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쇠고기 스테이크 조리 시 백련 잎 추출물에 의한 Heterocyclic Amine류의 생성 및 돌연변이원성 억제 효과
Inhibitory Effect of Nelumbo nucifera Leaf Extracts on the Formation of Heterocyclic Amines and Mutagenicity during Cooking Beef Steak 원문보기

Korean journal for food science of animal resources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v.31 no.4, 2011년, pp.563 - 569  

문승은 (동국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및 Lotus기능성식품소재연구소) ,  성지훈 (동국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및 Lotus기능성식품소재연구소) ,  신한승 (동국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및 Lotus기능성식품소재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일상 생활에서 섭취하는 가열한 생선, 육류 등의 고단백질 식품에서는 돌연변이원, 발암가능성 물질인 heterocyclic amine류가 생성된다. 안전성 측면을 고려하고자 백련 잎을 이용한 마리네이드 소스를 첨가하여 쇠고기의 HCAs의 형성억제효과와 돌연변이원성 억제효과를 알아보았다. Ames assay 결과 백련 잎 butanol fraction을 2.0 g 첨가하여 가열한 쇠고기 스테이크에서 61.5%로 높은 돌연변이원성 억제효과를 나타내었지만 용매 별 fraction 첨가군 사이에서는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가열 전 쇠고기 마리네이드 소스에 식용이 가능한 백련잎 water fraction(2.0, 4.0, 8.0 g)을 첨가한 후 $190^{\circ}C$에서 가열한 결과 MeIQx(2-amino-3,8 dimethylimidazo[4,5-f]-quinoxalin)는 30.9-63.5%, PhIP(2-amino-1-methyl-6-pheny-limidazo[4,5-b]-pyridine)는 31.6-60.7% 억제되었다. $225^{\circ}C$에서의 가열된 쇠고기에서는 MeIQx가 38.1-65.3%, DiMeIQx (2-amino-3,4,8 trimethylimidazo[4,5-f]-quinoxaline)는 36.8-73.9%, PhIP는 33.9- 67.6%의 억제효과를 보였다. 따라서 백련 잎 추출물은 heterocyclic amine류 형성과 돌연변이 원성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고단백질 식품 섭취시 안전성 측면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Heterocyclic amines (HCAs) are food mutagens and carcinogens that are found in cooked fish, meat, and protein-rich foods. This study examined the inhibitory effect of marinades containing a Nelumbo nucifera leaf fraction on HCA formation in cooked beef steak. As a result of the Ames assay, cooked b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백련 잎을 이용하여 마리네이드 소스가 첨가된 쇠고기에서의 돌연변이원성 억제능력과 발암가능성 물질인 HCAs의 생성 억제 효과를 알아보았다. Choi 등(2009)의 연구에서와 같은 추출 방법으로 백련 잎의 ethanol, ethyl acetate, butanol, water fraction을 얻을 수 있었다.
  • 이러한 백련 잎의 항산화 효과에 대한 사전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백련 잎 추출물이 가열한 쇠고기 스테이크에서의 HCAs 형성과 돌연변이원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가설 설정

  • 1)Data represent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n=3). Means in the same columns bearing different superscripts differ significantly (p<0.
  • 1)Values are expressed on a cooked beef basis. Means in the same columns bearing different superscripts differ significantly (p<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식품 중 Heterocyclic amines 생성량에 영향을 주는 주요 요소는 무엇인가? , 1995). 또한 육류와 어류 등의 종류와 조리 조건, 특히 조리온도, 조리시간은 HCAs의 생성량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소로 보고되고 있다(Knize et al., 1998).
Heterocyclic amines이란 무엇인가? Heterocyclic amines(HCAs)은 두 개 이상의 벤젠고리를 가지는 방향족 화합물로 Ames assay에 의해 잠재적인 돌연변이원으로 알려져 있으며(Van Dyck et al., 1995), 화학 구조에 따라 순수 아미노산의 가열 분해 산물들인 aminocarbolines와 아미노기를 갖는 imidazole 고리가 quinoline 이나 quinoxaline 또는 pyridine에 붙어있는 amino-imidazoazaarenes으로 분류할 수 있다.
식품 중 HCAs는 언제 생성되는가? , 1990). 대부분의 HCAs는 육류, 어류 등과 같은 단백질이 풍부한 식품에서 주 식품조리방법 중 하나인 가열 과정에서 생성되며(Layton et al., 1995), 전구물질인 amino acid, sugar, creatinine 또는 creatine은 HCAs의 생성에 영향을 미친다(Van Dyck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Abdulkarim, B. G. and Smith, J. S. (1998) Heterocyclic amines in fresh and processed meat products. J. Agric. Food Chem. 44, 4680-4687. 

