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주도 노루의 개체수 관리를 위한 확장적 피식-포식모형의 적용에 관한 연구
Application of an Augmented Predator-Prey Model to the Population Dynamics of Roe Deer in Jeju 원문보기

한국 시스템 다이내믹스 연구 = Korean system dynamics review, v.12 no.2, 2011년, pp.95 - 126  

전대욱 (한국지방행정연구원) ,  김도훈 (숙명여자대학교 행정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aims at developing a System Dynamics model with an augmented predator-prey interaction structure to deal with the population management of roe deer in Jeju, Korea. Although people still regard the creature as one of the important tourist attractions, there has been much debate on the iss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상과 같은 시스템의 동적균형이 안정적인가에 대해서는 이미 3장의 시스템 사고에서 논한 바와 같이, 멸종까지 이끌 수 있는 과다한 소멸률(남획 등)을 적용하지 않고, 위의 범위조건을 만족시키는 정상적인 파라메터의 값이라면 충분히 조절루프에 의해서 안정성이 확보될 수 있음을 추론할 수 있다. 다만 해석적으로 이를 증명하기 위해서는 본 연립미방시스템의 Jacobian 행렬을 구한 후 그 행렬의 고유치(eigenvalues)에 의한 테스트를 수행해야 하며, 이는 상기 이론모델로 구할 경우 대단히 길고 복잡한 과정이 될 수 있으므로 다음 절의 실험례의 파라메터 추정치를 적용한 검증의 예시를 [부록 2]에 제시하고자 한다.
  • 즉, 선행연구의 장점인 이동행태의 모델구조(이소개체군 모델링)를 살리는 동시에 선행연구의 단점인 2단계 먹이사슬 구조를 극복하기 위해서, 기존 피식-포식모델의 원형이라고 할 수 있는 Lotka-Volterra 모형의 확장구조를 탐색함으로써 제주도의 노루에 관련된 다양한 변수들을 충분히 포함할 수 있도록 새로운 확장구조를 개발하는 것이 본 논문의 주된 목적이다. 본 논문은 궁극적으로 제주노루의 개체수관리라는 실제적인 지향점을 두고 있는 일련의 장기연구에 있어서, 모델링 과정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을 극복하는 새로운 모델구조의 개발결과를 제시하는 것으로서 방법론적이며 모델구조에 관한 이론적인 성격의 논문이라고 할 수 있다.
  • 본 논문은 제주노루의 개체수 관리를 위한 일련의 연구의 일환으로서, 김도훈 외(2008, 2006) 등에서 제시하였던 노루의 이소개체군간 이동행태를 살리기 위해 선행연구의 모델구조를 개선한 결과를 제시하고 있다. 즉, 선행연구의 한계였던 노루의 이동행태를 정확히 반영하고 관련 외생변수들을 내생화시키기 위하여, 기존 피식-포식 모델에서 활용된 2단계 먹이사슬 구조를 3단계 구조로 표현한 확장적 Lotka-Volterra 구조를 적용한 결과를 제시하였다.
  • 본 논문은 제주도의 노루개체수의 관리라는 궁극적이며 실제적인 목적을 지향하는 과정에서, 상기와 같은 선행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모델의 구조를 확장하고 개선하는 것을 우선적인 목적으로 삼는다. 즉, 선행연구의 장점인 이동행태의 모델구조(이소개체군 모델링)를 살리는 동시에 선행연구의 단점인 2단계 먹이사슬 구조를 극복하기 위해서, 기존 피식-포식모델의 원형이라고 할 수 있는 Lotka-Volterra 모형의 확장구조를 탐색함으로써 제주도의 노루에 관련된 다양한 변수들을 충분히 포함할 수 있도록 새로운 확장구조를 개발하는 것이 본 논문의 주된 목적이다.
  • 본 연구에서는 모델의 개발과 모델구조에 대한 타당성 제고에 초점이 있으므로 구체적으로 제주도의 실제 데이터를 적용하지는 않았으며, 제안된 모형이 바람직한 행태를 보이는지, 그 동적균형은 안정적인지 등을 테스트하기 위하여 정상적인 파라메터의 설정값을 통해 실험례를 제시하고자 한다. 제주도의 현황자료에 근거한 시뮬레이션과 실제적인 정책 제언 등은 추후 연구에서 진행될 것이다.
  • 본 절에서는 연구모델의 개발을 위해 제주도와 한라산에 서식하는 노루의 생태적 특징을 기술하고, 이로부터 개체수의 동역학에 필요한 인과모형 및 수리모형의 핵심적인 가설(dynamic hypothesis)을 정립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본 절의 노루생태에 대해서는 제주 노루 생태관찰원 생태자료실2) 및 오장근 외(2009), 김병수 외(2007)의 문헌을 참고하였다.
  • 본 논문은 제주도의 노루개체수의 관리라는 궁극적이며 실제적인 목적을 지향하는 과정에서, 상기와 같은 선행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모델의 구조를 확장하고 개선하는 것을 우선적인 목적으로 삼는다. 즉, 선행연구의 장점인 이동행태의 모델구조(이소개체군 모델링)를 살리는 동시에 선행연구의 단점인 2단계 먹이사슬 구조를 극복하기 위해서, 기존 피식-포식모델의 원형이라고 할 수 있는 Lotka-Volterra 모형의 확장구조를 탐색함으로써 제주도의 노루에 관련된 다양한 변수들을 충분히 포함할 수 있도록 새로운 확장구조를 개발하는 것이 본 논문의 주된 목적이다. 본 논문은 궁극적으로 제주노루의 개체수관리라는 실제적인 지향점을 두고 있는 일련의 장기연구에 있어서, 모델링 과정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을 극복하는 새로운 모델구조의 개발결과를 제시하는 것으로서 방법론적이며 모델구조에 관한 이론적인 성격의 논문이라고 할 수 있다.

