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학교 '정보' 교과 '정보사회와 정보기술' 영역의 탐구적 경향 분석
Analysis of Inquisitive Tendencies in the Units 'Information Society and IT' in Middle School Informatics Textbook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2 no.7, 2011년, pp.3022 - 3029  

김자미 (고려대학교 대학원 컴퓨터교육학과) ,  장윤재 (고려대학교 대학원 컴퓨터교육학과) ,  이원규 (고려대학교 사범대학 컴퓨터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개정 교육과정에 의한 '정보' 교과의 성격 중 하나는 정보사회의 일원으로서 실천적 태도를 고취시킨다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중학교 '정보'교과의 '정보사회와 정보기술' 영역에 대한 구성이 학습자들의 참여를 독려하고, 실천에 기여할 수 있을 정도로 탐구적인 경향을 나타내는 지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교과서의 탐구적 경향 분석을 위해 Romey 분석법을 활용하여, 검정 교과서 중 채택율이 높은 4종의 교과서를 분석하였다. 6개의 내용 요소에 대한 분석결과 3개 이상의 요소에서 탐구적 경향을 보인 교과서는, 본문지수 에서는 1개, 활동지수에서는 2개 교과서로 나타났다. 그러나 표나 그림 지수, 평가 지수, 장 끝 지수에서는 탐구적 경향을 보인 교과서가 없었다. 본 연구는 중학교 정보 교과서에 대한 의미 분석을 토대로 탐구적 경향에 대한 정량화를 시도하였고, 특정 페이지에 한정하지 않고 해당 영역 전체를 분석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formatics subject implementing the revised national curriculum is to develop the practical attitude of the student as an active member of information socie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the units 'Information Society and IT' in middle school 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기존 연구들과 달리 본 연구는 중등 정보 교과서에 대한 정량적 분석을 시도하였고, 페이지를 한정하지 않고, 교과서 전체 기술 내용에 대한 문장 단위 분석을 통해 권위적 교과서인지 탐구적 교과서인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 교과서 전체에 대한 탐구적 경향도 중요하지만, 실제 능력이나 태도를 길러야 하는 영역의 세부 내용들을 표현함에 있어서 탐구적 경향으로 기술되었는지를 살펴보는 것이 중요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본 논문은 2007 개정교육과정을 기초로 개발되었고 2009년 채택된 검정교과서를 분석하였다. 특히, 최근 관심이 높아진 정보윤리 및 즉, 질문이나 탐구활동 위주의 교과서이기 때문에 오히려 효과적으로 탐구할 수 있는 충분한 데이터를 주지 못한다는 단점이 지적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참여지수에 근거하여 해당 교과서가 탐구적 인지를 판단하고, 어떤 형태로 수정되어야 하는지에 대해 논의하였다.
  • 이와 같은 관점에서 본 논문은 개정교육과정에 의해 새롭게 채택된 중학교 ‘정보’교과서가 탐구적 경향을 지니는 지를 분석하였다.
  • 특히, 최근 관심이 높아진 정보윤리 및 정보활용 능력을 키우는 것으로 명시되어 있는 ‘정보사회와 정보기술’ 영역에 대한 구성이 학습자들의 참여를 독려하는 탐구적 경향을 보이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목적을 갖는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권위적인 교과서는 탐구적인 방향과 다르게 어떤 단점이 있는가? 즉, 학생들의 태도를 기르기 위해서는 보다 많은 활동에 대한 참여가 필요하며, 학생들의 참여를 독려하는 교과서는 탐구적 경향을 지녀야 한다[10,11]. 탐구적 경향의 교과서가 학생들의 학습활동을 활발하게 하는 데 기여하는 반면, 권위적인 교과서는 학생들의 참여기회를 줄이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12].
교과서가 탐구적 경향을 지녀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교과학습에서 학생들의 능력이나 태도를 기르기 위해서는 교과의 구성이 탐구적 형태로 기술되어야 하며[4], 교과서는 탐구적 경향을 지녀야 한다. 왜냐하면 교과서의 목적은 교육과정에서 제시하는 내용을 습득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하며, 다양한 활동과 방법을 통해 교육과정에서 제시하는 내용을 보다 잘 전달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5,6]. 그리고 교과서는 단순한 지식을 전달하기 보다는 학생들의 다양한 활동을 지지할 수 있어야 하며, 학생들 간의 상호작용 뿐 아니라 표현 및 자신들의 성찰을 지지할 수 있는 형태이어야 한다[7-9].
정보사회와 정보기술은 정보교과 과정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가? 정보교과에서 가르치는 내용 중 ‘정보사회와 정보기술’ 영역은 변화하는 사회를 살아가는데 요구되는 실천적인 부분을 주로하고 있다. 정보교과에서 정보사회나 정보기술에 대한 교육은 초등의 경우, 2005년 정보통신기술교육 운영지침이 개정되면서부터, 그리고 중등에서는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서 한 영역으로 편제되면서 중요성이 부각되었다[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Kim, H. S., Chung H. J. and Lee W. G., "Philosophy and contents of information ethics in informatics education",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0(2), 95-119, 2010. 

