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주거환경 공기 중 호흡기 바이러스의 검출

Detection of Airborne Respiratory Viruses in Residential Environments

韓國環境保健學會誌 =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sciences, v.37 no.4, 2011년, pp.306 - 314  

박근태 (고려대학교 보건과학대학 임상병리학과) ,  문경환 (고려대학교 보건과학대학 환경보건학과) ,  김형태 (웅진코웨이 R&D 센터) ,  박찬정 (웅진코웨이 R&D 센터) ,  정호철 (GS건설기술연구소) ,  임영희 (고려대학교 보건과학대학 임상병리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Respiratory virus infections are the most common disease among all ages in all parts of the world and occur through airborne transmiss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ct and quantitate human respiratory viruses in residential environments. Methods: Air samples were collected fr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아파트 주거환경내 공기 중에 존재하는 호흡기계 감염증 유발 원인 바이러스 중에서 분리빈도가 높은 인플루엔자 A 형 바이러스(Flu A), 인플루엔자 B 형 바이러스(Flu B), 아데노바이러스(Adeno), 메타뉴모바이러스(MPV), 파라인플루엔자 바이러스(PIV), Respiratory syncytial virus(RSV)에 대해 핵산 증폭법을 이용하여 검출한 결과를 보고하여 호흡기 바이러스 감염 예방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바이러스 중에 공기를 통한 호흡기 바이러스의 주요 인자는 무엇이 있는가? 1) 일반적으로 호흡기 바이러스들은 특성상 전염성이 매우 높아 짧은 기간에 많은 사람들을 질환에 이환 시킬 수 있고, 잠복기가 짧아 폭발적인 유행양상을 보일 수 있기 때문에, 호흡기 바이러스의 계절별 유행 양상과 지역별, 연령대별 역학조사를 통해 원인 바이러스의 규명 및 이에 따른 신속한 치료가 필요하다. 바이러스 중에서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influenza virus), 파라인플루엔자 바이러스(parainfluenza virus), 호흡기세포융합 바이러스(respiratory syncytial virus), 아데노바이러스(adenovirus), 라이노바이러스(rhinovirus), 코로나바이러스(coronavirus) 등이 공기를 통한 호흡기 바이러스의 주요 인자로 알려져 있다.2-4)
실내에 호흡기 질환을 보이는 사람이 있을 시 실내 공기 중의 바이러스 수치가 급격히 증가한다는 결과는 무엇을 시사하는가? 본 연구 결과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주거환경 공기 중에도 호흡기 바이러스가 존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특히 실내에 호흡기 질환을 보이는 사람이 있을 시 실내 공기 중의 바이러스 수치가 급격히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이는 호흡기 바이러스의 전파는 주로 환자의 손의 접촉에 의해 전파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호흡기 바이러스가 공기를 통해서 전파될 가능성도 있음을 시사한다. 환자들이 모이는 원내에서의 감염뿐 아니라 집안 내에서의 가족 구성원 중 한 사람만이라도 호흡기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다른 가족들도 모두 호흡기 감염에 노출된 위험이 크게 증가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호흡기 바이러스의 계절별 유행 양상과 지역별, 연령대별 역학조사를 통해 원인 바이러스의 규명 및 이에 따른 신속한 치료가 필요한 이유는? 급성 호흡기 감염증은 세계적으로 질병이환 및 감염증 관련 주요 사망원인으로 사회적, 보건학적으로 많은 문제가 있으며 원인병원체가 다양하고 신속한 진단이 어려워 이에 따른 과도한 항생제 오남용과 의료비 지급 등 경제적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1) 일반적으로 호흡기 바이러스들은 특성상 전염성이 매우 높아 짧은 기간에 많은 사람들을 질환에 이환 시킬 수 있고, 잠복기가 짧아 폭발적인 유행양상을 보일 수 있기 때문에, 호흡기 바이러스의 계절별 유행 양상과 지역별, 연령대별 역학조사를 통해 원인 바이러스의 규명 및 이에 따른 신속한 치료가 필요하다. 바이러스 중에서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influenza virus), 파라인플루엔자 바이러스(parainfluenza virus), 호흡기세포융합 바이러스(respiratory syncytial virus), 아데노바이러스(adenovirus), 라이노바이러스(rhinovirus), 코로나바이러스(coronavirus) 등이 공기를 통한 호흡기 바이러스의 주요 인자로 알려져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van den Hoogen BG, Osterhaus D, Fouchier RA. Clinical impact and diagnosis of human metapneumovirus infection. Pedistr Infect Dis J. 2004; 23(1 Suppl): S25-32. 

  2. Denny Jr, FW. The clinical impact of human respiratory virus infections. Am J Respir Care Med. 1995; 152(4): 4-12. 

  3. Erard V, Huang ML, Ferrenberg J, Nguy L, Stevens-Ayers TL, Hackman RC, et al. Quantitative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for detection of adenovirus after T cell-replete hematopoietic cell transplantation: viral load as a marker for invasive disease. Clin Infect Dis. 2007; 45(8): 958-965. 