가설 설정

  • • [가설 2] 노루의 개체수는 먹이 및 번식에 있어서 종내 경쟁 등 주어진 서식지에 대한 서식밀도의 제약을 받음.
  • • [가설 3] 노루의 개체수는 자연사망과 천적에 의한 포식은 물론, 인위적 수렵(밀렵)행태나 로드킬 등을 주요 감소원인으로 제시할 수 있음.
  • • [가설 4] 노루의 로드킬은 노루의 고지대와 저지대 간 이동습관에 영향을 받으며 이동량에 비례함.
  • [그림 1]은 노루의 자연적인 개체수 변화와 이동에 관한 인과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가설 1] 및 피식-포식 모형의 원형인 고전적 Lotka-Volttera 모델에서와 같이 노루의 개체수는 피식종인 먹이의 섭취량과 개체수에 따라 결정된 출생량과 [가설 2]의 밀도제약, [가설 3]의 자연사망량, [가설 6]에서 주 서식지를 바꾸는 잔존 이동량에 의해 변화된다.
  • 본 모델에서 노루의 이동량은 [가설 5]과 같이 먹이부족률(=서식밀도/먹이량)에 피드백 되는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그림 1]에서 표현된 [가설 2]의 밀도제약은 본 인과지도에서 먹이의 부족에 의한 이동으로 표현되며, 천적이나 수렵, 로드킬 등의 희생 등 밀도제약과 관련된 피드백은 천적과의 상호작용에서 다시 구체화될 것이다. 이동에 따른 피드백 구조는 결과적으로 노루의 개체수가 증가[감소]하면 먹이부족률이 증가[감소]하여 먹이량이 감소[증가]되고, 먹이량이 감소[증가]되면 출생 및 이동을 촉진하여 개체수를 조절하는 전형적인 생태적 원리를 표현하고 있다.
  • ∙ [가설 1] 노루는 특정 식물(쌍떡잎 초본잎, 나무 및 관목 등)들을 섭취하며, 이 특정 식물들의 섭취를 통해 종을 유지하고 종의 개체수를 증식시킴.
  •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의 제주도내 해발고도에 따른 노루밀도의 분포에 두개의 피크(해발 500-600m의 밀도 및 해발 200-400m에 주로 분포한 골프장의 밀도)가 있음을 감안하여 이질적인 두 개의 분포를 가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의 노루가 과거 멸종 위기종이 되었던 이유는 무엇인가? 예로부터 제주도는 우리나라 노루의 주 서식지로서 각종 역사책에 등장할 정도로 유명하였으나, 일제강점기 무분별한 밀렵으로 1980년대까지 거의 발견하기 힘든 멸종 위기종이었다. 그러나 1987년 제주도는 노루를 제주 상징 포유류로 만들겠다는 의지를 천명하였고 그 결과 국립공원관리사무소와 민간단체들의 보호활동이 시작되면서 개체수가 급증하게 되었다(오장근 외, 2009; 윤성일, 2003).
노루가 주로 취하는 먹이는 무엇인가요? 노루는 체중당 에너지 요구가 크기 때문에 하루에 5∼11번씩 자주 먹이를 섭취하고 흡수된 에너지를 최대한 활용하기 위해 쉽게 소화되는 식물을 골라 먹는 선택적 채식행동을 보인다. 주로 취하는 먹이는 작은 쌍떡잎 초본의 잎, 나무 및 관목의 잎과 새싹 등으로 먹이 중 52.2%가 목초, 풀잎과 활엽 초본이고, 나무와 관목중들은 24.5%로 두 번째로 중요한 먹이 식물을 이룬다. 먹는 행위를 반복하는 것은 기후 요소, 먹이의 양과 유용성, 그리고 계절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는다.
우리나라의 노루 개체수가 급증하게 된 배경은 무엇인가? 예로부터 제주도는 우리나라 노루의 주 서식지로서 각종 역사책에 등장할 정도로 유명하였으나, 일제강점기 무분별한 밀렵으로 1980년대까지 거의 발견하기 힘든 멸종 위기종이었다. 그러나 1987년 제주도는 노루를 제주 상징 포유류로 만들겠다는 의지를 천명하였고 그 결과 국립공원관리사무소와 민간단체들의 보호활동이 시작되면서 개체수가 급증하게 되었다(오장근 외, 2009; 윤성일, 2003). 이후 1990년대에는 노루가 제주도 전역에서 관찰할 수 있는 흔한 종이 되었으며, 2000년대에 이르러서는 각종 농작물과 교통사고를 일으키는 문제의 야생동물로 지목되기도 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