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울산 태화강 바지락의 자원평가 및 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stock assessment and management implications of the Manila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in Taehwa river of Ulsan 원문보기

한국패류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v.27 no.2, 2011년, pp.107 - 114  

최영민 (국립수산과학원 동해수산연구소 자원환경과) ,  윤상철 (국립수산과학원 동해수산연구소 자원환경과) ,  이성일 (국립수산과학원 자원관리과) ,  김종빈 (국립수산과학원 대외협력과) ,  양재형 (국립수산과학원 동해수산연구소 자원환경과) ,  윤병선 (국립수산과학원 동해수산연구소 자원환경과) ,  박정호 (국립수산과학원 동해수산연구소 자원환경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바지락 (Ruditapes philippinarum) 은 모래와 진흙이 많은 연안에 주로 분포하지만 드물게 울산의 태화강처럼 하천의 중류나 하류에서도 분포한다. 울산 태화강에서는 예전부터 바지락이 서식해 왔으며 인근 어민들의 전통적인 소득원으로서 주요 수산자원의 대상이 되어 왔다. 본 연구는 2009년 6월부터 2010년 6월까지 바지락의 현장조사를 통하여 자원생태학적 특성, 자원량 및 적정어획량 등의 자원평가를 실시하고 지속가능한 자원관리의 방안 제시 및 어업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고자 하였다. 태화강 바지락의 수명은 6세로 추정되었고 von Bertalanffy growth function에 의하여 성장계수 K 및 $L_{\infty}$은 0.341 및 46.64 cm로 구해졌다. Pauly 방법에 의한 순간전사망계수 (Z) 및 어획개시연령 ($t_c$) 은 1.171/년과 1.37년으로 구해졌고 현재의 순간어획사망계수는 0.626/년으로 계산되었다. 바지락의 자원량은 총 서식면적 $1.46\;km^2$과 평균 면적당 생체량 1,005.3 g/$m^2$으로 1,483톤으로 추정되었다. 조사해역 바지락의 순간어획사망계수 (F) 에 대한 가입당생산량 (Y/R) 과 어획개시연령 ($t_c$) 과의 관계는 현재의 어획개시연령인 1.37세, 현재의 순간어획사망계수 F 에서 가입당생산량이 1.38 g임을 나타내고 있으며 적정어획사망계수 ($F_{0.1}$)에 의한 연간 생물학적 허용어획량 (ABC) 은 512톤으로 산정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manila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is mainly distributed in the coastal area which consist of mud, sand and gravel, but they rarely live on the upper and down reaches of river. For a long time the manila clam has been inhabited in Taehwa river which has been exploited as a traditional earnin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울산 태화강에서는 예전부터 바지락이 서식해 왔으며 인근 어민들의 전통적인 소득원으로서 주요 수산자원의 대상이 되어 왔다. 본 연구는 2009년 6월부터 2010년 6월까지 바지락의 현장조사를 통하여 자원생태학적 특성, 자원량 및 적정어획량 등의 자원평가를 실시하고 지속가능한 자원관리의 방안 제시 및 어업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 자료를 확보하고자 하였다. 태화강 바지락의 수명은 6세로 추정되었고 von Bertalanffy growth function에 의하여 성장 계수 K 및 L은 0.
  • 이를 위해서는 태화강 바지락자원에 대한 주기적이고 과학적인 자원조사를 통한 자원생태학적 특성이 진단되어야 하고, 또한 모패와 치패의 적정어획을 위한 관리방안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울산 태화강 바지락의 자원평가 및 관리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바지락의 자원생태학적 특성, 자원량 및 적정어획량을 추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바지락의 계통분류는 어떻게 되는가? 바지락 (Ruditapes philippinarum) 은 백합 목 (Order Veneroida) 백합 과 (Family Veneridae) 에 속하는 종으로 한국, 일본과 중국을 비롯해 태평양 및 인도양 연안역에 걸쳐 넓게 분포한다 (Kwon et al., 1993).
바지락은 우리나라 어디에 분포하는가? , 1993). 우리나라는 남해 및 서해 연안역 담수의 영향을 받는 수역을 중심으로 주로 분포하며 동해안의 경우 바지락의 서식지역은 크게 넓지는 않지만 죽변연안과 태화강, 형산강 등 기수역의 일부 지역에 분포하고 있다 (Konstantin et al., 2002).
울산 태화강의 자원평가 및 기초 자료 확보를 위한 바지락의 현장조사의 결과는 무엇인가? 본 연구는 2009년 6월부터 2010년 6월까지 바지락의 현장조사를 통하여 자원생태학적 특성, 자원량 및 적정어획량 등의 자원평가를 실시하고 지속가능한 자원관리의 방안 제시 및 어업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 자료를 확보하고자 하였다. 태화강 바지락의 수명은 6세로 추정되었고 von Bertalanffy growth function에 의하여 성장 계수 K 및 L∞은 0.341 및 46.64 cm로 구해졌다. Pauly 방법에 의한 순간전사망계수 (Z) 및 어획개시연령 (tc) 은 1.171/년과 1.37년으로 구해졌고 현재의 순간어획사망계수는 0.626/년으로 계산되었다. 바지락의 자원량은 총 서식면적 1.46 km2과 평균 면적당 생체량 1,005.3 g/m2으로 1,483톤으로 추정되었다. 조사해역 바지락의 순간어획사망계수 (F) 에 대한 가입당생산량 (Y/R) 과 어획개시연령 (tc) 과의 관계는 현재의 어획개시연령인 1.37세, 현재의 순간어획사망계수 F 에서 가입당생 산량이 1.38 g임을 나타내고 있으며 적정어획사망계수 (F0.1) 에 의한 연간 생물학적 허용어획량 (ABC) 은 512톤으로 산정 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Bald, J., Sinquin, A., Borja, A., Caill-Milly, N., Dulercq, B., Dang, C. and de Montaudouin, X. (2009) A system dynamics model for the management of the manila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Adams and Reeve, 1850) in the bay of Arcachon (France). Ecological Modelling, 220(21): 828-837. 

