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정 교육과정에 의한 '정보' 교과의 성격 중 하나는 정보사회의 일원으로서 실천적 태도를 고취시킨다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중학교 '정보'교과의 '정보사회와 정보기술' 영역에 대한 구성이 학습자들의 참여를 독려하고, 실천에 기여할 수 있을 정도로 탐구적인 경향을 나타내는 지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교과서의 탐구적 경향 분석을 위해 Romey 분석법을 활용하여, 검정 교과서 중 채택율이 높은 4종의 교과서를 분석하였다. 6개의 내용 요소에 대한 분석결과 3개 이상의 요소에서 탐구적 경향을 보인 교과서는, 본문지수 에서는 1개, 활동지수에서는 2개 교과서로 나타났다. 그러나 표나 그림 지수, 평가 지수, 장 끝 지수에서는 탐구적 경향을 보인 교과서가 없었다. 본 연구는 중학교 정보 교과서에 대한 의미 분석을 토대로 탐구적 경향에 대한 정량화를 시도하였고, 특정 페이지에 한정하지 않고 해당 영역 전체를 분석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Abstract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formatics subject implementing the revised national curriculum is to develop the practical attitude of the student as an active member of information socie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the units 'Information Society and IT' in middle school informatics textbooks reflect inquisitive tendencies to student's practice. After four textbooks that were widely selected by schools were selected from among the authorized textbooks, the sentences of the selected textbooks were analyzed by utilizing Romey's analysis method to see whether there was such an inquisitive tendency in them. As a result of analyzing six content elements of the textbooks, one textbook and two textbooks had an inquisitive tendency in three elements or more in terms of texts and activities index respectively. But there was no inquisitive tendency in the textbooks in terms of figure/diagrams, questions at the end of chapters and chapter synthesi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attempted to make a quantitative analysis of middle school informatics textbooks and to investigate an inquisitive tendency in the textbooks by analyzing every statement and sentence instead of analyzing just some parts of the textbooks.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기존 연구들과 달리 본 연구는 중등 정보 교과서에 대한 정량적 분석을 시도하였고, 페이지를 한정하지 않고, 교과서 전체 기술 내용에 대한 문장 단위 분석을 통해 권위적 교과서인지 탐구적 교과서인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기존 연구들과 달리 본 연구는 중등 정보 교과서에 대한 정량적 분석을 시도하였고, 페이지를 한정하지 않고, 교과서 전체 기술 내용에 대한 문장 단위 분석을 통해 권위적 교과서인지 탐구적 교과서인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은 2007 개정교육과정을 기초로 개발되었고 2009년 채택된 검정교과서를 분석하였다.
교과서 전체에 대한 탐구적 경향도 중요하지만, 실제 능력이나 태도를 길러야 하는 영역의 세부 내용들을 표현함에 있어서 탐구적 경향으로 기술되었는지를 살펴보는 것이 중요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본 논문은 2007 개정교육과정을 기초로 개발되었고 2009년 채택된 검정교과서를 분석하였다. 특히, 최근 관심이 높아진 정보윤리 및 따라서 본 연구는 참여지수에 근거하여 해당 교과서가 탐구적 인지를 판단하고, 어떤 형태로 수정되어야 하는지에 대해 논의하였다.
즉, 질문이나 탐구활동 위주의 교과서이기 때문에 오히려 효과적으로 탐구할 수 있는 충분한 데이터를 주지 못한다는 단점이 지적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참여지수에 근거하여 해당 교과서가 탐구적 인지를 판단하고, 어떤 형태로 수정되어야 하는지에 대해 논의하였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본 논문은 개정교육과정에 의해 새롭게 채택된 중학교 ‘정보’교과서가 탐구적 경향을 지니는 지를 분석하였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본 논문은 개정교육과정에 의해 새롭게 채택된 중학교 ‘정보’교과서가 탐구적 경향을 지니는 지를 분석하였다.
특히, 최근 관심이 높아진 정보윤리 및 정보활용 능력을 키우는 것으로 명시되어 있는 ‘정보사회와 정보기술’ 영역에 대한 구성이 학습자들의 참여를 독려하는 탐구적 경향을 보이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목적을 갖는다.
