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소라, Batillus cornutus 아가미의 미세구조
Gill Ultrastructure of the Spiny Top Shell, Batillus cornutus (Gastropoda: Turbinidae) 원문보기

한국패류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v.27 no.1, 2011년, pp.69 - 76  

정귀권 (전라남도 강진교육지원청) ,  박정준 (국립수산과학원 병리연구과) ,  주선미 (전남대학교 수산생명의학과) ,  전미애 (전남대학교 수산생명의학과) ,  이정식 (전남대학교 수산생명의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광학 및 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소라 아가미의 형태와 미세구조를 기재하였다. 소라의 아가미는 bipectinate형이다. 새엽 상피층은 단층으로 상피세포, 섬모세포, mitochondria-rich cell 그리고 분비세포로 구성되어 있었다. 상피세포들은 원주형이며, 자유면에는 미세융모들이 발달되어 있었고 인접한 세포들과는 상부측면에 세포연접들로 연결되어 있었다. 섬모세포들은 자유면에 섬모와 미세융모들을 가지며, 세포질에는 잘 발달된 미토콘드리아들이 무리지어 존재하고 섬모의 기저 뿌리 끝이 연결되어 있었다. Mitochondria-rich cell은 기저부에 원형의 핵을 가지며, 세포질의 대부분은 발달된 미토콘드리아들이 차지하고 있었다. AB-PAS와 AF-AB 반응 결과, 분비 세포들은 주로 산성점액을 함유하고 있었다. 분비세포는 단세포선으로 세포의 형태와 분비과립의 미세구조적 특징에 따라 4 종류 (A, B, C, D)로 구분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Gill morphology and ultrastructure of the spiny top shell, Batillus cornutus were described using light and electron microscopy (SEM and TEM). The spiny top shell, Batillus cornutus has bipectinate gill. The epithelial layer of gill filament was simple and composed of columnar epithelium, ciliated 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소라의 호흡생리를 이해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이들의 아가미 형태와 미세구조를 기재하여 보고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아가미 새엽의 섬모들은 입자 수송에 각 각 어떻게 기여하는가? 이매패류 역시 아가미 새엽의 섬모들은 입자 수송과 연관이 있다. 새엽 정단섬모는 아가미 쪽으로 이동된 과립물질들을 입으로 이동되어질 수 있도록 새엽의 위쪽 혹은 아래쪽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정단섬모와 측면섬모의 사이에 존재하는 정단측면섬모는 과립물질을 정단섬모 쪽으로 튕겨 보내는 방식으로 과립물질을 여과하거나, 외투강 안으로 들어온 물의 흐름을 조절한다. 그리고 새엽의 양쪽에 존재하는 측면섬모는 빽빽하게 정렬되어 있으면서 입출수관을 통해 들어오고 나가는 물을 아가미 쪽으로 빨아들이고 내뿜어 입자들을 여과한다(Moore, 1971; Owen, 1974; Morton, 1983).
전새아강의 분류 기준이 되는 부위는 무엇인가? 전새아강의 아가미는 다른 수서동물과 마찬가지로 호흡을 담당하는 기관으로서 이들의 형태적 특징은 전새아강을 분류하는 중요한 형질이다. 전새아강의 많은 연체동물들의 아가미는 빗 모양으로 아가미 축은 이중 새엽 열을 가진다 (Voltzow, 1994).
소라란 무엇인가? 소라, Batillus cornutus는 한국 동해남부, 남해안 및 제주도 연안, 일본의 남부 연안 그리고 중국의 황해 연안 등지의 암초성 해안에 서식하고 있는 정착성 복족류이다 (Yoo, 1988). 한국에서 소라는 전복과 더불어 경제적으로 중요한 복족류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Aksit, D. and Mutaf, B.F. (2007) Gill histology of Patella Linneaus, 1758 (Mollusca: Gastropoda). Rapp. Comm. Int. Mer. Medit., 38: 1-413. 

  2. Atkins, D. (1937) On the ciliary mechanisms and interrelationships of lamellibranchs. Part III. Types of lamellibranch gills and their food currents. Q. J. Microsc. Sci., 79: 375-421. 

  3. Beninger, P.G. and Dufour, S.C. (1996) Mucocyte distribution and relationship to particle transport on the pseudolamellibranch gill of Crassostrea virginica (Bivalvia: Ostreidae). Mar. Ecol. Prog. Ser., 137: 133-138. 

  4. Beninger, P.G., St-Jean, S., Poussart, Y. and Ward, J.E. (1993) Gill function and mucocyte distribution in Placopecten magellanicus and Mytilus edulis (Mollusca: Bivalvia): the role of mucus in particle transport. Mar. Ecol. Prog. Ser., 98: 275-282. 

