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체간안정화 운동이 편마비 환자의 족저압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Core Stabilization Exercise on Foot Pressure in Hemiplegic Patients 원문보기

대한물리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hysical medicine, v.6 no.2, 2011년, pp.109 - 118  

임종수 (대구대학교 대학원 재활과학과 물리치료) ,  송주민 (선린대학 물리치료과) ,  김진상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 물리치료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re stabilization exercise on foot pressure in the hemiplegic patients. Methods: A total of 28 subjects(n=28) who were diagnosed with hemiplegic caused by a stroke were randomly divided into bridge exercise(BX, n=14) and crunch ex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지금까지 체간 안정화 운동, 즉 교각운동과 복근운동에 따른 족저압과 보행의 관계에 대한 논의는 매우 미미한 실정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체간 안정화 운동이 편마비 환자의 족저압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여 편마비 환자의 올바른 족저압의 분배를 회복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실질적 자료를 구하고자 실행되었다.
  • 특히 압력중심의 이동은 수직 지면 반응력이 합성된 지점의 변화를 나타내며, 신체중심의 이동궤적을 반영하는 척도로써, 균형 장애의 진단과 치료에 대한 평가의 도구로 활용되고 있다(de Haart 등, 2004). 본 연구에서는 교각운동과 복근운동이 편마비 환자의 보행특성의 향상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를 관찰하기 위하여 27명의 편마비 환자를 대상으로 운동 중재 전, 4주후, 8주후에 Foot-Scan을 이용한 족저압 변화 양상과 압력중심이동의 변화를 비교 연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강양훈. 기능적 전기자극을 이용한 보행훈련이 편마비 환자의 기능 회복에 미치는 영향. 동신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7. 

  2. 김경, 박영한, 배성수. 발 압력 측정계(F-mat과 F-scan) 의 신뢰성과 타당성에 관한 연구. 대한물리치료학회지. 2000;12(2):29-37. 

  3. 김미정, 이수아, 김상규 등. 뇌졸중 환자의 보행 속도에 관한 연구. 대한재활의학회지. 1994;18(6):736-41. 

  4. 김은옥. 교각운동 시 복부 드로잉-인 방법이 요부 전만과 체간 및 하지의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한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8. 

  5. 김택연. 내, 외 복사근과 요방형근에 브리지 운동이 미치는 효과. 용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4. 

  6. 김창영. 체간 안정화 운동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체간 근력, 동적 균형감각 및 보행에 미치는 영향. 삼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8. 

  7. 김효정. 체중이동훈련이 편측 뇌성마비 아동의 족저압 양상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8. 

  8. 문재호, 이한수, 김민영 등. 한국 정상 어린이의 족저압 분포에 대한 연구. 대한재활의학회지. 1997;21(4):755-61. 

  9. 박지원, 남기석, 백미연. 편마비 보행 시 족저압력중심의 이동특성과 동적균형능력의 상관관계 연구.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2005;12(1):11-21. 

  10. 배하석, 박창일, 신지철 등. 취학 전 정상 어린이의 보행 시 족저압 분포 및 족저압 중심의 이동경로 변화. 대한재활의학회지. 2001;25(6):1041-7. 

  11. 염주노. 슬링운동치료와 신경발달치료를 이용한 체간 안정화 운동이 경도 양하지마비 아동의 보행시 족저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8 

  12. 오근배. 뇌졸중환자의 중심 안정성 훈련이 자세조절과 일상생활동작에 미친효과.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5. 

  13. 이봉춘. 인지행동적 집단상담프로그램이 뇌졸중 환자와 가족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경성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7. 

  14. 이재학. 수중치료를 통한 체간 근력 강화 훈련이 뇌성마비 아동의 앉기자세와 하지 근긴장도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7. 

  15. 전호영. 교각운동이 체형의 변화와 족압분포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0. 

  16. 최혜정, 정진욱. 6주간 집중 core stability training이 뇌졸중 환자의 일상활동체력 및 자세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운동과학. 2008;17(4):505-514. 

  17. Brill PW, Couzen GS. The Core Program. 1st ed. New York: Bantam Book. 2002. 

  18. Davies PM. Steps to follow: a guide to the treatment of adult hemiplegia. Berlin. Springer-Verlag. 1985. 

  19. de Haart M, Geurts AC, Huidekoper SC et al. Recovery of standing balance in postacute stroke patients: a rehabilitation cohort study. Arch Phys Med Rehabil. 2004;85(6):866-95. 

  20. Handa N, Yamamoto H, Tani T et al. The effect of trunk muscle exercises in patients over 40 years of age with chroni clow back pain. J Orthop Sci. 2000;5(3):210-6. 

  21. O'Sullivan PB. Lumbar segmental 'instability': clinical presentation and specific stabilizing exercise management. Man Ther. 2000;5(1):2-12. 

  22. O'Sullivan S, Schmitz T. Physical Rehabilitation: Assessment and treatment. Philadelphia. F. A. Davis. 2001:345-79 

  23. O'Sullivan S, Schmitz T. Physical Rehabilitation: Assessment and treatment. Philadelphia. F. A. Davis. 2001:345-79 

  24. Perry J, Burnfield J. Gait analysis: Normal and pathological function. California. SLACK Inc. 2010:3-45. 

  25. Saunders SW, Rath D, Hodges PW. Postural and respiratory activatin of the trunk muscles change with mode and speed of locomation. Gait Posture. 2004;20(3):280-90. 

  26. Standaert CJ, Weinstein SM, Rumpeltes J. Evidenceinformed management of chronic low back pain with lumbar stabilization exercise. Spine J. 2008;8(1):114-20. 

  27. Stevens V, Witvrouw E, Vanderstraeten G et al. The relevance of increasing resistance on trunk muscle activity during seated axial rotation. Physical Therapy in Sports. 2007;8(1):7-13. 

  28. Stevens VK, Coorevits PL, Bouche KG et al. The influence of specific training on trunk muscle recruitment patterns in healthy subjects during stabilization exercise. Man Ther. 2007;12(3):271-9. 

  29. Urquhart DM, Hodges PW, Allen TJ et al. Abdominal muscle recruitment during a range of voluntary exercises. Man Ther. 2005;10(2):144-5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