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ldh2 knockout 마우스에서 8주간 에탄올 노출에 따른 뇌조직의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농도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Levels in Brain Tissue of Aldh2 Knockout Mice Following Ethanol Exposure for 8 Weeks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21 no.8 = no.136, 2011년, pp.1163 - 1167  

문선인 (충북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엄상용 (충북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김정현 (충북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임동혁 (충북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김형규 (충북대학교 미생물학교실 및 의학연구소) ,  김용대 (충북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김헌 (충북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과다한 음주는 알츠하이머파킨슨 질병과 같은 각종 만성 퇴행성 뇌질환의 대표적인 원인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 체내에 유입된 에탄올알코올 탈수소효소(alcohol dehydrogenase, ADH)에 의해 아세트알데히드로 대사된 후 다시 알데히드탈수소효소 2(aldehyde dehydrogenase 2, ALDH2)에 의해 아세트산으로 대사되어 배출된다. 에탄올의 대사과정 중에는 다량의 free radical이 생성되어 체내에서 산화적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아세트알데히드는 활성산소를 생산하는 독성물질로 잘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8주간 에탄올에 노출된 Aldh2 knockout 마우스를 사용하여 ALDH2 효소 활성이 뇌 조직과 소변의 지질과산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살펴보았으며, 지질과산화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HPLC를 통한 TBARS 정도를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마우스에서 만성 에탄올 섭취는 뇌 조직 TBARS 생성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소변 TBARS는 Aldh2 (-/-) 마우스에서 에탄올을 투여함에 따라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p<0.05). 본 연구 결과로부터 8주간 에탄올을 경구 투여한 마우스에서 ALDH2의 활성은 체내의 전반적인 활성산소 생성에는 중요하게 관여하는 것으로 보이지만 뇌조직에서의 활성산소 생성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보이며, 이는 에탄올 노출과 이에 따른 활성산소가 다양한 만성 뇌질환을 유발한다는 기존의 가설에서 ALDH2의 활성이 중요하게 관여하지 않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Excessive alcohol consumption causes various degenerative brain diseases including Alzheimer's disease and Parkinson's disease. Absorbed ethanol is metabolized to acetaldehyde and acetic acid by alcohol dehydrogenase (ADH) and aldehyde dehydrogenase (ALDH). Acetaldehyde is well known as a toxicant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포화지방산에서 생성되는 과산화지질은 매우 불안정하여 복잡한 형태의 다른 화합물로 대사되는데, 여기에는 MDA 등의 카보닐화합물이 포함되며, 이와 같은 과산화지질의 증가는 다양한 종류의 만성질환 발생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4,5]. 본 연구에서는 8주간 에탄올을 경구 투여한 마우스의 소변과 뇌조직에서 TBARS 농도를 측정하고 이를 ALDH2 효소의 활성에 따라 비교함으로써 에탄올에 의한 만성 뇌신경질환의 발생에서 ALDH2 효소의 역할을 평가해 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뇌조직에서의 TBARS 농도는 Aldh2 (+/+) 마우스의 경우 대조군이 4.
  • 그러나 알츠하이머와 같은 만성 뇌질환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에탄올에 대한 만성노출 평가가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ALDH2 효소가 결핍된 knockout mice에 8주간 에탄올을 경구 투여한 후 뇌조직과 소변에 존재하는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TBARS)의 농도변화를 평가하고 이러한 변화가 ALDH2 효소의 활성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 비교하였다.
  • 2). 요중 TBARS 농도는 특정 장기가 아닌 전신에서 생성되는 산화적스트레스를 반영하는 것이므로 본 연구결과는 ALDH2 효소가 뇌 조직에서의 활성산소 생성과는 관련성이 없지만 뇌가 아닌 다른 장기에서의 산화적스트레스 발생과는 관련성이 있을 가능성을 시사해준다. 특히, 에탄올 대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간조직과 관련되어 있을 가능성이 가장 크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체내에 유입된 에탄올은 어떻게 배출되는가? 체내에 유입된 에탄올은 알코올 탈수소효소(alcohol dehydrogenase, ADH)에 의해 아세트알데히드로 대사된 후 다시 알데히드탈수소효소 2(aldehyde dehydrogenase 2, ALDH2)에 의해 아세트산으로 대사되어 배출된다[1]. 에탄올의 대사과정 중에는 다량의 free radical이 생성되어 체내에서 산화적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3,7,15], 알코올의 단기간 투여가 활성산소의 생성을 증가시킨다는 보고도 있다[2,19].
알츠하이머 질환의 발생 기전에서 가장 설득력 있게 받아들여지는 가설은? 특히, 알츠하이머 질환(Alzheimer's disease)은 인지능력과 행동능력 두 가지에 모두 영향을 미치는 진행적 노인성 치매증의 하나로 알코올의 과량 섭취 및 반복적인 섭취가 알코올성 기억상실(Alcohol-induced blackouts)을 유발하는 등 알츠하이머 질환의 중요한 인자로 알려져 있다. 알츠하이머 질환의 발생 기전에 대한 다양한 가설이 제기되고 있으나 그 중 가장 설득력 있게 받아들여지는 가설 중 하나가 활성산소(Reactive oxygen species, ROS)에 의한 산화적스트레스 관련설이다.
아시아 인종 50% 정도가 ALDH2 효소의 활성이 저하된 유전자형을 가진 이유는? 에탄올의 대사과정 중에는 다량의 free radical이 생성되어 체내에서 산화적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3,7,15], 알코올의 단기간 투여가 활성산소의 생성을 증가시킨다는 보고도 있다[2,19]. 한국인을 포함한 아시아 인종의 약 50%는 ALDH2 gene의 점돌연변이로 인해 ALDH2 활성이 저하된 유전자형을 지니고 있고[10,18], ALDH2 활성이 저하된 경우는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몇몇 질병의 발생률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23]. 최근, Ohta 등[17]이 일본인을 대상으로 한 역학연구에 따르면 ALDH2 효소의 활성이 알츠하이머 질환의 발생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보고하고 이 기전에 산화적스트레스가 관여하고 있음을 제시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Agarwal, D. P. and H. W. Goedde. 1992. Pharmacogenetics of alcohol metabolism and alcoholism. Pharmacogenetics 2, 48-62. 

