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다양한 비선형지진해석방법에 따른 철근콘크리트 전단벽 구조물의 취약도곡선 평가
Fragility Curve Evaluation of Reinforced Concrete Shear Wall Structures according to Various Nonlinear Seismic Analysis Methods 원문보기

한국지진공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Earthquake Engineering Society of Korea, v.15 no.4 = no.80, 2011년, pp.1 - 12  

장동휘 (도로공사 도로교통연구원) ,  송종걸 (강원대학교 토목공학과) ,  강성립 (강원대학교 토목공학과) ,  박창호 (도로공사 도로교통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지진취약도 분석은 원자력 발전소의 내진성능평가를 위하여 발전되어져 왔지만, 현재는 적용성이 건물과 교량 등에도 확대되어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지진취약도 곡선은 수많은 지진가속도 기록을 이용하여 비선형 시간이력해석으로 구한다. 비선형 시간이력해석에 의한 지진취약도 분석은 구조물의 모델링과 해석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과정을 요구한다. 비선형 시간이력해석의 이와 같은 약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변위계수법과 역량스펙트럼 방법과 같은 간단한 해석방법을 지진취약도 분석에 적용하였다. 변위계수법과 역량 스펙트럼 방법을 적용한 지진취약도 곡선의 정확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철근콘크리트 전단벽 구조물에 대한 변위계수법과 역량스펙트럼 방법을 적용한 지진취약도 곡선을 비선형 시간이력해석에 의해 구해진 지진취약도 곡선과 비교하였다. 지진취약도 곡선의 작성을 위해서는 설계스펙트럼에 대응되는 190개의 인공지진과 Shinozuka 등이 제안한 방법이 적용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eismic fragility analysis has been developed to evaluate the seismic performance of existing nuclear power plants, but now its applicability has been extended to buildings and bridges. In general, the seismic fragility curves are evaluated from the nonlinear time-history analysis (THA) using many 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역량스펙트럼 방법과 변위계수법(3-5)은 아직까지는 해석의 정확성이 비탄성 시간이력해석에 비해서는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지진취약도 곡선을 평가하기 위하여 많이 사용된 비탄성 시간이력해석 이외에 역량스펙트럼 방법과 변위계수법에 의한 지진취약도 곡선을 비교하여 평가하고 각각의 지진해석방법에 따른 지진 취약도 곡선의 경향을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통하여 지진 취약도 분석을 위하여 비탄성 시간이력해석을 대체할 역량 스펙트럼 방법과 변위계수법의 정확성 및 경향을 분석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진취약도 분석방법은 크게 어떻게 구분할 수 있는가? 지진취약도 분석방법은 일반적으로 과거의 지진피해 사례의 분석에 의한 경험적인 방법(1)과 지진해석방법을(2) 이용한 수치해석적인 방법으로 크게 구분할 수 있으며 경험적인 방법과 수치해석적인 방법의 결과를 합리적으로 분석하여 최종적인 그 지역의 특성에 부합되는 지진취약도 곡선을 작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현재 국내의 현황은 지진취약도 곡선을 경험적인 방법으로 작성하는데 필요한 지진발생시 구조물의 피해상황에 대한 기초자료들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상황이므로 수치해석적인 지진취약도 분석기법을 이용하여 지진취약도 곡선을 작성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겠다.
여러 국가에서 지진취약도 분석기법을 개발하고 이를 실무에 적용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강진으로 인한 지진재해는 일반적으로 피해규모가 크고 피해지역이 광범위하기 때문에 도시화가 고도하게 진행된 사회에서 강진이 발생하게 된다면 이로 인한 지진재해는 국가경제발전에 아주 심각한 영향을 줄 수 있다. 따라서 강진이 자주 발생하는 미국, 일본, 대만 등에서는 현재까지 많은 연구자들이 수행한 연구결과들을 바탕으로 하여 각국의 현황에 적합한 구조물의 지진취약도 분석기법을 개발하고 이를 실무에 적용하고 있다.
역량스펙트럼 방법과 변위계수법의 단점은 무엇인가? 역량스펙트럼 방법(CSM)과 변위계수법(DCM)은 적용하기 간편하기 때문에 지진취약도 곡선의 작성에 적용할 경우에 수많은 해석을 비탄성 시간이력해석에 비하여 노력과 시간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역량스펙트럼 방법과 변위계수법(3-5)은 아직까지는 해석의 정확성이 비탄성 시간이력해석에 비해서는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지진취약도 곡선을 평가하기 위하여 많이 사용된 비탄성 시간이력해석 이외에 역량스펙트럼 방법과 변위계수법에 의한 지진취약도 곡선을 비교하여 평가하고 각각의 지진해석방법에 따른 지진 취약도 곡선의 경향을 분석하는데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Basoz, N., and Mander, J.B., Enhancement of the highway transportation lifeline module in HAZUS, National Institute of Building Sciences, Draft7, 1999. 

