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재배지역별 청양고추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Cheongyang pepper (Capsicum annuum L.) according to Cultivation Region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0 no.9, 2011년, pp.1340 - 1346  

황인국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김하윤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이준수 (충북대학교 식품공학과) ,  김행란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조명철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  고인배 (농촌진흥청 기술지원국) ,  유선미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청양고추를 13개 지역에서 노지재배된 것을 채취하여 재배지역별 품질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일반성분의 경우 단백질함량은 12.74~19.98%, 지방함량은 4.54~7.17%, 회분함량은 6.07~9.81% 범위로 넓은 분포를 보였다. 무기성분 함량은 지역별 차이를 보였지만 주요 무기성분은 K이었다. pH 및 총산도는 각각 4.86~5.26 및 2.10~4.25% 범위였다. 청양고추의 유리당은 fructose 및 glucose가 주요 유리당으로 검출되었고 각각 8.55~17.06% 및 3.25~10.47% 범위로 지역별 큰 차이를 나타냈다. 색도 중 a값은 28.89~37.12의 범위였고, ASTA값은 76.54~139.57의 범위로 a값에 비해 넓은 분포를 나타냈다. Capsaicin 함량은 100.27~261.54 mg%, dihydrocapsaicin 함량은 51.01~84.58 mg% 범위였고 capsaicinoid 함량은 11개 지역에서 200 mg% 이상의 함량을 보였다. 본 연구결과 청양고추는 재배지역에 따른 심한 함량 변이를 나타냈으며, 추후 다양한 품종을 대상으로 재배지역에 따른 품종 특성에 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proximate composition, mineral content, pH, acidity, color, ASTA value, free sugar content, and capsaicinoid level of Cheongyang pepper (Capscium annuum L.) cultivated in 13 different regions. For proximate composition of Cheongyang pepper, protein, lip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소비자는 고추를 구입할 때마다 고추의 매운맛 등 품질특성이 달라 애로를 겪고 있으며 제품 생산에 고추를 이용하는 일부 식품업체에서도 구입하는 고추의 품질 특성에 대한 기본정보를 확보할 수 있는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 고추의 지역별 품질 특성 및 기초 자료를 확보하기 위한 일환으로 대표적 매운 고추 품종인 청양고추를 13개 지역에서 노지재배된 것을 수집하여 재배지역별 품질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청양고추를 13개 지역에서 노지재배된 것을 채취하여 재배지역별 품질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일반성분의 경우 단백질함량은 12.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고추의 원산지는? 고추(Capsicum annuum L.)는 가지과(Solanaceae)에 속하는 식물로 남미 아마존강 유역이 원산지이며,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생산 및 소비되는 채소작물 중 하나이다(1). 고추는 대부분이 건조 후 건고추 및 고춧가루로 가공·보관되면서 연중 소비되고 있으며, 주로 김치, 고추장, 각종 양념용 및 조미료로서 광범위하게 이용되어 한국인의 식생활에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고추란? 고추(Capsicum annuum L.)는 가지과(Solanaceae)에 속하는 식물로 남미 아마존강 유역이 원산지이며,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생산 및 소비되는 채소작물 중 하나이다(1). 고추는 대부분이 건조 후 건고추 및 고춧가루로 가공·보관되면서 연중 소비되고 있으며, 주로 김치, 고추장, 각종 양념용 및 조미료로서 광범위하게 이용되어 한국인의 식생활에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우리나라 청양고추를 13개 지역에서 노지재배된 것을 채취하여 재배지역별 품질 특성을 비교 분석한 결과 일반성분의 함량은?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청양고추를 13개 지역에서 노지재배된 것을 채취하여 재배지역별 품질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일반성분의 경우 단백질함량은 12.74~19.98%, 지방함량은 4.54~7.17%, 회분함량은 6.07~9.81% 범위로 넓은 분포를 보였다. 무기성분 함량은 지역별 차이를 보였지만 주요 무기성분은 K이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Cho YS, Cho MC, Suh HD. 2000. Current status and projects of national hot pepper industry in Korea. J Korean Capsicum Res Coop 6: 1-27. 

  2. Sul MS, Hwang SY, Lee HJ, Park SH, Kim JG. 2004. The physico-chemical changes of the mashed red pepper during frozen storage. Korean J Food Culture 19: 209-216. 

  3. Jeong EJ, Bang BH, Kim KP. 2005. The characteristics of Kimchi by the degree of hotness of powdered red pepper. Korean J Food & Nutr 18: 88-93. 

  4. Choi J, Son IS, Jung YT, Lee DH, Park M, Choi CL. 2000. Soil characteristics and its influences on the yields and quality of red pepper in Yeongyang area, Gyeongbug province. Korean J Soil Sci Fert 33: 145-152. 

  5. Sung JM, Han YS, Jeong JW. 2010. Quality characteristics of semi-dried red pepper during frozen storage. Korean J Food Preserv 17: 1-8. 

  6. Kim CH, Ryu SH, Lee MJ, Baek JW, Hwang HC, Moon GS. 2004. Characteristics of red pepper (Capsicum annuum L.) powder using N2-circulated low temperature drying method.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25-31. 

