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관측 자료를 이용한 가뭄지수의 평가
Evaluation of Drought Indices using the Drought Records 원문보기

韓國水資源學會論文集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44 no.8, 2011년, pp.639 - 652  

김광섭 (경북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토목공학부) ,  이준원 (경북대학교 건축토목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가뭄지수들의 적합도와 가뭄의 변동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보고서 등 각종 문헌과 신문기사를 통해 수집한 실제 가뭄발생 기록을 정량화하고 1973년부터 2009년까지 전국 69개 기상관측소의 강수 및 기온 자료를 이용하여 산정한 기후변수와 각종 가뭄지수를 행정구역 별로 산정하여 비교 분석함으로서 기상학적 가뭄지수의 실제 가뭄에 대한 표현정도를 평가하였다. 평가를 위하여 ROC 공간상의 각 지수의 위치정보를 검정통계량으로 이용하였다. 분석결과 전반적으로 비교적 단기가뭄의 평가에 적합한 SPI3, PDSI, PN, Deciles이 실제 가뭄발생 기록과 가장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 행정구역에 따른 산포정도는 전반적으로 비교적 낮은 지역적 편차를 보이며, 기온과 증발량은 상대적으로 높은 지역적 편차를 나타냈다. 본 연구를 통해 우리나라 전 지역 가뭄의 시 공간적인 가뭄의 변화도를 파악하고 실제 가뭄에 대한 가뭄지수의 반영 정도를 파악하고, 더불어 ROC 분석을 통한 통계적 검증방법을 이용하여 가뭄지수의 적합도를 분석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he suitability of drought indices was analyzed using the quantified drought records from official reports, newspapers and drought indices estimated using precipitation and air temperature data of 69 weather stations from 1973 to 2009. Test statistics of the suitability of meteorolog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전역을 대상으로 가뭄의 공간적 분포를 확인하며, 실제 발생한 가뭄과 비교함으로서 각종 기후변수 및 가뭄지수의 가뭄표현의 정도를 평가하고자 한다. 1973년부터 2009년까지 전국 69개 지상관측소의 강수, 기온 등의 월별 기상자료를 사용하여 기상청에서 사용 중인 가뭄지수를 산정하였으며, 지점의 정보를 공간으로 확장하여 이를 행정구역단위로 나타내었다.
  • 전반적으로 SPI3, PN, Deciles가 실제 가뭄의 상황을 가장 잘 표현하고 있다. 본 연구는 수집된 가뭄기록과 각 가뭄지수와의 동일시기에 대한 일치 여부로 가뭄지수 및 기후변수의 가뭄표현정도를 평가하고 있다. 따라서 장기간의 강우 부족으로 인해 발생하는 장기가뭄의 표현이 부족한 반면 SPI3, PN, Deciles의 단기가뭄의 표현이 비교적 양호한 결과를 보여주는 것이라 판단할 수 있다.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가뭄의 지역적 특성과, 실제 발생한 가뭄기록과 각종 기후변수 및 기상학적 가뭄지수간의 상관관계 및 실제 가뭄에 대한 표현 정도를 분석하기 위하여 실제 가뭄기록을 보고서 등 문헌과 신문기사를 수집하여 행정구역단위로 가뭄사상을 정량화 하였다. 1973년부터 2009년 사이의 69개 기상청 지상관측소의 강수, 기온, 증발량 등 기후변수와 이를 이용하여 생산한 SPI, PDSI, PN, Deciles 등 가뭄지수의 공간분포를 행정구역별로 나타내었다.
  • 이러한 가뭄의 특성상 가뭄의 기록을 정량화 하는 것은 상당한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좀 더 객관적인 과거 가뭄의 자료를 얻고자 기사 및 보고서에 표현된 대중이 느끼는 실직적인 체감의 가뭄일시를 기준으로 기사 및 보고서의 본문에서 표현하고 있는 무강수 일수와 시점과 종점의 정보를 종합하여 1개월 단위로 구분하였다(Table 2).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Palmer (1965)에 의해 개발된 PDSI란 무엇인가? Palmer (1965)에 의해 개발된 PDSI는 가뭄이 비정상적인 수분 부족기간이라 정의하고, 가뭄의 심도를 수분의 부족량과 수분 부족기간의 함수로 나타냄으로서 실제 강수량과 기후학적으로 필요한 강수량의 차이를 강수, 기온 자료 뿐만 아니라 증발산량, 함양량, 유출량, 손실량, 토양 수분량 등 종합적 요소를 고려하여 결정짓는 방법이다(윤용남 등, 1997; Dai et al., 2004).
Mckee et al. (1993)에 의해 비교적 최근에 개발된 SPI의 장점은 무엇인가? 이는 Mckee et al. (1993)에 의해 비교적 최근에 개발되었으며 1, 3, 6, 9, 12개월의 다양한 지속기간에 따른 가뭄 지수를 표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SPI 산정 절차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강수량 십분위는 장기간의 가뭄 정도 판단에 사용되는 Palmer 가뭄지수와는 반대로 어떤 장점을 가지는가? 그리하여, 해당 기간의 강수량이 10등급 중 속한 범주에 따라 가뭄의 정도를 판단하는 지수이다. 강수량 십분위는 장기간의 가뭄정도 판단에 사용되는 Palmer 가뭄지수와는 반대로 단기간의 가뭄정도를 판단하며 비교적 강수량의 정확한 통계적 측정치를 제공한다는 장점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건설교통부(1995). 가뭄기록조사 보고서. 

