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lucidate the themes involved in a nursing experience of caring for extremely low birth weight infants (ELBWIs) in a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NICU). Methods: Interviews with 6 nurses in various positions and observations in a level III NICU were conducted. ...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초극소미숙아를 맡을 수 있는 자격이 갖추어진 간호사라 해도 미숙아를 만나는 순간에 늘 긴장하고 두려운 이유는 무엇인가? 초극소미숙아를 맡을 수 있는 자격이 갖추어진 간호사들이라 해도 미숙아를 만나는 순간은 늘 긴장과 두려움이 있다. 치명적 결과로 이어지는 증상은 대체로 아주 작은 움직임이나 변화에서 시작된다는 것을 알고 있기 때문에 순간에 보여지는 그런 변화를 가능한 한 놓치지 않아야 한다는 사명감 때문이다. 따라서 노하우가 있는 능력 있는 간호사에게도 근무시간동안은 한순간도 눈길을 거두지 못하는 집중된 관찰이 요구된다.
임신주수 37주 미만에 출생하는 미숙아가 증가하는 이유는? 임신주수 37주 미만에 출생하는 미숙아는 최근 체외 수정술 및 배란 촉진제를 사용한 다태아 임신 및 노령산모의 증가로 인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이혜정, 이광옥, 신미경, 2009). 미숙아 중 출생체중이 1,000그램 미만인 초극소 저출생 체중아 (extremely low birth weight infant, ELBWI, 초극소 미숙아로 명칭)의 생존율은 국내 의료기술 및 장비의 향상으로 인해 몇몇 신생아중환자실에서는 선진국과 유사한 수준인 78-80%정도에 이르는 것으로 보고되었다(한원호, 장지영, 배종우, 2009).
초극소 미숙아란? 임신주수 37주 미만에 출생하는 미숙아는 최근 체외 수정술 및 배란 촉진제를 사용한 다태아 임신 및 노령산모의 증가로 인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이혜정, 이광옥, 신미경, 2009). 미숙아 중 출생체중이 1,000그램 미만인 초극소 저출생 체중아 (extremely low birth weight infant, ELBWI, 초극소 미숙아로 명칭)의 생존율은 국내 의료기술 및 장비의 향상으로 인해 몇몇 신생아중환자실에서는 선진국과 유사한 수준인 78-80%정도에 이르는 것으로 보고되었다(한원호, 장지영, 배종우, 200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강지희, 정찬욱, 장영표 (2006). 극소 저출생 체중아의 신경발달에 관한 연구. 대한신생아학회지, 13(1), 121-127. 

  2. 김동옥 (2001). 신규간호사의 임상 의사결정 양식의 변화-중환자실 간호사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서울. 

  3. 김복순, 류은정, 김경희, 정혜경, 송미승, 최경숙 (1999). 병원 간호사의 사회화 경험. 대한간호학회지, 29(2), 393-404. 

  4. 김혜숙 (2003). 간호학에서 이론적 사고의 본질. 서울: 현문사. 

  5. 대한신생아학회 (2008). 신생아진료지침서 (제2판). 서울: 광문출판사. 

  6. 박미림, 이병섭, 김애란, 김기수, 피수영 (2008). 단일 기관에서의 초극소 저출생 체중아의 치료 성적(2003-2006). 대한신생아학회지, 15(2), 123-133. 

  7. 서문자, 김소선, 신경림, 강현숙, 김금순, 박호란, 김혜숙 (2000). 가정간호사의 실무체험연구. 대한간호학회지, 30(1), 84-97. 

  8. 송경애, 노춘희 (1996). 임상간호사의 전문직 자아개념에 관한 연구. 대한간호학회지, 26(1), 94-106. 

  9. 스튜어트 (2009). 문화기술지의 방법(이명선, 김덕희, 이영애, 대한질적연구학회 역) 서울: 군자출판사. (원저 2003출판) 

  10. 이혜정, 이광옥, 신미경 (2009). 우리나라 모자보건 정책사업 분석-미숙아와 저체중출생아를 중심으로. 아동간호학회지, 15(1), 81-87. 

  11. 정경화 (2003). 병원 근무 간호사의 경험. 간호행정학회지, 9(4), 599-613. 

  12. 조남옥 (2004). 임상간호사의 전문성 경험.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0(1), 125-138. 

  13. 조영달 (2005). 제도공간의 질적 연구 방법론. 서울: 교육과학사. 

  14. 지성애, 유형숙 (2001). 간호전문직 자율성의 개념분석. 대한간호학회지, 31(5), 781-792. 

  15. 한원호, 장지영, 배종우 (2009). 2007년 한국의 전국 57개 종합병원에서 조사한 신생아 출생 및 신생아중환자실 사망률 통계 보고. 대한신생아학회지, 16(1), 36-47. 

  16. Agar, M. H. (1980). The professional stranger. Florida: Academic Press. 

  17. Arthur, D. (1992). Measuring the professional self-concept of nurses: a critical review. Journal of Advanced Nursing, 17, 719-721. 

  18. Benner, P. (1984). From novice to expert; Excellence and power in clinical nursing practice. California: Addison-Wesley. 

  19. McCaughan, E. & Parahoo, K. (2000). Medical and surgical nurses' perception of their level of competence and educational needs in caring for patients with cancer. Journal of Clinical Nursing, 9, 420-428. 

  20. Radwin, L. E. (1998). Empirically generated attributes of experience in nursing.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7(3), 590-595. 

  21. Rischel, V., Larson, K., & Jackson, K. (2008). Embodied dispositions or experience? Identifying new patterns of professional competence. Journal of Advanced Nursing, 61(5), 512-521. 

  22. Robert, G., Anderson, P. J., Doyle, L. W., & Victorian Infant Collaborative Study Group (2009). Neurosensory disabilities at school age in geographic cohorts of extremely low birth weight children born between the 1970s and the 1990s. Journal of Pediatrics, 154, 829-834. 

  23. Roper, J. M., & Shapira, J. (2000). Ethnography in nursing research. California: Sage Publication Company. 

  24. Saigal, S., Stoskopf, B., Pinelli, J., Streiner, D., Hoult, L., Paneth, N., & Goddeeris, J. (2006). Self-perceive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former extremely low birth weight infants at young adulthood. Pediatrics, 118, 1140-1148. 

  25. Thompson, C. (2003). Clinical experience as evidence in evidencebased practice. Journal of Advanced Nursing, 43(3), 230-23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보고서와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