  2. Bondy, S. C. and J. Orozco. 1994. Effects of ethanol treatment upon sources of reactive oxygen species in brain and liver. Alcohol and Alcoholism 29, 375-383. 

  3. Bondy, S. C. 1992. Ethanol toxicity and oxidative stress. Toxicol. Lett. 63, 231-241. 

  4. Browne, S. E. and M. F. Beal. 2006. Oxidative damage in Huntington's disease pathogenesis. Antioxid. Redox. Signal 8, 2061-2073. 

  5. De Maria, N., A. Colantoni, S. Fagiuoli, G. J. Liu, B. K. Rogers, F. Farinati, D. H. Van Thiel, and R. A. Floyd. 1996. Association between reactive oxygen species and disease activity in chronic hepatitis C. Free Radic. Biol. Med. 21, 291-295. 

  6. Esterbauer, H., R. J. Schaur, and H. Zollner. 1991. Chemistry and biochemistry of 4-hydroxynonenal, malonaldehyde and related aldehydes. Free Radic. Biol. Med. 11, 81-128. 

  7. Ishii, H., I. Kurose, and S. Kato. 1997. Pathogenesis of alcoholic liver disease with particular emphasis on oxidative stress. J. Gastroenterol. Hepatol. 12, 272S-282S. 

  8. Isse, T., K. Matsuno, T. Oyama, K. Kitagawa, and T. Kawamoto. 2005. Aldehyde dehydrogenase 2 gene targeting mouse lacking enzyme activity shows high acetaldehyde level in blood, brain, and liver after ethanol gavages. Alcohol. Clin. Exp. Res. 29, 1959-1964. 

  9. Isse, T., T. Oyama, T. Kitagawa, K. Matsuno, A. Matsumoto, and A. Yoshida. 2002. Diminished alcohol preference in transgenic mice lacking aldehyde dehydrogenase activity. Pharmacogenetics 12, 621-626. 

  10. Kee, J. Y., M. O. Kim, I. Y. You, J. Y, Chai, E. S. Hong, and S. C. An. 2003. Effects of genetic polymorphisms of ethanol-metabolizing enzymes on alcohol drinking behaviors. Taehan Kan Hakhoe Chi 9, 89-97. 