특히, 최근 관심이 높아진 정보윤리 및 정보활용 능력을 키우는 것으로 명시되어 있는 ‘정보사회와 정보기술’ 영역에 대한 구성이 학습자들의 참여를 독려하는 탐구적 경향을 보이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목적을 갖는다.
제안 방법
그리고 4종의 교과서별로 1, 2, 3단계의 내용 중 ‘정보사회와 정보기술’ 영역을 선택하였다.
그리고 4종의 교과서별로 1, 2, 3단계의 내용 중 ‘정보사회와 정보기술’ 영역을 선택하였다.
그리고 그림/도표에 대한 분석과 활동지수 분석에서는 교과서 전반을 분석하지 않고, 각 교과서 당 10페이지에 한정하여 분석하였다.
초등의 경우, 강성구와 양창모는 Romey 분석법을 사용하여 특정 영역 전체가 아닌 25개의 문장만을 추출하여 분석하였다. 그리고 그림/도표에 대한 분석과 활동지수 분석에서는 교과서 전반을 분석하지 않고, 각 교과서 당 10페이지에 한정하여 분석하였다.
둘째, 임의로 하나의 교과서를 선택하여 1단계의 '정보사회와 정보기술' 영역을 12명의 연구진 각자가 분석하고, 분석내용을 각 문장별로 대조하면서 교과서 분석을 위한 의견을 통일하였다.
둘째, 임의로 하나의 교과서를 선택하여 1단계의 '정보사회와 정보기술' 영역을 12명의 연구진 각자가 분석하고, 분석내용을 각 문장별로 대조하면서 교과서 분석을 위한 의견을 통일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4종 교과서의 각 단계별 ‘정보사회와 정보기술’의 내용요소별로 탐구적 경향을 분석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4종 교과서의 각 단계별 ‘정보사회와 정보기술’의 내용요소별로 탐구적 경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중학교 정보교과서의 ‘정보사회와 정보기술’ 영역의 탐구적 경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중학교 정보교과서의 ‘정보사회와 정보기술’ 영역의 탐구적 경향을 분석하였다.
본문에 대한 분석에서는 문장 하나 하나를 분석하였는데, 예를 들면, “컴퓨터는 사용 목적과 모양은 다르지만, 기본적으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로 구성되어 있다”의 문장은 ‘사실의 진술’로 구분하였고, “개인 정보가 도용되어 피해를 입은 사례를 찾아보자”의 문장은 ‘학생들에게 자신의 결론을 만들게 하는 진술’로 구분하였다.
본문에 대한 분석에서는 문장 하나 하나를 분석하였는데, 예를 들면, “컴퓨터는 사용 목적과 모양은 다르지만, 기본적으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로 구성되어 있다”의 문장은 ‘사실의 진술’로 구분하였고, “개인 정보가 도용되어 피해를 입은 사례를 찾아보자”의 문장은 ‘학생들에게 자신의 결론을 만들게 하는 진술’로 구분하였다.
셋째, 이상과 같이 해당 내용에 대한 분석 내용에 대해 숙지한 다음, 최종적으로 3명이 동일한 내용을 분석하였고, 이견이 발생할 경우 숙의를 통해 의견을 조정하였다.
셋째, 이상과 같이 해당 내용에 대한 분석 내용에 대해 숙지한 다음, 최종적으로 3명이 동일한 내용을 분석하였고, 이견이 발생할 경우 숙의를 통해 의견을 조정하였다. 최종 분석 결과에 대해서는 정보교육 전문가 2인의 검수를 거쳐 분석 내용을 확정하였다.
정보교과서의 구성이 교육과정에서 명시하는 데로, 탐구적 경향을 토대로 학생들의 창의적이고 실질적인 문제해결능력 함양에 기여하기 위한 구성인지에 대해 분석하였다.
후)정보 교과서의">정보교과서의 ‘정보사회와 정보기술’ 영역의 탐구적 경향을 분석하였다. 정보교과서의 구성이 교육과정에서 명시하는 데로, 탐구적 경향을 토대로 학생들의 창의적이고 실질적인 문제해결능력 함양에 기여하기 위한 구성인지에 대해 분석하였다. 분석은 교과서 내용 기술에 대한 의미를 토대로 분석하여, 탐구적 경향을 정량화하는 Romey 분석을 사용하였다.
