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추출 용매에 따른 인삼과 압출 성형 인삼의 사포닌 함량 및 항산화 활성 연구
A Study on the Saponin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the Ginseng and Extruded Ginseng by Using Different Solvents for Extraction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v.24 no.4, 2011년, pp.528 - 534  

김성환 (중부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추출용매와 조작순서를 달리하여 원료인삼 및 압출성형 가공시 인삼의 사포닌 함량 및 항산화 정도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인삼과 압출성형한 가공 인삼의 80% 에탄올 엑기스,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수포화 부탄올 분획, 수층 분획을 각각 얻은 후 LC/MASS를 사용하여 사포닌 함량을 조사하고 기존의 여러 가지 항산화 작용 측정 방법들의 오류를 없애고 더욱 정확한 결과를 낼 수 있는 대처 방안으로 선정된 ORAC 분석법에 의해 항산화 활성을 검토하였다. 검체 인삼 중 사포닌은 ginsenoside Rb1과 Rg1 및 Re를 주요 성분으로 다량 함유하고 있었으며, Rb2, Rc, Rd 등이 뒤를 이었고, 그밖에도 Rg3, Rh1가 미량 분포하고 있었다. 압출 성형 인삼의 경우 원료 인삼에 비해 전반적으로 사포닌 함량이 높았으며, 주로 ginsenoside Re와 Rb1 및 Re가 많았고, 그밖에 Rc, Rb2, Rg1, Rh, Rd 등이었으며, 특히 원료인삼에서 미량 존재하던 Rh1과 Rg3가 많이 증가함을 보였다. 이러한 현상은 압출인삼의 에틸아세테이트층과 부탄올층에서도 같은 경향을 보였다. 원료 인삼의 에틸아세테이트층에서는 Rg1 함량이 높았고, 압출인삼에서는 Rh1과 Rg3가 많이 용출되었으며, Rg1, Re, Rb1 등이 용출되었다. ORAC 분석법에 의한 항산화 활성 연구에서 원료인삼 중의 여러 생리활성 성분이 많이 함유되어 있는 80% 에탄올 추출 분획과 일반적으로 극성의 사포닌 성분을 많이 함유한 수포화 부탄올층의 항산화 활성은 에틸아세테이트층과 수층에 비해 높았으나, 압출성형과정을 거치더라도 유의성 있는 증가는 없었다. 그러나 압출성형과정을 거친 압출 인삼의 에틸아세테이트층과 수층 분획이 대조 원료인삼의 각각의 분획들에 비해 모두 유의성($p$ >0.05)있는 증가를 보였다. 또한 원료인삼과 압출 인삼의 80% 에탄올 추출 엑기스,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 수포화 부탄올 분획, 수층 분획 모두에서 일정 수준의 항산화 활성을 나태내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특히 인삼사포닌을 거의 함유하지 않은 원료인삼과 압출 인삼의 수층에서도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는 인삼 중 항산화 활성은 에틸아세테이트 층으로 이행되는 폴리페놀 계통 성분 및 일부 비극성의 사포닌에 의한 것으로 추측되고 있으나, 모든 분획에서 나타난 것으로 보아 이들 외에 산성 다당체, 당단백질, 수용성 다당류, 말톨 등 다른 생리 활성 물질에 대한 연구가 요구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saponin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y of crude ginseng and extruded ginseng by using different solvent extraction methods. Each of the fractions was first extracted by 80% ethanol followed by ether treatment to remove the lipid components. W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80% 에탄올층 엑기스, 에틸아세테이트층 분획, 수포화 부탄올층 분획, 수층 분획의 건조물을 각각 HPLC용 메탄올에 녹여 멤브레인필터 처리 후 Table 2의 조건으로 