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성별과 연령을 고려한 비만 지표 평가
Assessment of Obesity Indices in Consideration of Gender and Age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2 no.9, 2011년, pp.4046 - 4053  

민경훈 (우송대학교 응급구조학과) ,  이태용 (충남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예방의학교실)

초록

종합검진센터에 방문한 성인 남녀 3281명을 대상으로 병원 밖에서 이루어지는 비만을 효율적이며 정확하게 진단하기 위하여 성별, 연령별 다른 신체 특성을 고려하여 체질량지수와 허리둘레의 절단값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자 3281명 중 남성은 1505명(45.9%), 여성은 1776명(54.1%)이었다. 평균 체지방량은 남성이 22.2%, 여성이 29.9%, 평균 체질량지수는 남성이 24.4kg/$m^2$, 여성이 22.9kg/$m^2$였으며, 평균 허리둘레는 남성이 86.2cm, 여성이 76.9cm이었다.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획일적인 체질량지수와 허리둘레 기준치는 성별, 연령별 달라지는 실제 체지방량을 잘반영한다고 볼 수 없으며, 향후 출장검진 시 신체계측만으로 비만을 진단할 때 보다 정확하게 하기 위해서 실제 체지방량을 고려한 새로운 기준치를 마련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order to increase the accuracy and efficiency in measuring obesity conducted outside the hospitals, we examined not only the Body Mass Index and cutoff values of waist circumference of 3,281 adults but also considered their gender, age and various body characteristics. This study included 1,505 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첫째, 체지방률을 기준으로 하여 체질량지수와 허리둘레가 실제 체지방률을 어느 정도 정확하게 반영하는지 확인하고 둘째, 성별과 연령에 따라 체지방률을 기준으로 획일적인 체질량 지수와 허리둘레 기준을 평가하며 셋째, 성별, 연령대에 따른 체지방량을 고려한 체질량지수와 허리둘레의 기준을 민감도와 특이도를 이용한 절단값으로 구하여 비만도 평가의 새로운 기준을 수립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비만이란? 비만이란 체내에 지방이 과다하게 축적된 상태로, 필요 이상으로 섭취열량이 많을 경우 그 여분의 열량이 지방으로 바뀌어 비만이 발생되게 된다. 세계 보건기구는 세계적으로 과체중과 비만의 주요 원인은 활동량이 감소하고 고지방, 고열량의 음식을 과도하게 섭취하기 때문이라고 하였다[1].
비만은 어떻게 발생되는가? 비만이란 체내에 지방이 과다하게 축적된 상태로, 필요 이상으로 섭취열량이 많을 경우 그 여분의 열량이 지방으로 바뀌어 비만이 발생되게 된다. 세계 보건기구는 세계적으로 과체중과 비만의 주요 원인은 활동량이 감소하고 고지방, 고열량의 음식을 과도하게 섭취하기 때문이라고 하였다[1].
체질량 지수가 비만 진단에 있어서 오류를 범할 수 있는 예는? 그러나 체질량 지수는 정확하게 체지방량을 반영한다고 보기 어려우며, 어떤 경우에는 비만 진단에 있어서 오류를 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체지방은 적고 근육이 발달한 사람은 근육량이 많아 체중이 많이 나간다는 이유로 비만으로 과대평가 될 수 있으며, 반대로 근육이 많이 손실된 노인이나 몸이 허약한 사람에서는 체지방량이 많은데도 불구하고 상대적으로 체중이 적게 나간다는 이유로 정상으로 과소평가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체질량지수가 같아도 남성은 여성보다 체지방이 적고, 노인은 젊은 사람에 비해 체지방이 더 많지만, 비만여부를 판단하는데 있어 동일한 체질량지수 기준을 적용하고 있다[10]. 또한 복부비만의 기준으로 제시하고 있는 허리둘레 기준도 적절한지에 대한 타당도 연구는 아직 미비한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Report of a WHO Consultation. Obesity: Preventing and managing the global epidemic. World Health Organization Technical Report Series, No 894, 1997. 

  2. World Health Organization. Controlling the global obesity epidemic. [cited 11 Feb 2008]. Available from: http://www.who.int/nut/db_bmi.htm 

  3. World Health Organization. Global database on obesity and body mass index (BMI) in adults. [cited 11 Feb 2008]. Available from: http://www.who.int/nut/ db_bmi.htm 

  4. M. Kanazawa, N. Yoshiike, T. Osaka, et al. Criteria and classification of obesity in Japan and Asia-Oceania. Asia. Pac. J. Clin. Nutr. Vol. 11, pp. S732-S737, 2002. 

  5. World Health Organization Regional Office for the Western Pacific (WPRO), the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the Study of Obesity (IASO) and the International Obesity Task Force (IOTF). The Asia-Pacific perspective: redefining obesity and its treatment. 2000. 

  6.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The Second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II) Health Examination. 2001. 

  7.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The Second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III) Health Examination. 2005. 

  8. National Heart, Lung, and Blood Institute. Obesity Education Initiative Expert Panel. Clinical guidelines on the identification, evaluation, and treatment of overweight and obesity in adults: the evidence report. Obes. Res., Vol. 6 (Suppl 2), pp. 51S-209S, 1998. 

  9. Expert Panel on the Identification, Evaluation, and Treatment of Overweight in Adults. Clinical guidelines on the identification, evaluation, and treatment of overweight and obesity in adults: executive summary. Am. J. Clin. Nutr., Vol. 68, No. 4, pp. 899-917, 1998. 