해당 내용이 정보교과에 대입하기 어려운 내용이 없는지를 확인하였다.
첫째, 교과서 분석을 위해 Romey 분석법을 숙지하였다. 해당 내용이 정보교과에 대입하기 어려운 내용이 없는지를 확인하였다.
대상 데이터
교육과학기술부는 2009년 8월 19일 중학교 ‘정보’ 교과서 8종을 검정교과서로 채택하였다.
교육과학기술부는 2009년 8월 19일 중학교 ‘정보’ 교과서 8종을 검정교과서로 채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내용은 중학교 ‘정보’교과서의 ‘정보사회와 정보기술’ 영역이다.
본 연구의 분석 내용은 중학교 ‘정보’교과서의 ‘정보사회와 정보기술’ 영역이다.
중학교 ‘정보’교과서의 '정보사회와 정보기술' 영역의 탐구적 경향을 분석하고자 한 본 연구는 정보 1단계를 기준으로 해당 교과서의 선택 비율이 높은 상위 4개 교과서를 선택하였다.
중학교 ‘정보’교과서의 '정보사회와 정보기술' 영역의 탐구적 경향을 분석하고자 한 본 연구는 정보 1단계를 기준으로 해당 교과서의 선택 비율이 높은 상위 4개 교과서를 선택하였다.
이론/모형
분석은 교과서 내용 기술에 대한 의미를 토대로 분석하여, 탐구적 경향을 정량화하는 Romey 분석을 사용하였다.
후)문제해결 능력">문제해결능력 함양에 기여하기 위한 구성인지에 대해 분석하였다. 분석은 교과서 내용 기술에 대한 의미를 토대로 분석하여, 탐구적 경향을 정량화하는 Romey 분석을 사용하였다.
첫째, 교과서 분석을 위해 Romey 분석법을 숙지하였다.
첫째, 교과서 분석을 위해 Romey 분석법을 숙지하였다. 해당 내용이 초등의 경우, 강성구와 양창모는 Romey 분석법을 사용하여 특정 영역 전체가 아닌 25개의 문장만을 추출하여 분석하였다.
후)정보통신기술교육 운영지침’을">정보통신기술교육운영지침’을 얼마나 잘 반영하고 있는지, 혹은 어떤 프로그래밍의 내용을 담고 있는지 등에 대한 것이다. 초등의 경우, 강성구와 양창모는 Romey 분석법을 사용하여 특정 영역 전체가 아닌 25개의 문장만을 추출하여 분석하였다. 그리고 그림/도표에 대한 분석과
성능/효과
4개 교과서에 대한 선택 비율은 전체 70%를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후)선택비율이">선택 비율이 높은 상위 4개 교과서를 선택하였다. 4개 교과서에 대한 선택 비율은 전체 70%를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4종의 교과서별로 1, 2, 3단계의 내용 중 ‘정보사회와 정보기술’ 영역을 선택하였다.
넷째, 본 연구진이 분석한 내용에 대한 평정자간 신뢰도는 .93으로 분석 내용은 신뢰할 만 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본 연구진이 분석한 내용에 대한 평정자간 신뢰도는 .93으로 분석 내용은 신뢰할 만 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수가 0 < Rm ≦ 0.5인 교과서는 권위적 경향이 강한 편으로 학생들의 활동이 부분적으로 이루어지지만 권위적인 교과서이다.
둘째, 지수가 0 < Rm ≦ 0.5인 교과서는 권위적 경향이 강한 편으로 학생들의 활동이 부분적으로 이루어지지만 권위적인 교과서이다.
본 연구에서 분석한 4종의 교과서는 장 종합이 없거나, 있다고 하더라도 장의 결론을 그대로 반복하는 형태로 제시되어 있었다.
후)북돋우는지에">북돋우는 지에 대한 것을 평가한다. 본 연구에서 분석한 4종의 교과서는 장 종합이 없거나, 있다고 하더라도 장의 결론을 그대로 반복하는 형태로 제시되어 있었다. 즉, 교과서만을 이용해서 문제를 분석결과, 교과서의 본문은 1개 교과서를 제외하고는 사실의 진술이나 일반화, 정의에 대한 내용 제시가 많았다.