LC/MASS를 이용하여 인삼 및 압출 인삼의 사포닌 성분 중 ginsenoside Rg1, Re, Rh1, Rb1, Rc, Rb2, Rd, Rg3의 함량을 분석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백삼 및 동일한 백삼을 원료로 하여 일정 조건의 고온, 고압 하에서 압출성형조작을 거쳐 얻은 압출인삼을 유기용매를 사용하여 분리추출한 후 각각의 분획에 대하여 사포닌 함량을 측정하고, Talcott ST 등(2003)에 의해 새롭게 소개되고 있는 ORAC 분석법을 이용하여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다.
  • 다시 분리 조작을 2회 더하여 총 3회 추출한 부탄올층과 수층을 각각 얻고, 상기 조작을 통해 얻은 80% 에탄올층과 에틸아세테이트층과 부탄올층은 환류 냉각장치를 한 65℃ 이하 수욕상에서 rotary evaporator로 감압 농축하였다. 물층은 40℃ 이하에서 감압 증발 농축 건조하였으며, 전후 무게차를 계산하여 증발잔류물의 수율을 얻었다. 상기 조작을 통하여 얻은 각각의 분획들은 인삼 사포닌 함량 분석을 위한 검체와 ORAC 분석을 위한 항산화 활성 실험 검체로 사용하였다.
  • , Uzwil, Switzerland)를 사용하여 지름이 3 ㎜인 원형 사출구 하나를 열어서 압출 성형하였다. 사출구와 스크류 전면 사이에 thermocouple(열전대) 및 tranducer(변환기)를 통하여 압출 성형온도와 압력을 측정하였다. 압출 성형의 조건은 Table 1과 같다.
  • 물층은 40℃ 이하에서 감압 증발 농축 건조하였으며, 전후 무게차를 계산하여 증발잔류물의 수율을 얻었다. 상기 조작을 통하여 얻은 각각의 분획들은 인삼 사포닌 함량 분석을 위한 검체와 ORAC 분석을 위한 항산화 활성 실험 검체로 사용하였다.
  • 수층을 취하는 조작을 2회 더 반복하여 총 3회 추출·분리하여 얻은 수층을 분액 여두에 옮겨 에틸아세테이트 50 ㎖로 3회 반복 진탕·추출하여 에틸아세테이트층을 취하고 물층에 수포화 부탄올 용액 50 ㎖를 가해 충분히 진탕한 후 수층과 부탄올층이 완전히 층 분리될 때까지 정치한 다음 분리하였다.
  • 압출 성형 인삼의 제조를 위해 사용한 원료인삼과 압출 성형인삼을 분쇄하여 각각 100 메쉬의 표준체를 통과시켜 얻은 것을 검체로 사용하였다. 이들 검체를 각각 약 5 g을 환류 냉각 장치를 한 250 ㎖ 플라스크에 취해 수욕상에서 80% 에탄올 용액 50 ㎖를 가해 1시간 추출한 후 상온에서 방치하여 식힌 후 여과하고 잔류물을 취해 다시 반복하는 조작을 2회 더 하였다. 총 3회 추출한 여액을 합쳐 환류 냉각 장치를 한 250 ㎖ 플라스크에 취해 65℃ 이하 수욕 상에서 rotary evaporator로 감압 농축하였다.
  • 인삼과 압출 인삼의 항산화 활성을 알아보기 위해 80% 에탄올 추출 엑기스,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 수포화 부탄올 분획, 수층 분획을 각각 인산 완충액에 용해하여 AAPH에 의한 peroxy radical의 생성과 소멸에 따른 fluorescent의 감소율을 ORAC Assay에 의해 측정한 결과, 인삼과 압출 인삼의 각 분획별 항산화 활성은 Table 4와 Fig. 2에서와 같다.
  • 즉, 과산화 라디칼의 생성을 위해 2,2’-azobis(2-methyl-propionamidine) dihychloride(Aldrich Co.)를 사용한 peroxy radical의 생성과 소멸에 의한 fluorescent의 감소율을 측정함으로써 이루어졌다.
  • 추출용매와 조작순서를 달리하여 원료인삼 및 압출성형 가공시 인삼의 사포닌 함량 및 항산화 정도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인삼과 압출성형한 가공 인삼의 80% 에탄올 엑기스,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수포화 부탄올 분획, 수층 분획을 각각 얻은 후 LC/MASS를 사용하여 사포닌 함량을 조사하고 기존의 여러 가지 항산화 작용 측정 방법들의 오류를 없애고 더욱 정확한 결과를 낼 수 있는 대처 방안으로 선정된 ORAC 분석법에 의해 항산화 활성을 검토하였다. 검체 인삼 중 사포닌은 ginsenoside Rb1과 Rg1 및 Re를 주요 성분으로 다량 함유하고 있었으며, Rb2, Rc, Rd 등이 뒤를 이었고, 그밖에도 Rg3, Rh1가 미량 분포하고 있었다.