  2. Bertalanffy, L. von, 1938. A quantitative theory of organic growth (Inquiries on growth laws. II). Human Biology, 10(2): 181-213. 

  3. Beverton, R.J.H. and Holt, S.J. (1957) On the dynamics of explotited fish populations. fishery Investigations series II, Marine Fisheries, Great Britain Ministry Agriculture, Fisheies and Food, 19: 553. 

  4. Cho, S.M. and Jeong, W.G., (2007) Ecological study of shortnecked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from the Jindu coast of Hansan Island, Korea. The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23(1): 25-30. [in Korean] 

  5. Cho, S.M., Jeong, W.G. and Lee, S.J. (2008) Ecologically sustainable management of short-necked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on the coast of Yeongi at Tongyeong, Korea. The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24(3): 189-197. [in Korean] 

  6. Chung, E.Y., Ryou, D.K. and Lee, J.H. (1994) Gonadal development, age and growth of the shortnecked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Pelecypoda: Veneridae), on the coast of Kimje, Korea. The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10(1): 38-54. [in Korean] 

  7. Coughlan, B.M., Moroney, G.A., Pelt, F.N.A.M.v, O'Brien, N.M., Davenport, J. and O'Halloran, J. (2009) The effects of salinity on the Manila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using the neutral red retention assay with adapted physiological saline solutions. Marine Pollution Bulletin, 58(11): 1680-1684. 

  8. Fishery production survey (2000-2010) http://fs.fips.go.kr/main.jsp (accessed April, 29, 2011) 

  9. Kim, H.J and Zhang, C.I. (1999) A population ecological study of short-necked clam, Tapes philippinarum in the adjacent waters of Jinhae. Journal of Society Fisheries Research, 2: 32-43. [in Korean] 

  10. Konstantin, A., Lutaenco, Je, J.G and Shin, S.H. (2002) Report on bivalve mollusks from beach death assemblages in Gangwon and Gyeongsangbuk provinces, Korea (East Sea). The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18(1): 27-40. 

  11. Kwon, O.K., Park, G.M. and Lee, J.S. (1993) Coloured shells of Korea. pp. 445. Academy pub. co., Seoul. [in Korean] 

  12. NFRDI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2010) Report on stock assessment and utilization implications of the manila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in the Taehwa river of Ulsan. East Sea Fisheries Research Institute of NFRDI, pp. 172. [in Korean] 

  13. Pauly D. (1984) Length-conerted catch data. A powerful tool for fisheries research in the tropics (Part. II). ICLARM Fishbyte, 2(3): 9-10. 

  14. Ponurovskii, S. K. (2008) Population structure and growth of the Japanese littleneck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in Amursky Bay, Sea of Japan. Russian Journal of Marine Biology, 34(5): 329-332. 

  15. Ren, Y., Xu, B., Guo, Y., Yang, M. and Yang, J. (2008) Growth, mortality and reproduction of the transplanted Manila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in Jiaozhou Bay. Aquaculture Research, 39: 1759-1768. 

  16. Shin, Y.K., Kim, Y.K., Chung, E.Y. and Hur, S.B. (2001) Effects of the dissolved oxygen concentration on the Physiology of the manila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Journal of Korean Fisheries Society, 34(3): 190-193. [in Korean] 

  17. Williams J.G. (1980) The influence of adults on the settlementof spat of the clam, Tapes japonica. Journal of Marine Research, 38: 729-741. 

  18. Zhang, C.I. and Megrey, B.A. (2006) A revised Alverson and Carney model for estimating the instantaneous rate of natural mortality. American Fisheries Society, 135(3): 620-633. 

  19. Zhou, X., Zhang, Y., Liu, A., Bao, L., Luo X., Li, G. and Liu, W. (2001) Study on cause of formation of spawning ground for Ruditapes philippinarum around Furong Island waters in Laizhou Bay. Shandong Fisheries, 18: 38-40. [in Chinese]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