  2. HAZUS-MH1, Earthquake Loss Estimation Methodology. Technical Manual. Prepared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Building Sciences for Feder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2003. 

  3. Applied Technology Council, Seismic evaluation and retrofit of concrete buildings, ATC-40 Report, Redwood city, California, 1996. 

  4. Applied Technology Council, NEHRP guidelines for the seismic rehabilitation of building (FEMA 273), and NEHRP commentary on the guidelines for the seismic rehabilitation of buildings (FEMA 274), ATC 33, Redwood city, California, 1997. 

  5. Applied Technology Council, Improvement of nonlinear static seismic analysis procedures (FEMA-440), ATC-55 Project, Redwood city, California, 2004. 

  6. Shinozuka, M., Feng, M.Q., Kim, H.K., Ueda, T., Statistical Analysis of Fragility Curves, Technical Report MCEER-03-0002, MCEER at Buffalo, NY, USA, 2003. 

  7. IAEA, IAEA CRP-NFE Camus Benchmark: Experimental results and specifications to the participants. Report DM2S. SEMT/EMSI/RT/02-047/A, 2002. 

  8. Valles RE, Reinhorn AM, Kunnath SK, Madan A, IDARC-2D version 4.0: a computer program for the inelastic damage analysis of building, Technical Report MCEER-96-0010, MCEER at Buffalo, NY, USA, 1996. 

  9. 송종걸, 장동휘, 김학수, 정영화, "철근콘크리트 벽체구조물에 대한 등가단자유도 방법 및 등가 감쇠비 산정방법에 따른 역량스펙트럼해석," 한국전산구조공학회 논문집, 제21권, 제2호, 169-187, 2008. 

  10. Gulkan, P., Sozen, M., "Inelastic response of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s to earthquakes motions," ACI Journal, Vol.71, 604-610, 1974. 

  11. ASCE, Prestandard and commentary for the seismic rehabilitation of buildings (FEMA 356), Reston, Virginia, 2000. 

  12. Song, J.K., Pincheira, J.A., Spectral displacement demands of stiffness and strength degrading systems, Earthquake Spectra, Vol. 16, No. 4, 817-851, 2000. 

  13. 송종걸, 남왕현, 정영화, "등가단자유도 방법의 영향을 고려한 다경간 교량의 내진성능 평가를 위한 비탄성 정적해석," 대한토목학회 논문집, 제26권, 제3A호, 473-484, 2006. 

  14. Shinozuka, M., Banerjee, S., Kim, S.H., Fragility Considerations in Highway Bridge, Technical Report MCEER-07-0023, MCEER at Buffalo, NY, USA, 2007. 

  15. 고현무, 이지호, 강준원, 조호현, "모멘트 손상지수를 이용한 철근콘크리트 교각의 지진취약도 평가," 대한토목학회 2002년 학술발표회논문집, 464-467, 2002. 

  16. Choi, E.S., Jeon, J.C., Seismic fragility of typical bridges in moderate seismic zone, KSCE Journal of Civil Engineering, Vol. 7, No. 1, 41-51, 200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