대상 데이터

  • 압출 성형 인삼의 제조를 위해 사용한 원료인삼과 압출 성형인삼을 분쇄하여 각각 100 메쉬의 표준체를 통과시켜 얻은 것을 검체로 사용하였다. 이들 검체를 각각 약 5 g을 환류 냉각 장치를 한 250 ㎖ 플라스크에 취해 수욕상에서 80% 에탄올 용액 50 ㎖를 가해 1시간 추출한 후 상온에서 방치하여 식힌 후 여과하고 잔류물을 취해 다시 반복하는 조작을 2회 더 하였다.
  • 인삼 검체는 충남 금산군에 소재하는 대동고려삼(주)으로부터 4년근의 인삼 규격검사 합격품을 구입하여 60 메쉬 이하로 분쇄하여 사용하였으며, Kim 등(2008)의 특허에 의거하여 압출성형조작을 하였으며, (주)삼우다연으로 부터 도움을 받았다.

데이터처리

  • 실험 결과는 SAS 9.1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mean±S.E., t-test, correlation을 사용하여 각 그룹간의 측정치에 대해 분석하였고, p<0.05 수준에서 유의성을 판정하였다(Cody & Smith 2006).

이론/모형

  • 2. Antioxidative activity of between ginseng and extruded ginseng using the ORAC assay.
  • 인삼과 압출 성형 인삼을 각각의 유기용매에 의해 단계별 분리·추출한 분획물 및 수층의 항산화 활성은 Talcott & Lee(2002)가 항산화 활성 측정에 사용한 ORAC 분석법을 이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 인삼의 분류학적 위치는? 특히 고려인삼으로 알려진 우리나라 인삼은 오가과(Araliaceae) 또는 두릅나무과(Araliaceae)로 분류되는 인삼속식물(Panax ginseng C.A. Meyer)로 미국 화기삼(Panax quinquefolium L.), 중국 전칠삼(Panax notoginseng F.
Oxygen Radical Absorbance Capacity by Fluorescein은 어떤 장점을 갖는 분석법인가? 한편, 2004년 항산화작용의 표준화를 위한 세계학술대회에서 항산화작용의 표준화를 위한 대표적인 방법의 하나로 선정된(Prior 등 2005) Oxygen Radical Absorbance Capacity by Fluorescein(이하 ORAC 분석법)은 radical chain reaction의 가장 핵심적인 단계인 수소 전자 전달과 연관하여 항산화 물질의 free radical 소거 능력을 측정하는 방법이다(Huang 등 2005). 따라서 전자 전달 이론을 바탕으로 한 실험 방법들은 활성 성분에 의한 환원 작용의 측정에 의한 phenol류 등의 함량을 예측하는데 유효한 반면에, ORAC 분석법은 식품내 존재하는 hydrophobic 성분과 hydrophilic 성분에 모두 반응하기 때문에 응용 범위가 넓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Prior 등 2003; Prior 등 2005). 또한, 항산화 대조 물질로 수용성 비타민 E를 사용하고 형광 물질을 결합시킴으로써 반응 감도가 예민하여 정확도를 높일 수 있는 방법이기도 하다.
인삼의 생리작용은 무엇인가? 인삼은 종(種) 및 재배 환경에 따라 주요 생리 활성 물질인 인삼사포닌을 비롯하여 프로사포겐닌, 페놀성 물질, 알칼로이드, 폴리아세틸렌, 산성 다당체, 비휘발성 유기산, 유리당, 각종 아미노산 및 무기물 등 그 성분과 함량이 다양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한국인삼연초연구소 1991; Kim DH 2005), 특히 가공공정이나 추출조건에 따라서도 성분 함량 등에 있어서 다양한 변화를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Lee 등 1996; Chang 등 2003; Ha 등 2004; Ha 등 2005; Kim & Kim 2005; Kim & Kim 2006; Kim SH 2007; Choi 등 2008; Choi 등 2010; Lee & Kum 2010). 인삼의 생리작용으로는 면역조절 효과 및 정신신경계, 순환기계, 대사계, 소화기계 기능의 억제와 항진 및 각종 스트레스에 대처하는 항상성, 암세포증식 억제작용, 항산화활성 향상 등 다양한 생리활성을 나타낸다고 알려져있다(Daxian 등 1995; Jung & Jin 1996; Choi 등 2002; Kwak 등 2003; Lee 등 2003; Park 등 2003; Shon 등 2004; Kim DH 2005; Wei 등 2005; Ye 등 2005; Kim & Kim 200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3)