  2. Kim, H. S., Chung H. J. and Lee W. G., "A comparative study of high school informatics curriculum between korea and japan", Korean Journal of Comparative Education, 20(4), 129-151, 2010. 

  3.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Middle School Curriculum Guide(V) Foreign Language(English), Extracurricula Activities, Chinese, Informatics, Environment, Practical Foreign Language by Ministry of Education & Human Resources Notification No. 2006-75 and No. 2007-79", Seoul: Ministry of Education and Science Technology, 227-280, 2008. 

  4. Chiappetta, E. L., Fillman, D. A. and Sethna, G. H., "A method to quantify majory themes of scientific literacy in science textbook",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713-725, 1991. 

  5. Khalid Mahmood, "Textbook Evaluation in Pakistan : Issue of Conformity to the National Curriculum Guideline", Bulletin of Education and Research, 32(1), 15-36, 2010. 

  6. American Textbook Council, "Textbook Review Guidelines", Retrieved September 10, 2010 from http://www.historytextbooks.org/review.htm, 2002. 

  7. Maria Nogova, Jana Huttova, "Process of Development and Testing of Textbook Evaluation Criteria in Slovakia", from http://www.caen.iufm.fr/colloque_iartem/pdf/nogova_huttova.pdf, 2005. 

  8. Bruning, R.H., G.J., Schraw, R. Ronning, "Cognitive Psychology and Instruction", Prentice Hall, 1999. 

  9. David R. A. L., "Textbook evaluation and Elt Management: A south korean case study", Asian EFL Journal, from http://www.pu.edu.pk/ier/ber/PDF-FILES/2-Textbook_Evaluation-Amended_14-7-2010.pdf, 2002. 

  10. Kim J. H. et al,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School Textbook Model",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1998. 

  11. Kim J. H., "research subject and method of textbook", Textbook Research, 38, 54-58, 2002. 

  12. Tesl goddess, "ESL Textbook Evaluation Assignment: Middle School English 2", South Korea, http://www.associatedcontent.com/article/813119/esl_textbook_evaluation_assignment.html?cat4, 2008. 

  13. Ministry of Education & Science Technology (2007). Criteria for the evaluation of government-issued middle school textbooks by 2007 revised curriculum (Ministry of Education & Human Resources Notification No. 2007-79). Seoul: Ministry of Education and Science Technology. 

  14. Committee for the Development of Computer Education Material in the Korea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Teaching methods and instructional materials of computer education". Seoul: Kyoyookbook, 2008. 

  15. Committee for the Development of Computer Education Material in the Korea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Computer education". Seoul: Kyoyookbook, 2008. 

  16. Kang S. G., Yang C. M., "Comparative Analysis of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Textbooks for Elementary Schools - Especially focused on the Fourth Grade Textbooks -", Journal of The Korean Assocaition of Information Ecucation, 8(2), 213-225, 2004. 

  17. Ryu J. S., "Analysis of Elementary Information Security Curriculum",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Security and Cryptology Review, 14(6), 62-69, 2004. 

  18. Lee J. M., "Organizational Analysis of Computer Textbooks for Elementary School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Assocaition of Information Ecucation, 9(2), 299-307, 2005. 

  19. Lee J. M., "Analysis of Objects, Contents and Formative Evaluation for Computer Textbooks for Elementary School Grades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Assocaition of Information Ecucation, 10(1), 67-73, 2006. 

  20. Han K. J., "Analysis of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Textbooks For Elementary Schools", Journal of The Korean Assocaition of Information Ecucation, 12(3), 347-354, 2008. 

  21. Jeong I. K., "Analysis of Understanding of Information Processing Area in the ICT Textbooks for Elementary Schools",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13(2), 35-43, 2010. 

  22. Park J. H., Ahn S. H., Lee W. G. and Lee T. W., "A Comparative Analysis about the Content and Terminology of Middle School Computer Textbooks in South-North Korea",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10(3), 9-17, 2007. 

  23. Choi G. S., Kim Y. J. and Lee J. Y., "Development of Selection Criteria for Informatics Textbooks in Middle School",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13(5), 1-14, 2010. 

  24. Huetteman, J. D., "Instrument for textbook assessment, Baltimore: Div. of library development and service", 1-12, 1989. 

  25. Kahveci, A., "Quantitative analysis of science and chemistry textbooks for indicators or reform",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2(11), 1495-1519, 2010. 

  26. Schmidt, M., "Textbook selection criteria handbook II", WA: Washington office of the state superintendent of Public Instruction, Olympia. Div. of instructional and professional service, 1981. 

  27. W. D. Romey, "Inquiry techniques for teaching science",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159-171, 1968. 

  28. Verhave T., & Gilmour J., Sherman, "Principles of Textbook Analysis", Journal of the Experimental Analysis of Behavior, 11(5), 641-649, 1968. 

  29. Kim J. M., Yoon I. K. and Lee W. G., "An Analysis of Alignment between Content Topics of Informatics Curriculum Standards and Textbooks", Journal of Secondary Education Research, 59(2), 1-34, 201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