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쉬땅나무(Sorbaria sorbifolia var. stellipila MAX.) 열매의 항산화 활성 성분
Antioxidative Constituents from Fruit of Sorbaria sorbifolia var. stellipila MAX. 원문보기

韓國資源植物學會誌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v.24 no.4, 2011년, pp.337 - 342  

박종혁 (세명대학교 자연약재과학과) ,  권진아 (세명대학교 자연약재과학과) ,  양윤정 (세명대학교 자연약재과학과) ,  한효상 (경원대학교 한의과대학 본초학교실) ,  한민우 (충북대학교 농업생명환경대학) ,  이영일 (울산대학교 화학과) ,  김인수 (울산대학교 화학과) ,  이종일 (순천대학교 한약자원학과) ,  강세찬 (세명대학교 자연약재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합성항산화제의 독성과 부작용으로 인한 천연물유래 항산화제에 대한 관심과 연구개발이 활발한 가운데 추출물 단계에서 ORAC assay를 통하여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쉬땅나무(Sorbaria sorbfolia var. stellipila Max.) 열매의 생물학적 생리활성 성분을 분리, 동정하기 위하여 국내에 자생하는 쉬땅나무의 열매를 채집하여 80% MeOH로 추출한 후 일반적인 용매분획법에 의해 분획한 분획물과 추출물을 대상으로 ORAC assay를 실시한 결과 80% MeOH추출물과 EtOAc, n-BuOH분획에서 천연항산화제인 trolox보다 우수한 활성이 나타났으며, 이중 가장 우수한 활성을 나타낸 EtOAc 분획물로 부터 각종 chromatography 기법을 통하여 분리, 정제한 결과 flavonoid계열의 화합물인 catechin을 단리 하였다. 단리 되어진 catechin은 쉬땅나무의 열매에서는 처음으로 본 연구에서 보고되는 성분으로 ORAC assay에서 대조군인 trolox에 비해 높진 않지만 유사한 활성이 나타나, vitamine E와 유사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여지며, 따라서, 이 성분 외에 다양한 항산화 활성 성분들의 복합작용으로 인하여 쉬땅나무열매 추출물 및 분획물이 vitamine E에 비하여 3배 이상의 높은 항산화 활성이 나타나고 있음을 시사하는 바이다. 현재까지 쉬땅나무에 대한 식물학적 성분연구 및 유효활성 성분연구가 다른 천연물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않았으나, flavonoid계 화합물이 TLC확인 시험을 통하여 확인한 바 다양하게 존재하고 있어, 향후 이와 유사한 다양한 flavonoid계열의 화합물을 분리하여,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갖는 천연물의약품의 기초자료 제공 등 항산화 성분연구에 많은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d the antioxidative constituents and their activities of the 80% methanolic extracts from fruit of Sorbaria sorbifolia var. stellipila MAX. The isolation of active compound was performed in three steps: solvent partition, open column chromatography, and hig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열매의 생물학적 생리활성 성분을 분리, 동정하기 위하여 국내에 자생하는 쉬땅나무의 열매를 채집하여 80% MeOH로 추출한 후 일반적인 용매분획법에 의해 분획한 분획물과 추출물을 대상으로 ORAC assay를 실시한 결과 80% MeOH추출물과 EtOAc, n-BuOH분획에서 천연항산화제인 trolox보다 우수한 활성이 나타났으며, 이중 가장 우수한 활성을 나타낸 EtOAc 분획물로 부터 각종 chromatography 기법을 통하여 분리, 정제한 결과 flavonoid계열의 화합물인 catechin을 단리 하였다. 단리 되어진 catechin은 쉬땅나무의 열매에서는 처음으로 본 연구에서 보고되는 성분으로 ORAC assay에서 대조군인 trolox에 비해 높진 않지만 유사한 활성이 나타나, vitamine E와 유사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여지며, 따라서, 이 성분 외에 다양한 항산화 활성 성분들의 복합작용으로 인하여 쉬땅나무 열매 추출물 및 분획물이 vitamine E에 비하여 3배 이상의 높은 항산화 활성이 나타나고 있음을 시사하는 바이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선행연구 결과에서 국내 자생하는 쉬땅나무의 지상부 80% EtOH 추출물과 분획물이 천연항산화제인 trolox에 비하여 2배 이상의 높은 항산화 활성을 갖는다는 결과를 바탕으로, 쉬땅나무 열매의 항산화 활성을 검색한 결과 열매 또한 높은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에 따라 쉬땅나무열매에서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단일화합물을 분리, 정제하여 동정하고자 하였다(Yang et al., 2011).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쉬땅나무란 무엇인가? 쉬땅나무는(sorbaria sorbifolia var. stellipila MAX)는 한국과 동아시아의 북동부 산기슭 계곡이나 습지에 자생하는 장미과(Rosaceae)에 속하는 낙엽관목으로 높이는 2 m에 달하며, 소엽은 13~23개로 피침형이다. 꽃은 6~7월에 개화하고 꽃받침과 꽃잎은 5개씩이며, 열매는 9월에 성숙한다(Lee, 1989).
쉬땅나무의 꽃은 언제 개화하는가? stellipila MAX)는 한국과 동아시아의 북동부 산기슭 계곡이나 습지에 자생하는 장미과(Rosaceae)에 속하는 낙엽관목으로 높이는 2 m에 달하며, 소엽은 13~23개로 피침형이다. 꽃은 6~7월에 개화하고 꽃받침과 꽃잎은 5개씩이며, 열매는 9월에 성숙한다(Lee, 1989). 한방에서는 진주매(珍珠梅)라 하여 활혈(活血) 작용이 있어서 골절상과 타박상에 울혈(鬱血)을 풀어 통증을 완화시키는데 사용하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Ahn, 2000).
합성 항산화제를 과량 투여시 문제점은 무엇인가? 최근 합성의약품의 독성과 부작용으로 인한 피해를 줄이기 위한 천연물유래 의약품, 기능성식품 및 화장품에 관한 관심과 연구가 각광 받고 있으며, 그 중 노화와 다양한 질환의 원인이 되는 활성산소를 조절할 수 있는 항산화제의 연구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기존의 합성 항산화제인 butylated hydroxyanisole(BHA)와 butylated hydroxytoluene (BHT)의 경우 효과가 뛰어난 반면에 과량 투여시 발암 및 심혈관 계열에 심각한 부작용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천연물로부터 유래하는 보다 안전하고 뛰어난 효과를 가지는 화합물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게 수행되고 있다(Seog et al., 200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Ahn, D. K. 2000. Illustrated book of Korean medicinal herbs. Kyuhaksa Publishing Co., Seoul, Korea. p. 562 (in Korean). 

