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토마토 유기재배에서 혼합유박과 볏짚의 적정시용량 및 토양 물리성에 미치는 영향
Optimal Application Rate of Mixed Expeller Cake and Rice Straw and Impacts on Physical Properties of Soil in Organic Cultivation of Tomato 원문보기

한국환경농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v.30 no.2, 2011년, pp.105 - 110  

임태준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원예특작환경과) ,  박진면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원예특작환경과) ,  이성은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원예특작환경과) ,  정현철 (국립농업과학원 농업환경부) ,  전상호 (국립농업과학원 농업환경부) ,  홍순달 (충북대학교 환경생명화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유기농 토마토 재배에서 유기자원인 혼합유박과 볏짚의 혼용에 대한 적정 시용량을 구명하고자, 무처리구, 혼합유박 1.0 N(표준시비구), 볏짚구, 볏짚+혼합유박 0.5 N, 볏짚+혼합 유박 1.0 N 등 5처리를 두고 4작기에 걸쳐 2년간 시험을 수행하였다. 작물의 수량을 기준으로 한 질소 양분기준은 1작기에서의 시험 전 토양의 질산태 질소 함량이 220 mg/kg 인 경우 모든 처리에서 수량의 차이가 없어 무시비 재배가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하지만 2작기에서는 무처리 및 볏짚구에서 수량의 감소를 보였으며, 3작기에서는 볏짚+혼합유박 0.5 N처리에서 유의성 있는 차이를 나타내었는데 이러한 수량의 차이를 보이는 시험 전 토양의 질산태 질소의 함량 기준은 160 mg/kg으로 평가되었으며, 질소 부족에 따른 질소공급원인 혼합유박 등의 표준시비가 요구되었다. 유기자원의 연용에 처리에서 볏짚은 용적밀도, 토양입단, 양이온치환용량, 부식함량 등 토양 물리성을 개선시키는 효과를 보였으나, 혼합유박에서는 토양 물리성 개량에의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므로 토마토 유기재배에서의 시비관리는 토양 중 질산태질소 함량에 따른 혼합유박의 적정 시비량 적용과 함께 토양물리성 개량 효과가 뛰어난 볏짚을 같이 시용해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CKGROUND: In this study, 5 different treatments such as non-treatment, mixed expeller cake 1.0 N (standard nitrogen fertilizer), rice straw, rice straw+mixed expeller cake 0.5 N, rice straw+mixed expeller cake 1.0 N were performed over 4 cropping seasons over 2 years in order to identify the opti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볏짚 등과 같은 유기자원의 연용하는 경우에 대한 토양의 개량효과에 대하여도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토마토 유기 재배에서 토양의 질산태 질소 수준에 따른 유박과 볏짚의 혼용 시용량의 산정 및 토양 물리적 특성 변화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기농 토마토 생산을 위한 농가에서의 퇴비 시용은 무엇을 사용하고 있는가? 유기농 토마토 생산을 위한 농가에서의 퇴비 시용은 양분 공급원으로써 혼합유박 등 유기질 비료와 토양 개량원으로는 볏짚 또는 톱밥 퇴비 등을 함께 시용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유기재배 농가에서는 녹비작물을 재배하기도 하나 여름에는 2개월 겨울기간에는 4-5개월 동안 녹비재배 기간이 소요되므로 어려움이 있어 쉽게 이용할 수 있는 볏짚 등과 같은 유기자원 등을 시용하고 있다(Lee et al.
유기자원의 토양 시용은 어떤 장점이 있는가? , 2008). 유기자원의 토양 시용은 토양입단 증가, 용적밀도 감소, 수분 보유력 증가 등 토양의 물리적 특성을 개선시킬 뿐 아니라(Celik et al., 2004; Hati et al., 2006; Gill et al., 2009), 토양 미생물의 활성을 촉진시키는 역할 등 토양에 매우 유익한 기능을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Marinari et al., 2000; Tu et al.
농가에서의 퇴비 시용에 사용되는 볏짚은 어떤 단점이 있는가? , 2007). 그러나 볏짚은 토양개량효과는 좋으나 작물재배기간 동안 무기화율이 낮아 질소공급능력이 낮으므로(Kim et al., 2004; Yeon et al., 2007), 안정적인 수량을 위해 깻묵, 코코피트 등으로 구성된 혼합유박 등과 같은 질소 공급원이 되는 유기질 비료가 필요하다(Yang et al., 2008; Cho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Blake, G. R., Hartge, K. H., 1986. p. 363-375. Bulk density. In: Klute, A. (ed.) Methods of Soil Analysis. Part 1. Physical and Mineralogical Methods. SSSA, Madison, WI. 

  2. Celik, I., Ortas, I. and Kilic, S. 2004. Effects of compost, mycorrhiza, manure and fertilizer on some physical properties of a Chromoxerert soil. Soil Till. Res. 78, 59-67. 

  3. Chang, E. D., Chung, R. S., and Tsai, Y. H. 2007. Effect of different application rates of organic fertilizer on soil enzyme activity and microbial population. Soil Sci. Plant Nutr. 53, 132-140. 

  4. Chapman, H. D. 1965. Cation-exchange capacity. In: C. A. Black (ed.) Methods of soil analysis - Chemical and microbiological properties. Agronomy 9: 891-901. 

  5. Cho, H. J., Hwnag, S. W. Han, K. H., Cho, H. R., Shin, J. H., and Kim, L. Y. 2009.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upland soils under organic farming. Korean J. Soil Sci. Fert. 42, 98-102. 

  6. Choi, D. H., Sung, J. K., Lee, S. M., Lee, Y. H., Kim, J. M., Jung, J. A., and Song, B. H. 2008. Selection of useful organic materials as an additional fertilizer for organic red-pepper production and the application effect. Korean J. Soil Sci. Fert. 41,153-157. 