후)분석 결과,">분석결과, 교과서의 본문은 1개 교과서를 제외하고는 사실의 진술이나 일반화, 정의에 대한 내용 제시가 많았다. 그림이나 도표의 구성 또한 지식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 위주의 자료만을 사용하고 있었다.
탐구적 경향이 가장 강하게 나타난 교과서는 특정 내용에서 탐구적 경향이 지나치게 높게 나타나 오히려 학습에 방해가 될 수도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후)절분석">절 분석 결과, 1개 교과서는 단순 지식만을 요구하는 형태였다. 탐구적 경향이 가장 강하게 나타난 교과서는 특정 내용에서 탐구적 경향이 지나치게 높게 나타나 오히려 학습에 방해가 될 수도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즉, 학생들의 태도를 기르기 위해서는 보다 많은 활동에 대한 참여가 필요하며, 학생들의 참여를 독려하는 교과서는 탐구적 경향을 지녀야 한다[10,11]. 탐구적 경향의 교과서가 학생들의 학습활동을 활발하게 하는 데 기여하는 반면, 권위적인 교과서는 학생들의 참여기회를 줄이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12].
왜냐하면 교과서의 목적은 교육과정에서 제시하는 내용을 습득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하며, 다양한 활동과 방법을 통해 교육과정에서 제시하는 내용을 보다 잘 전달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교과학습에서 학생들의 능력이나 태도를 기르기 위해서는 교과의 구성이 탐구적 형태로 기술되어야 하며[4], 교과서는 탐구적 경향을 지녀야 한다. 왜냐하면 교과서의 목적은 교육과정에서 제시하는 내용을 습득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하며, 다양한 활동과 방법을 통해 교육과정에서 제시하는 내용을 보다 잘 전달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5,6]. 그리고 교과서는 단순한 지식을 전달하기 보다는 학생들의 다양한 활동을 지지할 수 있어야 하며, 학생들 간의 상호작용 뿐 아니라 표현 및 자신들의 성찰을 지지할 수 있는 형태이어야 한다[7-9].
정보교과에서 가르치는 내용 중 ‘정보사회와 정보기술’ 영역은 변화하는 사회를 살아가는데 요구되는 실천적인 부분을 주로하고 있다.
정보교과에서 가르치는 내용 중 ‘정보사회와 정보기술’ 영역은 변화하는 사회를 살아가는데 요구되는 실천적인 부분을 주로하고 있다. 정보교과에서 정보사회나 정보기술에 대한 교육은 초등의 경우, 2005년 정보통신기술교육 운영지침이 개정되면서부터, 그리고 중등에서는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서 한 영역으로 편제되면서 중요성이 부각되었다[1,2].
1.
Kim, H. S., Chung H. J. and Lee W. G., "Philosophy and contents of information ethics in informatics education",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0(2), 95-119, 2010.
2.
Kim, H. S., Chung H. J. and Lee W. G., "A comparative study of high school informatics curriculum between korea and japan", Korean Journal of Comparative Education, 20(4), 129-151, 2010.
3.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Middle School Curriculum Guide(V) Foreign Language(English), Extracurricula Activities, Chinese, Informatics, Environment, Practical Foreign Language by Ministry of Education & Human Resources Notification No. 2006-75 and No. 2007-79", Seoul: Ministry of Education and Science Technology, 227-280, 2008.
4.
Chiappetta, E. L., Fillman, D. A. and Sethna, G. H., "A method to quantify majory themes of scientific literacy in science textbook",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713-725, 1991.
5.
Khalid Mahmood, "Textbook Evaluation in Pakistan : Issue of Conformity to the National Curriculum Guideline", Bulletin of Education and Research, 32(1), 15-36, 2010.
6.
American Textbook Council, "Textbook Review Guidelines", Retrieved September 10, 2010 from http://www.historytextbooks.org/review.htm, 2002.
7.
Maria Nogova, Jana Huttova, "Process of Development and Testing of Textbook Evaluation Criteria in Slovakia", from http://www.caen.iufm.fr/colloque_iartem/pdf/nogova_huttova.pdf, 2005.