  2. Arisawa, M. and Nakaoki, T. 1969. Unutilized resources. II. A new flavonoid glycoside in the leaves of Sorbaria stellipila. Yakugaku Zasshi. 89:705-706. 

  3. Jin, X., Chen, L., Jin, Y., Jin, Y., Zhang, X. 2004. Inhibitory effect of Sorbaria sorbifolia extract on diethylnitrosamine-induced hepatic precancerous lesion in rats. Tianjin Medical J. 32:159-161. 

  4. Kang, S. C and M. G. Choung. 2008. Comparative study on biological activities of colored potatoes, Hongyoung and Jayoung cultivar. Korean J. Crop Sci. 53:233-238. 

  5. Kim, C. M., Shin. M. K, Ahn. D. K and Lee. K. S. 2004. The encyclopedia of oriental herbal medicine. p. 4019 (in Korean). 

  6. Kim, D. K. and T. Y. Shin. 1998. Flavonoids from Sorbaria sorbifolia var. stellipila. Korean J. Pharmacogn. 29:254-257 (in Korean). 

  7. Kim, D. K., J. S. Eun, J. P. Lim, K. R. Lee and O. P. Zee. 1999. Lignans from Sorbaria sorbifolia var. stellipila. Yakhak Hoeji. 43:285-288 (in Korean). 

  8. Kim, D. K., S. H. Choi, J. O. Lee, S. Y. Ryu, D. K. Park, D. H. Shin, J. H. Jung, S. K. Pyo, K. R. Lee and O. P. Zee. 1997. Cytotoxic constituents of Sorbaria sorbifolia var. stellipila. Arch. Pharm. Res. 20:85-87. 

  9. Lee, S. M. and C. G. Lee. 2001. Toxic evaluation and chromatographic analysis of cucurbitacin D and F from Sorbaria sorbifolia. Analytical Sci. Technol. 14:191-195 (in Korean). 

  10. Lee, T. B. 1989. Illustrated Flora of Korea. Hyangmunsa Publishing Co., Seoul, Korea. p. 132 (in Korean). 

  11. Munehisa, A., Tokutaro, T. and Tashichiro, N. 1970. Stueies on unutilized resource. IV. Flavonoids in the leaver of S. stellipila. Chem. Pharm. Bull. 18:916-918. 

  12. Seog, H. M., M. S. Seo, H. M. Kim, M. S. Ahn and Y. T. Lee. 2002. Anttioxidative activity of barley polyphenol extract (BPE) separated from pearling by-produ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4:889-892. 

  13. Yang, Y. J., H. J. Kim, S. H. Kang and S. C. Kang. 2011. Screening of natural herb resources for anti-oxidative effects in Korea. Korean J. Plant Res. 24:1-9 (in Korean). 

  14. Zaitsev, V. G. and Makarova, G. V. 1969. Phytochemical study of Sorbaria sorbifolia leaves. Farm. Zh. 24:63-67. 

  15. Zhang, X., Ma, C., Guan, L., Quan, Y. 2003. Effect of Sorbaria Sorbifolia extract on anti-oxidative activities in rats with precancerosis induced by diethylnitrosamine. J. Chinese Integrative Med. 1:47-50. 

  16. Zhang, X., Ma, Chao., Guan, L., Quan, Y. 2004. Experimental study on Sorbaria sorbifolia extract against chronic liver damage in rats. J. Chinese Med. Mat. 27:751-753. 

  17. Zhang, X., Piao, L., Liu, C., Sun, Q., Jin, H., Yin, Z. 2003. Studies on liver-protection of Sorbaria sorbifolia aqueous extract. World Chinese J. Digestol. 11:1497-1499. 

  18. Zhang, X., Zhang, Y., Guan, L., Quan, Y., Sun, Q. 2004. Study on extraction and isolation of active constituents from Sorbaria sorbifolia and antitumor effect of the constituents in vivo. J. Chinese Med. Mat. 27:36-3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