  1. Chang JK, Lee JW, Shim KH. 2003. Changes in chemical components of freeze-dryed ginsengs and red ginseng processed from the fresh ginseng stored at low temperature. J Ginseng Res 27:72-77 

  2. Choi CS, Kim KI, Hong HD, Choi SY, Lee YC, Kim KT, Rho JH, Kim SS, Kim YC. 2006. Phenolic acid composition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white ginseng(Panax ginseng, C. A. Meyer). J Ginseng Res 30:22-30 

  3. Choi HJ, Zhang YB, An BJ, Choi C. 2002. Identification of biologically active compounds from Panax ginseng C. A. Meyer. Korean J Food Sci Technol 34:493-497 

  4. Choi JE, Nam KY, LI Xiangguo, KIM BY, Cho HS, Hwang KB. 2010. Changes of chemical compositions and ginsengoside contents of different root parts of ginsengs with progressing method. J Medicinal Crop Sci 18:118-125 

  5. Choi MY, Kim KM, Choi MS, Hoe YS, Lee HN, Lee CW, Kwan SW. 2008. Differential metabolomics analysis of ginseng(Panax ginseng) by progressing time. J Kor Pharm Sci 38:23-29 

  6. Cody RP, Smith JK. 2006. Applied statistics and the SAS programming language. Fifth Edition. pp. 159-165, pp. 183-196. Pearson Prentice Hall, Pearson Education, Inc., NJ 

  7. Daxian Zhang, Tatuji Yasuda, Yingyan Yu, Pingdong Zheng, Teruyki Kawabata, Yuxiang Ma, Shigeru Okada. 1995. Ginseng extract scavenges hydroxyl radical and protects unsturated fatty acids from decomposition caused by iron-mediated lipid peroxidation. Free Radical Biology & Medicine 20: 145-150 

  8. Doh ES, Chang JP, Lee KH, Seong NS. 2010. Ginsengoside change and antioxidation activity of fermented ginseng.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8:255-265 

  9. Ha DC, Lee JW, Do JH, Park CK, Ryu GH. 2004. Drying rate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dried ginseng root at different temperatur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741- 746 

  10. Ha DC, Lee JW, Kim NM, Ryu GH. 2005. Effect of barrel temperature and screw speed on characteristics of extruded raw ginseng. J Ginseng Res 29:107-112 

  11. Han BH, Park MH, Han YN. 1985. Studies on the antioxidant components of Korean ginseng(V): The mechanism of antioxidant activity of maltol and phenolic acid. Korean Biochem J 18:337-340. 

  12. Huang D, Ou B, Prior RL. 2005. Reviews, The chemistry behind antioxidant capacity assays. J Agric Food Chem 53:1841- 1856. 

  13. Hwang JK, Kim CT, Hong SI, Kim CJ. 1994. Solubilization of plant cell walls by extrus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23:358-370. 

  14. Jee HK, Cho YJ, Kim CT, Chang YS, Kim CJ. 2006. Increase of solubility of ginseng radix by extrusion cooking. Korean J Food Sci Techol 38:361-368. 

  15. Jung NP, Jin SH. 1996. Studies on the physiological and biochemical effects of Korean ginseng. Korean J Ginseng Sci 20:431-471 

  16. Kim AJ, Han MR, Woo Nariyah, Kang SJ, Lee GS, Kim MH. 2008.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Korean ginseng pickles with Chija and Omija. Korean J Food & Nutri 21:524-529 

  17. Kim BS, Ryu GH. 2005. Effect of die temperature and dimension on extract characteristics of extruded white ginseng.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544-548. 