  4. Hierholzer JC. Adenovirus in the immunocompromised host. Clin Microbiol Rev. 1992; 5(3): 262-274. 

  5. Rivers MN, Alexander JL, Rohde RE, Pierce JR. Hantavirus pulmonary syndrome in Texas: 1993- 2006. South Med J. 2009; 102(1): 36-41. 

  6. Lee JY. Between life and death of the virus, 1st ed. Seoul: Jiho publishing; 2005. p.278. 

  7. Isaacs D, Moxon ER, Handbook of Neonatal Infections, 1st ed. Philadelphia: W B Saunders company; 1999. p.53-78. 

  8. Moser MR, Bender TR, Margolis HS, Noble GR, Kendal AP, Ritter DG. An outbreak of influenza abroad a commercial airliner. Am J Epidemiol. 1979; 110(1): 1-6. 

  9. Kenyon TA, Valway SE, Ihle WW, Onorato IM, Castro KG. Transmission of multidrug-resistant Mycobacterium tuberculosis during a long airplane flight. N Engl J Med. 1996; 334(15): 933-938. 

  10. Myatt TA, Johnston SL, Zuo Z, Wand M, Kebadze T, Rudnick S, et al. Detection of airborne rhinovirus and its relation to outdoor air supply in office environments. Am J Respir Crit Care Med. 2004; 169(11): 1187-1190. 

  11. Kim SH, Heo JH, Bae SY, Kim JS, Yoon SD, Lim CS, et al. Epidemiology of respiratory virus in 2004-2006. J Korea Clinical Laboratory. 2006; 26(5): 351-357. 

  12. Public health weekly report.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2011; 4(15): 269. 

  13. Kang JO, Kim EC, Lee KM, Lee NY, Lee CK. Surveillance for respiratory virus testing situation in Korea and epidemiology for the respiratory viruses detected in 5 university hospitals. Korean J Clin Microbiol. 2007; 10(2): 102-108. 

  14. Ahn KM, Chung SH, Chung EH, Koh YJ, Nam SY, Kim JH, et al. Clinical characteristics of acute viral lower respiratory tract infections in hospitalized children in seoul, 1996-1998. J Korean Med Sci. 1999; 14(4): 405-411. 

  15. Cheong HY, Lee JH, Kim YB, Nam HS, Choi YJ, Kim CJ, et al. Viral etiologic agents in acute viral lower respiratory tract detected by multiplex RT-PCR. Pediatr Allergy Respir Dis. 2007; 17(4): 334-53. 

  16. Echavarria MM, Forman M, Ticehurst J, Dumler JS, Charache P. PCR method for detection of adenovirus in urine of healthy and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infected individuals. J Clin Microbiol. 1998; 36(11): 3323-3326. 

  17. Schilham MW, Claas EC, van Zaane W, Heemskerk B, Vossen J, Lankester AC, et al. High levels of adenovirus DNA in serum correlate with fatal outcome of adenovirus infection in children after allogeneic stem-cell transplantation. Clin Infect Dis. 2002; 35(5): 526-532. 

  18. Harper GJ. Airborne microorganism: Survival tests with four viruses. J Hyg. 1961; 59: 479-486. 

  19. Miller WS, Arienstein MS. Aerosol stability of three acute respiratory disease viruses. Proc Soc Exp Biol Med. 1967; 125(1): 222-227. 

  20. Mahl MC, Sadler C. Virus survival on inanimate surfaces. Can J Microbiol. 1975; 21(6): 819-823. 

  21. Benbough JE. The effect of relative humidity on the survival of airborne SemliKi Forest virus. J Gen Virol. 1969; 4(4): 473-477. 

  22. Webb SJ, Bather R, Hodges RW. The effect of relative humidity and inositol on airborne viruses. Can J Microbiol. 1963; 9: 87-92. 

  23. Elazhary MA, Derbyshire JB. Aerosol stability of bovine adenovirus type 3. Can J Comp Med. 1979; 43(3): 305-312. 

  24. Davis GW, Grieseer RA, Shadduck JA, Farrell RL. Effect of relative humidity on dynamic aerosols of adenovirus 12. Appl Microbiol. 1971; 21(4): 676-679. 

  25. Lowen AC, Mubareka S, Steel J, Palese P. Influenza virus transmission is dependent on relative humidity and temperature. PLoS Pathog. 2007;3(10): 1470-1476. 

  26. Freymuth F, Vabret A, Cuvillon-Nimal D, Simon S, Dina J, Legrand L, et al. Comparison of multiplex PCR assays and conventional techniques for the diagnostic of respiratory virus infections in children admitted to hospital with an acute respiratory illness. J Med Virol. 2006; 78: 1498-150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