  2. Ahn, J. and Grun, I. U. (2005a) Heterocyclic amines: 1. Kinetics of formation of polar and nonpolar heterocyclic amines as a function of time and temperature. Food Chem. Toxicol. 70, 173-179. 

  3. Ahn, J. and Grun, I. U. (2005b) Heterocyclic amines: 2. Inhibitory effects of natural extracts on the formation of polar and nonpolar heterocyclic amines in cooked beef. Food Chem. Toxicol. 70, 263-268. 

  4. Ames, B. N., Mccann, J., and Yamasaki, E. (1975) Methods for detecting carcinogens and mutagens with the Salmonella/ mammalian-microsome mutagenicity test. Mutat. Res. 31, 347-364. 

  5. Bjeldanes, L. F., Morris, M. M., Timourian, H., and Hatch, F. T. (1983) Effects of meat composition and cooking conditions on mutagen formation in fried ground beef. J. Agric. Food Chem. 31, 18-21. 

  6. Busquets, R., Puignou, L., Garceran, M. G., and Skog, K. (2006) Effect of red wine marinades on the formation of heterocyclic amines in fried chicken breast. J. Agric. Food Chem. 54, 8376-8384. 

  7. Choi, H. Y., Jung, K. H., and Shin, H. S. (2009) Antioxidant activity of the various extracts from different parts of lotus (Nulumbo nucifera Gaertner.). Food Sci. Biotechnol. 18, 1051-1054. 

  8. Felton, J. S., Knize, M. G., Salmon, C. P., Malfatti, M. A., and Kulp, K. S. (2001) Human exposure to heterocyclic amine food mutagens/ carcinogens: relevance to breast cancer. Environ. Mol. Mutagen. 39, 112-118. 

  9. Felton, J. S., Knize, M. G., Shen, N. H., Andresen, B. D., Bjeldanes, L. F., and Hatch, F. T. (1986) Identification of the mutagens in cooked beef. Environ. Health Perspect. 67, 17-24. 

  10. Gross, G. A. and Gruter, A. (1992) Quantitation of mutagenic/carcinogenic heterocyclic aromatic amine in food products. J. Chromatogr. 592, 271-278. 

  11. Ha, J. Y., Goo, S. Y., Sung, J. S., and Shin, H. S. (2009) Antioxidant and cytoprotectiveactivity of the olive leaf (Olea europaea L. Var. Kalamata) extracts on the mouse embryonic fibroblast cell. Food Sci. Biotechnol. 18, 965-970. 

  12. Kikugawa, K. (2004) Prevention of mutagen formation in heated meat and model system. Mutagenesis 19, 431-439. 

  13. Kim, S. B., Rho, S. B., Rhyu, D. Y., and Kim, D. W. (2005) Effect of Nelumbo nucifera leaves on hyperlipidemic and atherosclerotic Bio F1B hamster. Kor. J. Pharmacog. 36, 229-234. 

  14. Knize, M. G., Dolbeare, F. A., Carroll, K. L., Moore, D. H., and Felton, J. S. (1994) Effect of cooking time and temperature on the heterocyclic amine content of fried beef patties. Food Chem. Toxicol. 32, 595-603. 

  15. Knize, M. G., Salmon, C. P., Hopmans, E. C., and Felton, J. S. (1997) Analysis of foods for heterocyclic aromatic amine carcinogens by solid-phase extraction and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J. Chromatogr. A 763, 179-185. 

  16. Knize, M. G., Sinha, R., Brown, E. D., Salmon, C. P., Levander, O. A., Felton, J. S., and Rothman, N. (1998) Heterocyclic amine content in restaurant-cooked hamburgers, steaks, ribs and chicken. J. Agric. Food Chem. 46, 4648-4651. 