  10. D. Gallagher, M. Visser, D. Sepulveda, R. N. Pierson, T. Harris, S. B. Heymsfield. How useful is body mass index for comparison of body fatness across age, sex, and ethnic groups. Am. J. Epidemiol., Vol. 143, pp. 228-39, 1996. 

  11. J. Albu, F. Pi-Sunyer. Obesity and diabetes. In: G. A. Bray, C. Bouchard, W. P. James, eds. Handbook of obesity. pp. 697-707, Marcel Dekker, 1997. 

  12. A. P. Rocchini. Obesity and blood pressure regulation. In: G. A. Bray, C, Bouchard, W. P. James, eds. Handbook of obesity. pp. 677-695, Marcel Dekker, 1998. 

  13. J. P. Despres, R. M. Krauss. Obesity and lipoprotein metabolism. In: G. A. Bray, C. Bouchard, W. P. James, eds. Handbook of obesity. pp. 651-675, Marcel Dekker; 2003. 

  14. C. D. Sjostrom, L. Lissner, L. Sjostrom. Relationships between changes in body composition and changes in cardiovascular risk factors : the SOS Intervention Study. Obes. Res., Vol. 5, pp. 519-530, 1997. 

  15. D. T. Felson, J. J. Anderson, A. M. Naimark, A. M. Walker, R. F. Meenan. Obesity and knee osteoarthritis. The Framingham Study. Ann. Intern. Med., Vol. 109, pp. 18-24, 1988. 

  16. C. W. Ko, S. P. Lee. Obesity and gallbladder disease. In: G. A. Bray, C. Bouchard, W. P. James, eds. Handbook of obesity. pp. 919-934, Marcel Dekker, 2004. 

  17. K. P. Strohl, R. J. Strobel, R. A. Parisi. Obesity and pulmonary function. In: G. A. Bray, C. Bouchard, W. P. James, eds. Handbook of obesity. pp. 725-739, Marcel Dekker, 2004. 

  18. S. L. Gortmaker, A. Must. J. M. Perrin, A. M. Sobol, W. H. Dietz. Social and economic consequences of overweight in adolescence and young adulthood. N. Engl. J. Med., Vol. 329, pp. 1008-1012, 1993. 

  19. E. A. Lew. Mortality and weight: insured lives and the American Cancer Society studies. Ann. Intern. Med., Vol. 103, pp. 1024-1029, 1985. 

  20. D. V. Schapira, R. A. Clark, P. A. Wolff, A. R. Jarrett, N. B. Kumar, N. M. Aziz. Visceral obesity and breast cancer risk. Cancer, Vol. 74, pp. 632-639, 1994. 

  21. D. B. Allison, S. E. Saunders. Obesity in North America. An overview. Med. Clin. North. Am., Vol. 84, pp. 305-332, 2000. 

  22. K. M. Flegal, M. D. Carroll, R. J. Kuczmarski, C. L. Johnson. Overweight and obesity in the United States: prevalence and trends, 1960-1994. Int. J. Obes., Vol. 22, pp. 39-47, 1998. 

  23. National Centers for Health Statistics, Centers for Disease Control. Prevalence of overweight and obesity among adults: United States, 1999. [cited 11 Feb 2008]. Available from : http://www.cdc.gov/nchs/products/pubs/pubd/hestats/obese/obse99.htm 

  24. R. Pasquali, F. Casimirri, S. Cantobelli, A. M. Labate, R. Paradisi, L. Zannarini. Insulin and androgen relationships with abdominal body fat distribution in women with and without hyperandrogenism. Horm. Res., Vol. 39, pp. 179-87, 1993. 

  25. E. T. Poehlman, M. J. Toth, A. W. Gardner. Changes in energy balance and body composition at menopause: a controlled, longitudinal study. Ann. Int. Med., Vol. 123, pp. 673-675, 1995. 

  26. S. B. Heymsfield, D. Gallagher, E. T. Poehlman, C. Wolper, K. Nonas, D. Nelson, Z. M. Wang. Menopausal changes in body composition and energy expenditure. Exp. Gerontol., Vol. 29, pp. 377-389, 1994. 

  27. N. P. Hays, G. P. Bathalon, M. A. McCrory, R. Roubenoff, R. Lipman, S. B. Roberts. Eating behavior correlates of adult weight gain and obesity in health women aged 55-65y. Am. J. Clin. Nutr., Vol. 75, No. 3, pp. 476-483, 2002. 

  28. M. Rebuffe-Scrive, J Eldh, LO. Hafstrom, P. Bjorntorp. Metabolism of mammary, abdominal and femoral adipocytes in women before and after menopause. Metabolism, Vol. 35, pp. 792-797, 1986. 

  29. R. M. Blew, L. B. Sardinha, L. A. Milliken, P. J. Texieira, S. B. Going, D, L. Ferreira, M. M. Harris, L. B. Houtkooper, T. G. Lohman. Assessing the validity of body mass index standards in early postmenopausal women. Obes. Res., Vol. 10, No. 8, pp. 799-808, 2002. 

  30. R. I. Wellens, A. F. Roche, H. J. Khamis, A. S. Jackson, M. L. Pollock, R. M. Siervogel. Relationships between the body mass index and body composition. Obes. Res., Vol. 4, No. 1, pp. 35-44, 1996. 

  31. J. Revill. The Observer. Are you a Tofi? (That's thin on the outside, fat inside). [cited 26 March 2008] Available from: http://www.guardian.co.uk/science/2006/dec/10/medicineandhealth.health.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