  5. Bubel, A. (1989) Cilia (Flagella). In; Microstructure and function of cells: Electron micrographs of cell ultrastructure. pp. 99-128. Ellis Horwood Limited, New York. 

  6. Cannuel, R., Beninger, P.G., McCombie, H. and Boudry, P. (2009) Gill development and its functional and evolutionary implications in the blue mussel Mytilus edulis (Bivalvia: Mytilidae). Biol. Bull., 217: 173-188. 

  7. Dufour, S.C. and Beninger, P.G. (2001) A functional interpretation of cilia and mucocyte distributions on the abfrontal surface of bivalve gills. Mar. Biol., 138: 295-309. 

  8. Eertman, R.H.M. (1996) Comparative study on gill morphology of gastropods from Moreton Bay, Queensland. Moll. Res., 17: 3-20. 

  9. Gomez-Mendikute, A., Elizondo, M., Venier, P. and Cajaraville, M.P. (2005) Characterization of mussel gill cells in vivo and in vitro. Cell Tissue Res., 321: 131-140. 

  10. Hagiwara, H., Ohwada, N. and Takata, K. (2004) Cell biology of normal and abnormal ciliogenesis in the ciliated epithelium. Int'l. Rev. Cytolo., 234: 101-141. 

  11. Kaneko, T., Shiraishi, K., Katoh, F., Hasegawa, S. and Hiroi, J. (2002) Chloride cells during early life stages of fish and their functional differentiation. Fish. Sci. 68, 1-9. 

  12. Kurosumi, K., Shibasaki, S. and Ito, T. (1984) Cytology of the secretion in mammalian sweat gland. Int'l. Rev. Cytolo., 87: 253-329. 

  13. Lundin, K. and Schander, C. (1999) Ultrastructure of gill cilia and ciliary rootlets of Chaetoderma nitidulum Loven 1844 (Mollusca, Chaetodermomorpha). Acta Zool., 80: 185-191. 

  14. Lutfy, R.G. and Demian, E.S. (1965) The histology of the respiratory organs of Marisa cornuarietis (L.). Arkiv. Fur. Zool., 18: 51-71. 

  15. Ma, K.H. and Lee, J.S. (2003) Gill ultrastructure of the granular ark, Tegillarca granosa (Bivalvia: Acridae). Korean J. Electron Microscopy, 33: 223-231. [in Korean] 

  16. Moore, H.J. (1971) The structure of the latero-frontal cirri on the gills of certain lamellibranch molluscs and their role in suspension feeding. Mar. Biol., 11: 23-27. 

  17. Morton, B.S. (1983) The biology and functional morphology of the wasted ark Trisidos semitorta (Bivalvia: Arcacea) with a discussion on shell "torsion" in the genus. Malacologia, 23: 375-396. 

  18. Nuwayhid, M.A., Davies, P.S. and Elder, H.Y. (1978) Gill structure in the common limpet Patella vulgata. J. Mar. Biol. Assoc. U.K., 58: 817-823. 

  19. Owen, G. (1974) Studies on the gill of Mytilus edulis: the eu-latero-frontal cirri. Proc. R. Soc. London Ser. B., 187: 83-91. 

  20. Ragg, N.L.C. and Taylor, H.H. (2006) Oxygen uptake, diffusion limitation, and diffusing capacity of the bipectinate gills of the abalone, Haliotis iris (Mollusca: Prosobranchia). Comp. Biochem. Physiol., A, 143: 299-306. 

  21. Starobogatov, Y.I. (1992) Morphological basis for phylogeny and classification of Bivalvia. Ruthenica, 2: 1-25. 

  22. Villers, C.J.D.E. and Hodgson, A.N. (1987) The structure of the secondary gills of Siphonaria capensis (Gastropoda: Pulmonata). J. Mollus. Stud., 53: 129-138. 

  23. Voltzow, J. (1994) Gastropoda: Prosobranchia. In; Microscopic anatomy of invertebrates Vol. 5. Mollusca I. (ed. by Harrison F.W. and Kohn A.J.). pp. 111-252. Wiley-Liss, Inc., New York. 

  24. Wanichanon, C. (2004) Histology of hypobranchial gland and gill of Haliotis asinina Linnaeus. J. Shellfish Res., 23: 1107-1112. 

  25. Yoo, J.S. (1988) Korean shells in color. pp. 1-196. Iljisa Publ. Co, Seoul. [in Korean] 

  26. Zardus, J.D. (2002) Protobranch bivalves. Adv. Mar. Biol., 42: 1-6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