  7. Del Amor, F. M. 2007. Yield and fruit quality response of sweet pepper to organic and mineral fertilization. Renewable Agriculture and Food Systems. 22, 233-238. 

  8. Gericke, S., Kurmies, B., 1952. Die kolorimetrische phosphors?urebestimmung mit ammonium-vandatmolybdat und ihre anwendung bei der pflanzenanalyse. Z. Pflanzenernahrung, Dungung und Bodenkunde. 59, 235-247. 

  9. Gill, J. S., Sale, P. W. G., Peries, R. R., Tang, C. 2009. Changes in soil physical properties and crop root growth in dense sodic subsoil following incorporation of organic amendments. Field Crops research. 114, 137-146. 

  10. Hati, K.M., Mandal, K.G., Misra, A.K., Ghosh, P.K., Bandyopadhyay, K.K., 2006. Effect of inorganic fertilizer and farmyard manure on soil physical properties, root distribution, and water-use efficiency of soybean in Vertisols of central India. Biores, Technol. 97, 2182-2188. 

  11. Heeb, A., Lundegardh, B., Savage, G. and Ericsson, T. 2006. Impact of organic and inorganic fertilizers on yield, taste, and nutritional quality of tomatoes. J. Plant Nutr. Soil Sci. 169, 535-541. 

  12. Kbiz, Republic of Korea. 2010. http://www.kofic92.or.kr/index.html. 

  13. Kemper, W.D., Rosenau, R., Nelson, S., 1985. Gas displacement and aggregate stability of soil. Soil Sci. Soc. Am. J. 49, 25-28. 

  14. Kemper, W.D., Rosenau, R., 1986. p 425-442.Aggregate stability and size distribution. In: Page, A. L. (ed.) Methods of Soil Analysis. Part I. Physical and Mineralogical Methods. Soil Sci. Soc. Am. J., Madison, WI. 

  15. Kumada. K. 1987. Chemistry of soil organic matter. Developments in soil Science. p. 95-134. 

  16. Kuo, S. 1996. Phosphorus. p. 869-919. In: D.L. Sparks (ed.), Methods of soil Analysis. Part 3.SSSA Book Series No 5. SSSA, Madison, WI. 

  17. Lee, Y. J., Choi, D. H., Kim, S. H., Lee, S. M., Lee, Y. H., Lee, B. M. and Kim, T. W. 2004. Long-term changes in soil chemical properties in organic arable farm systems in Korea. Korean J. Soil Sci. Fert. 37, 228-234. 

  18. Lee, Y. H., Lee, S. G., Kim, S. H., Shin, J. H., Choi, D. H., Lee, Y. J. and Kim, H. M. 2006. Investigation of the utilization of organic materials and the chemical properties of soil in the organic farms in Korea. Korean. J. Organic Agric. 14, 55-67. 

  19. Lee, I. B., Kang, S. B. and Park, J. M. 2008. Effect of soil incorporation of graminaceous and leguminous manures on tomato (Lycoperiscon esculentum Mill.) growth and soil nutrient balances. Korean J. Environ. Agric. 27,343-348. 

  20. Lee, J. T., 2010. Effect of application methods of organic fertilizer on growth, soil chemical properties and microbial densities in organic bulb onion production. Scientia Hortic. 124, 299-305. 

  21. Lotter, D. M. 2003. Organic agriculture, J. Sustainable Agric. 21, 59-128. 

  22. Marinari, S., Masciandaro, G., Ceccanti B., Grego. S., 2000. Influence of organic and mineral fertilizers on soil biological and physical properties. Bioresource Technology. 72, 9-17. 

  23. Mulvaney, R. L. 1996. Nitrogen inorganic forms. p. 1123-1184. Methods of soil analysis. Part 3.SSSA Book Series No 5. SSSA, Madison, WI. 

  24. National Agricultural Products Quality Management Service(NAQS), Republic of Korea. 2010. http://www.enviagro.go.kr/portal/info/info_certifi_ok.jsp. 

  25. Oh, W. K. 1978. Effects of organic materials on soil chemical properties. Korean J. Soil Sci. Fert. 11, 161-173. 

  26. RDA. 2006. Fertilizer regulations.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Suwon, Korea. 

  27. RDA. 2006. Fertilizer application recommendation for crops.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RDA, p63-64 

  28. Schollenberger, C. J., 1927. An rapid approximate method for determining soil organic matter. Soil Sci. 24, 65-68. 

  29. Skjemstad, J. O., Baldock. J. A., 2007. Chapter 21. In: M. R. Carter and E. G. Gregorich (ed.), Soil sampling and methods of analysis, Second edition., SSSA, Boca Raton, FL. 

  30. Simon, K., Speichermann, H. 1938. Beitrage zur Humusuntersuchungsmethodik, Bodenk. Pflanzenernahr. 8, 129-152. 

  31. Tu, C., Ristaino, J. B., Hu, S. 2006. Soil microbial biomass and activity in organic tomato farming systems: Effects of organic inputs and straw mulching. Soil Biology & Biochemistry. 38, 247-255. 

  32. Yang, C. H., Yoo, C. H., Kim, B. S., Park, W. K., Kim, J. D., and Jung, K. Y. 2008. Effect of application time and rate of mixed expeller cake on soil environment and rice quality. Korean J. Soil Sci. Fert. 41, 103-111. 

  33. Zhai, Z., Ehret. D. L., Forge. T., Helmer. T., Lin, W., Dorais., M., Papadopoulos, A. P., 2009. Organic fertilizers for greenhouse tomatoes: productivity and substrate microbiology. Hortscience. 44, 800-80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