  11. Kim, Y. D., T. Oyama, T. Isse, H. Kim, and T. Kawamoto. 2005. Expression levels of hepatic cytochrome P450 enzymes in Aldh2-deficient mice following ethanol exposure: a pilot study. Arch. Toxicol. 79, 192-195. 

  12. Kim, Y. D., S. Y. Eom, M. Ogawa, T. Oyama, T. Isse, J. W. Kang, Y. W. Zhang, T. Kawamoto, and H. Kim. 2007. Ethanol-induced oxidative DNA damage and CYP2E1 expression in liver tissue of Aldh2 knockout mice. J. Occup. Health 49, 363-369. 

  13. Kitagawa, K., T. Kawamoto, N. Kunugita, T. Tsukiyama, K. Okamoto, and A. Yoshida. 2000. Aldehyde dehydrogenase (ALDH) 2 associates with oxidation of methoxyacetaldehyde; in vitro analysis with liver subcellular fraction derived from human and Aldh2 gene targeting mouse. FEBS Lett. 476, 306-311. 

  14. National Research Council (US) Committee. 2011. Guide for the Care and Use of Laboratory Animals. 8th edition. National Academies Press (US). Washington D.C. 

  15. Nordmann, R., C. Ribiere, and H. Rouach. 1992. Implication of free radical mechanisms in ethanol-induced cellular injury. Free Radic. Biol. Med. 12, 219-240. 

  16. Ohkawa, H., N. Ohishi, and K. Yagi. 1979. Assay for lipid peroxides in animal tissues by thiobarbituric acid reaction. Anal. Biochem. 95, 351-358. 

  17. Ohta, S., I. Ohsawa, K. Kamino, F. Ando, and H. Shimokata. 2004. Mitochondrial ALDH2 deficiency as an oxidative stress. Ann. N. Y. Acad. Sci. 1011, 36-44. 

  18. Oyama, T., T. Isse, N. Kagawa, T. Kinaga, Y. D. Kim, and M. Morita. 2005. Tissue-distribution of aldehyde dehydrogenase 2 and effects of the ALDH2 gene-disruption on the expression of enzymes involved in alcohol metabolism. Front. Biosci. 10, 951-960. 

  19. Reinke, L. A., Y. Kotake, P. B. McCay, and E. G. Janzen. 1991. Spin-trapping studies of hepatic free radicals formed following the acute administration of ethanol to rats: in vivo detection of 1-hydroxyethyl radicals with PBN. Free Radic. Biol. Med. 11, 31-39. 

  20. Shin, I. S., R. Stewart, T. M. Kim, S. W. Kim, S. T. Yang, H. Y. Shin, J. S. Jung, and J. S. Yoon. 2005. Mitochondrial aldehyde dehydrogenase polymorphism is not associated with incidence of Alzheimer's disease. Int. J. Geriatr. Psychiatry 20, 1075-1080. 

  21. Yokoyama, A., T. Muramatsu, T. Ohmori, T. Yokoyama, K. Okuyama, H. Takahashi, Y. Hasegawa, S. Higuchi, K. Maruyama, K. Shirakura, and H. Ishii. 1998. Alcohol-related cancers and aldehyde dehydrogenase-2 in Japanese alcoholics. Carcinogenesis 19, 1383-1387. 

  22. Yokoyama, A., T. Muramatsu, T. Omori, T. Yokoyama, S. Matsushita, S. Higuchi, K. Maruyama, and H. Ishii. 2001. Alcohol and aldehyde dehydrogenase gene polymorphisms and oropharyngolaryngeal, esophageal and stomach cancers in Japanese alcoholics. Carcinogenesis 22, 433-439. 

  23. Yokoyama, A., H. Watanabe, H. Fukuda, T. Haneda, H. Kato, and T. Yokoyama. 2002. Multiple cancers associated with esophageal and oropharyngolaryngeal squamous cell carcinoma and the aldehyde dehydrogenase-2 genotype in male Japanese drinkers. Cancer Epidemiol. Biomarkers Prev. 11, 895-900. 

  24. Zhang, X. S., Y. Li, R. A. Brown, and J. Ren. 2004. Ethanol and acetaldehyde in alcoholic cardiomyopathy: from bad to ugly en route to oxidative stress. Alcohol 32, 175-18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