  7. Kim S, Park JH. 2004. Composition of main carotenoids in Korean red pepper (Capsicum annuum L.) and change of pigment stability during the drying and storage process. J Food Sci 69: 39-44. 

  8. Kim JB, Ko HC, Lee JY, Ha SH, Kim JB, Kim HH, Gwag JG, Kim TS. 2009. Change in the carotenoid content of the Korean pepper (Capsicum annuum var. subicho.) during ripening stages. Korean J Intl Agric 21: 276-281. 

  9. Vega-Galvez A, Scala KD, Rodriguez K, Lemus-Mondaca R, Miranda M, Lopez J, Perez-Won M. 2009. Effect of air-drying temperature on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tioxidant capacity, colour and total phenolic content of red pepper (Capsicum annuum, L. var. Hungarian). Food Chem 117: 647-653. 

  10. Shin HH, Lee SR. 1991. Quality attributes of Korean red pepper according to cultivars and growing areas. Korean J Food Sci Technol 23: 296-300. 

  11. Choi SM, Jeon YS, Park KY. 2000. Comparison of quality of red pepper powders produced in Korea. Korean J Food Sci Technol 32: 1251-1257. 

  12. Park SH, Koo HJ, Lim HS, Yoo JH, Hwang SY, Shin EH, Park YH, Lee JH, Cho JS. 2003. The physicochemical change during storage of red pepper powder dried in hot-air by various processing method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876-881. 

  13. Kim S, Park JH, Wang IK. 2002. Quality attributes of various varieties of Korean red pepper powders (Capsicum annuum L.) and color stability during sunlight exposure. J Food Sci 67: 2957-2961. 

  14. Jung M, Hwang Y, Kim HY, Jeong HS, Park J, Park D, Lee J. 2010. Analyses of capsaicinoids and ascorbic acid in pepper (Capsicum annum L.) breeding lin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1705-1709. 

  15. Topuz A, Ozdemir F. 2007. Assessment of carotenoids, capsaicinoids and ascorbic acid composition of some selected pepper cultivars (Capsicum annuum L.) grown in Turkey. J Food Compos Anal 20: 596-602. 

  16. Howard LR, Smith RT, Wagner AB, Villalon B, Burns EE, 1994. Provitamin A and ascorbic acid content of fresh pepper cultivars (Capsicum annuum L.) and processed jalapenos. J Food Sci 59: 362-365. 

  17. Kim S, Kim KS, Park JB. 2006. Changes of various chemical components by the difference of the degree of ripening and harvesting factors in two single-harvested peppers (Capsicum annuum L.). Korean J Food Sci Technol 38: 615-620. 

  18. Materska M, Piacente S, Stochmal A, Pizza C, Olezek W, Peruka I. 2003. Isolation and structure elucidation of flavonoid and phenolic acid glycosides from pericarp of hot pepper fruit Capsicum annuum L. Phytochemistry 63: 893-898. 

  19. Park JB, Park WS, Kim DM, Kim JH, Kwon KH. 1999. Development of automation system for red pepper milling factory. KFRI. GA0129. 

  20. Cho BC, Park KW, Kang HM, Lee WM, Choe JS. 2004. Correlationship between climatic elements and internal characteristics of red pepper fruit in different growing periods. J Bio-Env Con 13: 67-72. 

  21. AOAC. 199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5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p 8-35. 

  22. Hwang SY, An YH, Shin GM. 2001. A study on the quality of commercial red pepper powder. Korean J Food Nutr 14: 424-428. 

  23. Kim S, Kim KS, Park JB. 2006. Changes of various chemical components by the difference of the degree of ripening and harvesting factors in tow single-harvested peppers (Capsicum annuum L.). Korean J Food Sci Technol 38: 615-620. 

  24. Attuquayefio VK, Buckle KA. 1987. Rapid sample preparation method for HPLC analysis of capsaicinoids in capsicum fruits and oleoresins. J Agric Food Chem 35: 777-779. 

  25. Ku KH, Kim NY, Park JB, Park WS. 2001. Characteristics of color and pungency in the red pepper for kimchi. Korean J Food Sci Technol 33: 231-237. 

  26. Lee HD, Kim MH, Lee CH. 1992. Relationships between the taste components and sensory preference of Korean red peppers. Korean J Food Sci Technol 24: 266-271. 

  27. Son SM, Lee JM, Oh MS. 1995 A comparative study of nutrients and taste components in Korean and imported red peppers. Korean J Nutr 28: 53-60. 

  28. Jeong JW, Seong JM, Park KJ, Lim JH. 2007. Quality characteristics of semi-dried red pepper (Capsicum annuum L.) using hot-air drying. Korean J Food Preserv 14: 591-597. 

  29. Ku KH, Park JB, Park WS. 2004. Effects of red peppers on the its pungency and color during kimchi ferment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 1034-1042. 

  30. Chiang GH. 1986. HPLC analysis of capsaicins and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capsaicins and piperine by HPLCECD and UV. J Food Sci 51: 499-505. 

  31. Yoon J, Jun JJ, Lim SC, Lee KH, Kim HT, Jeong HS, Lee J. 2010. Changes in selected components and antioxidant and antiproliferative activity of peppers depending on cultiv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731-73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