  17. Layton, D. W., Bogen, K. T., Knize, M. G., Hatch, F. T., Johnson, V. M., and Felton, J. S. (1995) Cancer risk of heterocyclic amines in cooked foods: an analysis and implications for research. Carcinogenesis 16, 39-52 

  18. Lee, K. S., Oh, C. S., and Lee, K. Y. (2006) Antimicrobial effect of the fractions extracted from a lotus (Nelumbo nucifera) leaf.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219-223 

  19. Moore, D., and Felton, J. S. (1983) A microcomputer program for analyzing Ames test data. Mutat. Res. 119, 95-102 

  20. Murkovic, M., Steinberger, D., and Pfannhauser. W. (1998) Antioxidant spices reduce the formation of heterocyclic amines in fried meat. Z. Lebensm Unters Forsch A 207, 477-480. 

  21. Namiki, M. (1998) Chemistry of Maillard reactions: Recent studies on the browning reaction mechanism and the development of antioxidants and mutagens. Adv. Food Res. 32, 115-184. 

  22. Ono, Y., Hattori, E., Fukaya, Y., lmai, S., and Ohizumi, Y. (2006) Anti- obestiy effect of Nelumbo nucifera leaves extract in mice and rats. J. Ethnopharmacol. 106, 238-244. 

  23. Pantelidis, G. E., Vasilakakis, M., Manganaris, G. A., and Diamantidis. (2006) Antioxidant capacity, phenol, anthocyanin and ascorbic acid contents in raspberries, blackberries, red currants, gooseberries and cornelian cherries. Food Chem. 102, 777-783. 

  24. Park, C. H., Hur, J. M., Song, K. S., and Park, J. C. (2007) Phenolic compounds from the leaves of Nelumbo nucifera showing DPPH radical scavenging effect. Kor. J. Pharmacog. 38, 263-269. 

  25. Priza, M. W., Aeschbacher, H. U., Felton, J. S., and Sato, S. (1990) Mutagens and carcinogens in the diets. Wiley-Liss, NY. 

  26. Rohrmann, S. and Becker, N. (2002) Development of a short questionnaire to assess the dietary intake of heterocyclic aromatic amines. Public Health Nutr. 5, 699-705. 

  27. Salmon, C. P., Knize, M. G., and Felton, J. S. (1997) Effects of marinating on heterocyclic amine carcinogen formation in grilled chicken. Food Chem. Toxicol. 35, 433-441. 

  28. Shin, H. S. (2005) Influence of food ingredients on the formation of heterocyclic aromatic amine in cooked pork patties. Food Sci. Biotechnol. 14, 572-575. 

  29. Shin, H. S., Park, H. K., and Park, D. W. (2003) Influence of different oligosaccharides and inulin on heterocyclic aromatic amine formation and overall mutagenicity in fried ground beef patties. J. Agric. Food Chem. 51, 6726- 6730. 

  30. Shin, H. S. and Ustunol, Z. (2004) Influence of honey-containing marinades on heterocyclic aromatic amine formation and overall mutagenicity in fried beef steak and chicken breast. J. Food Sci. 69, 147-153. 

  31. Sugimura, T., Nagao, M., and Wakaayashi, K. (1981) Metabolic aspects of the comutagenic action of norharman. Adv. Exp. Med. Biol. 136, 1011-1025. 

  32. Tsen, S. Y., Ameri, F., and Smith, J. S. (2006) Effects of rosemary extracts on the reduction of heterocyclic amines in beef patties. J. Food Sci. 71, 469-473. 

  33. Ushiyama, H., Wakabayashi, K., Hirose, M., Itoh, H., Sugimura, T., and Nagao, M. (1991) Presence of carcinogenic heterocyclic amines in urine of healthy volunteers eating normal diet, but not of inpatients receiving parenteral alimentation. Carcinogenesis 12, 1417-1422. 

  34. Van Dyck, M. M. C., Rollmann, B., and De Meester, C. (1995) Quantitative estimation of heterocyclic aromatic amines by ion-exchange chromatography and electrochemical detection. J. Chromatogr. A 697, 377-382. 

  35. Wogan, G. N. (1992) Molecular epidemiology in cancer risk assessment and prevention: Recent progress and avenues for future research. Environ. Health Perspect. 98, 167-17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