  2. 건설교통부(2002). 2001년 가뭄기록조사 보고서. 

  3. 경민수, 김상단, 김보경, 김형수(2006). "군집분석을 통한 수문학적 가뭄의 가뭄심도-가뭄면적-가뭄지속기간 곡선의 작성."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7권, 제3B호, pp. 267-276. 

  4. 김광섭, 박한균(2010). "CART기법과 위성자료를 이용한 향상된 공간가뭄지수 산정." 한국지리정보학회지, 한국지리정보학회, 제13권, 제1호, pp. 128-141. 

  5. 김대하, 유철상(2006). "가뭄심도-지속기간-빈도해석을 통한 우리나라 가뭄의 공간분포 분석." 2006 대한토목학회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대한토목학회, pp. 1597-1600. 

  6. 김보경, 김상단, 이재수, 김형수(2006). "가뭄의 시공간적 분포 특성연구 : 가뭄심도-가뭄면적-가뭄지속기간 곡선의 작성."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6권, 제1B호, pp. 69-78. 

  7. 김성준, 안소라, 신영호, 나상진, 권현중(2009). "수문학적 가뭄평가기법의 개발 및 적용." GRI연구논총, 경기개발연구원, 제11권, 제1호, pp. 165-182. 

  8. 농업기반공사(2003). 농업가뭄지표 실용화 및 정보제공방안(I). 

  9. 농업기반공사(2004). 농업가뭄지표 실용화 및 정보제공방안(II). 

  10. 농업기반공사(2005). 농업가뭄지표 실용화 및 정보제공방안 연구(최종). 

  11. 류재희, 이동률, 안재현, 윤용남(2002). "가뭄평가를 위한 가뭄지수의 비교 연구."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5권, 제4호, pp. 397-410. 

  12. 윤용남, 안재현, 이동률(1997). "Palmer의 방법을 이용한 가뭄의 분석."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0권, 제4호, pp. 317-326. 

  13. 이재준, 이창훈(2005). "우리나라의 주요가뭄해석을 위한 각종 가뭄지수의 적용." 한국방재학회논문집, 한국방재학회, 제5권, 제4호, pp. 59-69. 

  14. 한국수자원공사(2001) 2001년 전국 가뭄조사 보고서. 

  15. Bhuiyan, C., Singh, R.P., and Kogan, F.N. (2006). "Monitoring drought dynamics in the Aravalli region (India) using different indices based on ground and remote sensing data." International Journal of Applied Earth Observation and Geoinformation, Vol. 8, No. 4, pp. 289-302. 

  16. Bonaccorso, B., Bordi, I., Cancelliere, A., Rossi, D., Sutera, A., and Sutera, A. (2003). "Spatial variability of drought: An analysis of the SPI in Sicily." Water Resources Management, Vol. 17, No. 4, pp. 273-296. 

  17. Dai, A., Trenberth, K.E., and Qian, T. (2004). "A global dataset of palmer drought severity index for 1870-2002: Relationship with soil moisture and effects of surface warming." Journal of Hydrometeorology, Vol. 5, No. 6, pp. 1117-1130. 

  18. Hanson, P.J., Weltzin, J.F. (2000). "Drought disturbance from climate change: response of United States forests." The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Vol. 262, No. 3, pp. 205-220. 

  19. Heckerling, P.S. (2002). "Parametric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curve analysis using mathematica." Computer Methods and Programs in Biomedicine, Vol. 69, No. 1, pp. 65-73. 

  20. Mckee, T.B., Doesken, N.J., and Kleist, J. (1993). "The relationship of drought frequency and duration to time scales." 8th Conference on Applied Climatology, Anaheim, California, Vol. 17, No. 22, pp. 179-184. 

  21. Palmer, W.C. (1965). "Meteorological drought." Office of Climatology U.S. Weather Bureau, Washington, D.C. 

  22. Spackman, K.A. (1989). "Signal detection theory: Valuable tools for evaluating inductive learning." Proceedings of the Sixth International Workshop on Machine Learning. Morgan Kaufmann, pp. 160-163. 

  23. Thornthwaite, C.W., and Mather, J.R. (1955). "The water balance." Climatology, Vol. 8, No. 1. 

  24. VanErkel, A.R., and Pattynama, P.M.T. (1998).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ROC) analysis: Basic principles and applications in radiology." European Journal of Radiology, Vol. 27, No. 2, pp. 88-9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