8.
Bruning, R.H., G.J., Schraw, R. Ronning, "Cognitive Psychology and Instruction", Prentice Hall, 1999.
9.
David R. A. L., "Textbook evaluation and Elt Management: A south korean case study", Asian EFL Journal, from http://www.pu.edu.pk/ier/ber/PDF-FILES/2-Textbook_Evaluation-Amended_14-7-2010.pdf, 2002.
10.
Kim J. H. et al,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School Textbook Model",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1998.
11.
Kim J. H., "research subject and method of textbook", Textbook Research, 38, 54-58, 2002.
12.
Tesl goddess, "ESL Textbook Evaluation Assignment: Middle School English 2", South Korea, http://www.associatedcontent.com/article/813119/esl_textbook_evaluation_assignment.html?cat4, 2008.
13.
Ministry of Education & Science Technology (2007). Criteria for the evaluation of government-issued middle school textbooks by 2007 revised curriculum (Ministry of Education & Human Resources Notification No. 2007-79). Seoul: Ministry of Education and Science Technology.
14.
Committee for the Development of Computer Education Material in the Korea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Teaching methods and instructional materials of computer education". Seoul: Kyoyookbook, 2008.
15.
Committee for the Development of Computer Education Material in the Korea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Computer education". Seoul: Kyoyookbook, 2008.
16.
Kang S. G., Yang C. M., "Comparative Analysis of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Textbooks for Elementary Schools - Especially focused on the Fourth Grade Textbooks -", Journal of The Korean Assocaition of Information Ecucation, 8(2), 213-225, 2004.
17.
Ryu J. S., "Analysis of Elementary Information Security Curriculum",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Security and Cryptology Review, 14(6), 62-69, 2004.
18.
Lee J. M., "Organizational Analysis of Computer Textbooks for Elementary School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Assocaition of Information Ecucation, 9(2), 299-307, 2005.
19.
Lee J. M., "Analysis of Objects, Contents and Formative Evaluation for Computer Textbooks for Elementary School Grades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Assocaition of Information Ecucation, 10(1), 67-73, 2006.
20.
Han K. J., "Analysis of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Textbooks For Elementary Schools", Journal of The Korean Assocaition of Information Ecucation, 12(3), 347-354, 2008.
21.
Jeong I. K., "Analysis of Understanding of Information Processing Area in the ICT Textbooks for Elementary Schools",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13(2), 35-43, 2010.
22.
Park J. H., Ahn S. H., Lee W. G. and Lee T. W., "A Comparative Analysis about the Content and Terminology of Middle School Computer Textbooks in South-North Korea",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10(3), 9-17, 2007.
23.
Choi G. S., Kim Y. J. and Lee J. Y., "Development of Selection Criteria for Informatics Textbooks in Middle School",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13(5), 1-14, 2010.
24.
Huetteman, J. D., "Instrument for textbook assessment, Baltimore: Div. of library development and service", 1-12, 1989.
25.
Kahveci, A., "Quantitative analysis of science and chemistry textbooks for indicators or reform",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2(11), 1495-1519, 2010.
26.
Schmidt, M., "Textbook selection criteria handbook II", WA: Washington office of the state superintendent of Public Instruction, Olympia. Div. of instructional and professional service, 1981.
27.
W. D. Romey, "Inquiry techniques for teaching science",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159-171, 1968.
28.
Verhave T., & Gilmour J., Sherman, "Principles of Textbook Analysis", Journal of the Experimental Analysis of Behavior, 11(5), 641-649, 1968.
29.
Kim J. M., Yoon I. K. and Lee W. G., "An Analysis of Alignment between Content Topics of Informatics Curriculum Standards and Textbooks", Journal of Secondary Education Research, 59(2), 1-34, 2011.
중학교 '정보' 교과 '정보사회와 정보기술' 영역의 탐구적 경향 분석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2 no.7
, 2011년, pp.3022 - 3029
김자미
(고려대학교 대학원 컴퓨터교육학과 )
;
장윤재
( 고려대학교 대학원 컴퓨터교육학과 )
;
이원규
( 고려대학교 사범대학 컴퓨터교육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