  18. Kim JH, Kim JK. 2005. Effect of extracting conditions on chemical compositions of Korean mountain ginseng extract.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862-868 

  19. Kim JH, Kim JK. 2006. Antioxidant activity and functional component analysis of Korean mountain ginseng's different section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1315-1321 

  20. Kim SH, Kim YM. 2007. Determination of antioxidant capacity of Korean ginseng using an ORAC assay.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7:393-401 

  21. Kim SH. 2007. Effect of the extruded ginseng on antioidant activity.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7:402-408 

  22. Kim SS. 2009. 인삼의 사포닌 함량비율 조절과 효능평가. Food Preservation and Industry 8:59-67. 

  23. Ko SR, Choi KJ, Kim SC, Han KW. 1995. Content and composition of saponin compounds of panax species. Korean J Ginseng Sci 19:254-259 

  24. Kwak YS, Shin HJ, Song YB, Park JD. 2003. Isolation of immunomodulatory antitumor active polysaccharide(RGAP) from red ginseng by-product and its physico-chemical properti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752-757 

  25. Lee BY, Kim EJ, Park SI, Chun HS. 1996. Composition of saponin and free sugar of some white ginsengs with processing condi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28:922-927 

  26. Lee JH, Kum JS. 2010. Effect of microwave treatment on Korean ginseng. Korean J Food & Nutr 23:405-410 

  27. Lee JW, Do JH, Shim KH. 1999. Antioxidant activity of the water soluble browning reaction products isolated from Korean red ginseng(1. DPPH radical and hydrgen peroxide scavenging). J Ginseng Res 23:176-181 

  28. Lee JW, Park CK, Do JH. 2005. Antioxidative activity of the water soluble browning reaction products from Korean red ginseng. J Ginseng Res 29:44-48 

  29. Lee JW, Seo CH, Chang KS. 2003.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red ginseng powder on pulverizing method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363-369 

  30. Lee SE, Lee SW, Bang JK, Yu YJ, Seong NS. 2004. Antioxidant activites of steam and root of Panax ginseng C. A. Meyer.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2:237-242 

  31. Park KS, KO SK, Chung SH. 2003. Comparisons of antidiabetic effect between ginseng radix alba, ginseng radix rubra and Panax quinquefolia radix in MLD STZ-induced diabetic rats. J Ginseng Res 27:56-61 

  32. Prior RL, Hoang H, Gu L, Wu X, Bacchiocca M, Howard L, Hampsch-Woodill M, Huang D, Ou B, Jacob R. 2003. Assays for hydrophilic and lipophilic antioxidant capacity (oxygen radical absorbance capacity(ORAC) of plasma and other biological and food samples. J Agric Food Chem 51:3273-3279 

  33. Prior RL, Wu X, Schaich K. 2005. Standardized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antioxidant capacity and phenolics in foods and dietary supplements. J Agric Food Chem 53:4290-4302 

  34. Ryu GH. 2007. Recent trend in red ginseng manufacturing process and characteristics of extruded red ginseng. Food Engineering Progress 11:1-10 

  35. Shon MY, Choi SY, Cho HS, Sung NJ. 2004. Effects of cereal and red ginseng flour on blood glucose and lipid level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1463-4168 

  36. Talcott ST, Lee JH. 2002. Ellagic acid and flavonoid antioxidant content of mascadine wine and juice. J Agric Food Chem 50:3186-3192 

  37. Talcott ST, Percival SS, Jennifer PM, Celoria Charity. 2003. Phytochemical composition and antioxidant stability of fortified yellow passion fruit(Passifloria edulis). J Agric Food Chem 51:935-941 

  38. Wei Zhou, Hong Chai, Peter H. Lin, Alan B. Lumsden, Qizhi Yao, Changyi Chen. 2005. Ginsenoside Rbl blocks homocysteine- induced endothelial dysfunction in porcine coronary. Journal of Vascular Surgery 41:861-868 

  39. Ye EJ, Kim SJ, Park CH, Bae MJ. 2005. Antioxidant and anticancer activities of ginseng treated with traditional rice wine steam process method.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599-604 

  40. 김동현. 2005. 인삼과 건강. pp. 15-85. 도서출판 효일, 서울 

  41. 김성환, 유정상, 유병희. 2008. 인삼의 가용성분 제조방법. 특허공보 제 10-0841656호 

  42. 식품의약품안전청. 2010. 건강기능식품공전, pp. 57-60 

  43. 한국인삼연초연구소. 1991. 인삼성분분석법. pp. 11-128. 제일문화사, 대전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