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리 주변해역에서 출현하는 웅어 (Coilia nasus)의 위내용물 조성
Diet Composition of Coilia nasus in the Coastal Waters off Gori, Korea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Ichthyology = 한국어류학회지, v.23 no.2, 2011년, pp.163 - 167  

백근욱 (경상대학교 해양생명과학과) ,  박주면 (전남대학교 해양기술학부) ,  추현기 (한국해양수산기술연구소) ,  허성회 (부경대학교 해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2005년 1월에서 12월까지 고려 주변 해역에서 채집된 웅어(Coilia nasus) 107개체의 식성을 조사하였다. 웅어의 표준체장(SL)은 8.4~29.5 cm 범위였다. 웅어의 위내용물을 분석한 결과 웅어는 새우류(Macrura)와 요각류(Copepoda)를 주로 섭식하는 육식(canivore)어류였다. 단각류(Amphipoda), 난바다곤쟁이류(Euphausiacea), 화살벌레류(Chaetognatha)도 섭식하였으나 그 양은 많이 않았다. 웅어의 섭식전략에 대한 도해적방법은 웅어가 섭식특화종(specialist predator)임을 보여주었다. 웅어는 작은 체장군과 큰 체장군에서 모두 새우류와 요각류를 주로 섭식하여 체장군과 위내용물 조성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개체당 섭식한 평균 먹이개체수와 건조중량은 큰 체장군에서 더 높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feeding habits of Coilia nasus were studied using 107 specimens collected from January to December 2005 in the coastal waters off Gori, Korea. The size of C. nasus ranged from 8.4 to 29.5 cm in standard length (SL). C. nasus was a carnivore that mainly consumed shrimps and copepods. Its diet al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동해 남부 고리 주변해에서 소형기선저인망에 의해 채집된 웅어의 위 내용물 조성과 체장 별식 성의 차이를 조사하였다.
  • 1). 본 연구는 27개체 이상의 표본을 조사하였기 때문에 웅어의 위 내용물을 설명하기에 충분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김익수, 최윤, 이충렬, 이용주, 김병직, 김지현, 2005. 한국어류대도감. 교학사, 615pp. 

  2. 박광재, 차성식, 1995, 광양만 멸치(Engraulis japonica)의 후기자어의 먹이생물, 한국수산학회지, 28: 247-252. 

  3. 이봉우, 정의영, 이정열, 2003, 웅어, Coilia nasus의 생식주기에 관한 조직학적 연구, 한국양식학회지, 16: 179-186. 

  4. 허성희, 1997, 꼼치(Liparis tanakai)의 식성, 한국어류학회지, 9: 71-78. 

  5. 허성희, 1999, 갈치(Trichiurus lepturus)의 식성, 한국어류학회지, 11: 191-197. 

  6. 허성희, 곽석남, 1997, 광양만 잘피밭에 서식하는 실고기(Syngnathus schlegeli)의 식성, 한국수산학회지, 30: 896-902. 

  7. 허성희, 남기문, 추현기, 백근욱, 2008, 부산 주변 해역에서 채집된 불볼락(Sebastes thompsoni)의 식성, 한국수산학회지, 41: 32-38. 

  8. mundsen, P.A., H.M. Gabler and F.J. Staldvik. 1996. A new approach to graphical analysis of feeding strategy from stomach contents data - modification of Costello (1990) method. J. Fish. Biol., 48: 607-614. 

  9. Din, Z.B. and G. Gunter. 1986. The food and feeding habits of the common bay anchovy, Anchoa Mitchilli (Vanenciennes). Pertanika, 9: 99-108. 

  10. Ferry, L.A. and G.M. Cailliet. 1996. Sample size and data analysis: are we characterizing and comparing diet properly. In: MacKinlay, D. and K. Shearer (eds.), Feeding Ecology and Nutrition in Fish, Symp. Proc., American Fisheries Society. San Francisco, CA, pp. 71-80. 

  11. Hansen, L.P. and P. Penthon. 1985. The food of Atlantic salmon, Salmo solar L., caught by long-line in northern Norwegian waters. J. Fish. Biol., 26: 553-562. 

  12. Hong, G. 1989. Feeding habits and food composition of half-fin anchovy, Setipinna taty (C et V) in the Bohai Sea. Chin. J. Oceanol. Limnol., 8: 280-288. 

  13. Kwun, H.J., Y.H. Kim, J.B. Kim, C.H. Jeong and J.G. Kim. 2010. One unusual species, Coilia sp. (Engraulidae, Pisces) from the Yellow Sea. Ani. Cel. Syst., 14: 137-145. 

  14. Last, J.M. 1989. The food of herring, Clupea harengas, in the North Sea, 1983-1986. J. Fish. Biol., 34: 489-501. 

  15. Meng, T. 2003. Studies on the feeding of anchovy (Engraulis japonicus) at different life stages on zooplankton in the Middle and Southern Waters of the Yello Sea. Mar. Fish. Res./Haiyang Shuichan Yanjiu., 24: 1-9. 

  16. Pianka, E.R. 1988. Evolutionary Ecology, 4th ed. Harper Collins, New York, 468pp. 

  17. Pinkas, L., M.S. Oliphant and I.LK. Iverson. 1971. Food habits of albacore, bluefin tuna and bonito in California waters. Fish. Bull., 152: 1-105. 

  18. Riede, K. 2004 Global Register of Migratory Species - from global to regional scales. Final Report of the R&D-Projekt. Federal Agency for Nature Conservation, Bonn, Germany. 329pp. 

  19. Santic, M., M, Podvinski, A. Pallaoro, I. Jardas and M. Kirincic. 2009. Feeding habits of megrim, Lepidorhombus whiffiagonis (Walbaum, 1792), from the central Adriatic Sea. J. Appl. Ichthyol., 25: 417-422. 

  20. Whitehead, P.J.P., G.J. Nelson and T. Wongratana. 1988. FAO Species Catalogue. Vol. 7. Clupeoid fishes of the world (Suborder Clupeoidei). An annotated and illustrated catalogue of the herrings, sardines, pilchards, sprats, shads, anchovies and wolf-herrings. Part 2 - Engraulididae. FAO Fish. Synop. 125(7/2): 305-579. 

  21. Yamada, U., S. Shirai, T. Irie, M. Tokimura, S. Deng, Y. Zheng, C. Li, YU. Kim and Y.S. Kim. 1995. Names and Illustrations of fishes from the East China Sea and the Yellow Sea. Overseas Fishery Cooperation Foundation, Tokyo, Japan (xi+288pp.). 

  22. Yasue, N., R. Doiuchi, Y. Yoshimoto and T. Takeuchi. 2010. Diet of late larval Japanese anchovy Engraulis japonicus in the Kii Channel, Japan. Fish. Sci., 76: 63-7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