNamara TF, Alexander JF, Lee M. The role of microorganisms in the production of oral malodor. Oral Surg 1972;34:41-48. 

  14. Wale SM. On the transformation of sulfurcontaining amino acids and peptides to volatile sulfur compounds (VSC) in the human mouth. Eur J Oral Sci 1997;Oct(5pt2):534-537. 

  15. Oliver RC, Tervonen T. Periodontitis and tooth loss: comparing diabetics with the general population. JADA 1993:124:71. 

  16. 장기완, 김진범. 구강건강 조사서. 서울: 고문사; 2000:45-65. 

  17. 국민 구강건강 실태 조사. 2006:26-29. 

  18. 임선아. 지역 사회 구강보건 정책제안을 위한 광주 전남 구강보건 실태조사결과 [석사학위논문]. 광주: 조선대학교 대학원; 2000. 

  19. Ervasti T, Knuuttila M, Pobjamo L, Haukipuro K. Relation between control of diabetes and gingival bleeding. J Periodontol 1985;56:154-157. 

  20. McNamara TF, Alexander JF, Lee M. The role of microorganism in the production of oral maloder. Oral Surg Oral Med Pathol 1972;34:41-48. 

  21. Tonzetish J. Production and origin of oral malodor: a review of mechanism and methods of analysis. J Periodontol 1977;48:13-20. 

  22. Yaegaki K, Sanada K. Volatile sulfur compounds in mouth air from clinically healthy subjects and patients with periodontal disease. J Periodont Res 1992;27:233-238. 

  23. Persson S, Edlund MB, Claesson R, Carlsson J. The formation of hydrogen Sulfide and methylmercaptan by oral bacteria. Oral Microbiol Immunol 1990;5:195-201. 

  24. Rosenberg M. Bad breath: diagnosis and treatment. U Toronto Dent J 1990;3:7-11. 

  25. De Boever EH, Loesche WJ. Assessing the contribution of anaerobic microflora of the tongue to oral malodor. J Am Dent Assoc 1995;126(10):1384-1393. 

  26. Rosenberg M, Kulkarni KV. Bosy A and McCulloch CAG. Reproducibility and sensitivity of oral malodor measurements with a portable sulfide monitor. J Dent Res 1991;70:1436-1440. 

  27. 김종배, 백대일, 문혁수 외 11인. 임상예방치과학. 제3판. 서울: 고문사; 2000:31-39. 

  28. Loe H, Silness J. Periodontal disease in pregnancy. I. Prevalence and severity. Acta Odontol Scand 1963;21:531-53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