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콘크리트채움 U형 강재보-강재기둥 합성 내진접합부에 대한 주기하중 실험
Cyclic Seismic Testing of Concrete-filled U-shaped Steel Beam-to-Steel Column Connections 원문보기

韓國鋼構造學會 論文集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teel Construction, v.23 no.3 = no.112, 2011년, pp.337 - 347  

박홍근 (서울대학교 건축학과) ,  이철호 (서울대학교 건축학과) ,  박창희 (서울대학교 건축학과) ,  황현종 (서울대학교 건축학과) ,  이창남 ((주)센구조연구소) ,  김형섭 ((주)센구조연구소) ,  김성배 ((주)센구조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에서는 콘크리트 채움 U형 강재보와 강재 H단면 기둥으로 구성된 접합부의 내진 성능을 평가하였다. 접합부 내진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세 개의 보-기둥 접합부 실험체를 반복주기하중에 대하여 실험하였다. 합성보는 콘크리트 슬래브와 스터드를 이용하여 일체화 되었으며, 슬래브에는 부모멘트를 위한 철근이 배치되었다. 접합부 상세를 실험 변수로 하였으며, 보 접합부의 강화방안 및 약화방안, 합성효과의 정도를 고려하였다. 합성보의 춤은 슬래브 두께를 포함하여 600mm이며, 강재보와 슬래브의 철근은 H형강 기둥과 용접을 통해 접합하였다. 접합부 강화방안은 합성보 플랜지에 덧댐플레이트를 용접하였으며, 약화방안으로서 소성힌지 발생지점에 채움콘크리트 안에 스티로폼을 삽입하였다. 실험 결과 완전합성 실험체는 강도와 변형능력, 에너지 소산에 있어서 우수한 성능을 보여주었다. 변형능력은 특수모멘트골조 기준인 4% 이상의 회전각을 발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seismic resistance of concrete encased U-shaped steel beam-to-steel H-shaped column connections was evaluated. Three specimens of the beam-to-column connection were tested under cyclic loading. The composite beam was integrated with concrete slab using studs. Re-bars for negative mom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1) TSC 합성보와 철골기둥의 접합부의 내진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보-기둥 접합부 내진상세를 연구하였다.
  • U형 단면을 갖는 강재보의 일종인 TSC 합성보와 철골기둥 접합부의 내진성능을 연구하였다. TSC 강재보는 채움콘크리트, 슬래브콘크리트 및 슬래브철근과 합성작용을 하도록 설계되었으며, 강재기둥으로서는 H형강 기둥을 사용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U형 합성보의 일종인 TSC합성보와 H형강 철골기둥의 실물크기 접합부에 대한 내진성능을 검증하였다. 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세부적인 연구를 수행하였다:

가설 설정

  • 이로 인하여 2% 회전각에서 조기에 TSC보 강판 좌굴(B)이 발생하였으며, 3% 회전각에서 TSC보 하부 플랜지 보강판 용접부에서 하부 플랜지 파단(C)이 발생하여 하중 재하능력이 감소하였다.(그림 7(b)) 세 실험체 모두 기둥 플랜지에 용접된 슬래브 철근 커플러의 파단이나 철근의 좌굴은 발생하지 않았다.
  • 기본개념은 보강단부로 가정한 소성힌지의 변형경화 소성모멘트를 기둥외주면으로 외사(extrapolation)했을 때의 모멘트보다 접합강도가 크도록 접합부를 보강하는 것이다. 강재, 철근 및 콘크리트의 초과강도계수 및 변형경화계수는 KBC 2009 및 ACI 318-08의 관련 조항에 따라 각각 1.2, 1.25, #, 1.1로 가정하였다. 모든 실험체의 강재보-기둥 용접부는 먼저 전주 양면모살용접 후에 다음과 같은 보강 또는 약화방안을 고려하였다(그림 3의 상세 참조).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TSC 보는 무엇으로 무엇으로 구성되는가? 근래 들어 다양한 형태의 합성보가 개발되고 있는데, 이러한 형태의 대표적인 것의 하나로서 TSC 보가 있다. TSC 보는 비교적 얇은 강판으로 만들어진 U 형 강재단면과 속채움 콘크리트 및 상부슬래브로 구성된다. 강재단면에는 경제성을 위하여 비교적 얇은 6mm 두께의 강판이 사용되며 최근에는 강판을 냉간성형하여 U형의 단면을 제작한다.
TSC-RC기둥 접합부에서는 무엇을 위하여 기둥 타이근에 강재보를 용접했는가? TSC-RC기둥 접합부에서는 강재보와 RC기둥사이의 미끄러짐 변형을 방지하고 힘을 직접 전달하기 위하여 기둥 타이근에 강재보를 용접하였으며, 슬래브 철근은 접합부를 관통하였다 (황현종 등, 2011). TSC-SRC기둥 접합부는 강재보를 H형강 기둥 플랜지에 용접하고 슬래브 철근은 기둥 플랜지 외곽으로 배근하였다 (김성배 등, 200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김성배, 함정태, 이창남, 김상섭(2006) SRC 기둥-TSC 보접합부의 거동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대한건축학회, 제22권, 제6호, pp.55-62. 

  2. 대한건축학회(2010) 건축구조기준 및 해석 (KBC2009) 기문당. 

  3. 황현종, 박홍근, 이철호, 박창희, 이창남, 김형섭, 김성배 (2011) 콘크리트채움 U형 강재보-콘크리트 기둥 접합부의 내진성능, 한국강구조학회논문집, 한국강구조학회, 제23권, 제1호, pp.83-97. 

  4. American Concrete Institute (ACI). (2008) Building Code Requirements for Structural Concrete (ACI 318-08) and Commentary, ACI Committee 318. 

  5. American Institute of Steel Construction (AISC). (2005) Seismic provisions for structural steel buildings, Chicago 

  6. Anderson, D.and Najafi, A.A.(1994) Performance of Composite Connections: Major Axis End Plate Joints, Journal of Constructional Steel Research, ELSEVIER, Vol.31, No.1, pp.31-57. 

  7. Leon,R.T.(1990) Semi-Rigid Composite Construction, Journal of Constructional Steel Research, ELSEVIER, Vol.15, No.1, pp.99-120. 

  8. Leon,R.T.(1998) Composite connections,Structural Engineering and Materials, Construction Research Communications, Vol.1, No.2, pp.159-169. 

  9. Park, R. (1988) State-of-the Art Report: Ductility Evaluation from Laboratory and Analytical Testing, Proceedings of 9th World Conferenceon Earthquake Engineering, Vol.8, pp.605-616 

  10. Vasdravellis, G.,Valente, M., and Castiglioni,C.A.(2009) Dynamic response of composite frames with differentshear connection degree, Journal of Constructional Steel Research, ELSEVIER, Vol. 65, No.10, pp.2050-2061. 

  11. Xiao, Y., Choo, B.S., and Nethercot, D.A. (1994) Composite Connections in Steeland Concrete.I. Experimental Behavior of Composite Beam-Column Connections, Journal of Constructional Steel Research, ELSEVIER, Vol.31, No.1, pp.3-3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