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만병초 추출물의 식중독 유발균에 대한 항균효과 및 항산화활성
Antimicrobial Effects against Food-Borne Pathogen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Rhododendron brachycarpum Extract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0 no.10, 2011년, pp.1353 - 1360  

최무영 (상지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임태진 (상지대학교 동물생명자원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만병초 에탄올추출물의 식중독 유발균에 대한 항균효과 및 항산화 활성을 조사하였다. 추출물의 항균활성은 paper disc 방법으로 조사하였다. 추출물을 10 mg/disc 점적한 후 저해환의 크기를 측정한 결과, 그람양성 3균주 중에서 Bacillus cereus에 대해, 그리고 그람음성 5균주 중에서 Escherichia coli O157:H7에 대한 항균활성이 가장 좋았다. 최소 억제 농도(MIC)는 현재 합성보존료로 이용되고 있는 sorbic acid와 비슷하게 나타났다. 또한, 만병초 추출물이 식중독 유발균의 성장에 미치는 효과를 검정하기 위해 Listeria monocytogenes, Staphylococcus aureus, Salmonella Typhimurium과 Escherichia coli O157:H7의 배양액에 250, 500, 1,000 및 2,000 mg/L 농도로 첨가하여 생육을 조사한 결과, 배양시간 별로 250 mg/L 농도까지는 대조군과 차이가 없었으나, 1,000 mg/L 이상의 농도에서는 균의 증식이 억제되었다. 만병초 추출물의 항산화 효능을 조사하기 위해 DPPH 라디칼 소거활성, ROS 생성 억제 및 supercoiled DNA strand 절단 억제효과를 측정하였다. Pyrogallol의 억제율을 100%로 기준하였을 때, DPPH 라디칼을 50% 억제시키는데 필요한 만병초 추출물의 농도는 양성대조군인 ${\alpha}$-tocopherol의 약 절반으로 나타났다.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DCF 형광도는 감소하여 ROS 생성이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추출물의 ROS 생성 억제효과는 양성 대조군인 아스코르빈산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또한, 만병초 추출물은 peroxyl radical 및 hydroxyl radical로 유발된 supercoiled DNA strand 절단을 억제시켰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만병초 추출물이 식중독 유발균에 대하여 우수한 항균작용과 항산화능을 나타내어 만병초가 효과적인 천연보존료 및 항산화제로서 이용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antimicrobial effects against food-borne pathogen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Rhododendron brachycarpum ethanol-extract.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extract was determined using a paper disc-diffusion method, and the diameter of the clear zone was 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천연보존제 및 항산화제 개발을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만병초를 이용하여 식중독 유발균에 대한 항균력 및 항산화 효과를 검증하여, 새로운 기능성식품이나 식품첨가물 소재로서의 개발가능성을 조사하였다.
  • 본 연구는 만병초 에탄올추출물의 식중독 유발균에 대한 항균효과 및 항산화 활성을 조사하였다. 추출물의 항균활성은 paper disc 방법으로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Jeong ET, Park MY, Lee JK, Chang DS. 1998. Antimicrobial activity and antimutagenesis of cinnamon (Cinnamomum cassia Blume) bark extract. J Fd Hyg Safety 13: 337-343. 

  2. Choi OK, Noh YC, Hwang SY. 2000. Antimicrobial activity of grapefruit seed extracts and polylysine mixture against food-borne pathogens. Korean J Dietary Culture 15: 9-15. 

  3. Lee OK, Lee HB, Son JY. 2004. Antimicrobial activities and nitrite-scavenging ability of olive leaf fractions.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20: 204-210. 

  4. Choi MY. 2010. Antibacterial activity of Euphorbia humifusa extracts on food-borne pathogenic bacteria. Korean J Community Living Science 21: 13-18. 

  5. Choi MY, Rhim TJ. 2010. Antimicrobial effect of Ampelopsis brevipedunculata extracts on food spoilage or foodborne disease microorganisms. Korean J Plant Res 23: 430-435. 

  6. Seo JK, Kang MJ, Shin JH, Lee SJ, Jeong HG, Sung NJ, Chung YC. 2010. Antibacterial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solvent extracts from different parts of Hagocho (Prunella vulgari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1425-1432. 

  7. Lee OH. 2004. Effects of supplementation of Puerariae radix ethanol extract on the antioxidative defense system in rats. Korean J Nutr 37: 872-880. 

  8. Shim KB, Park CH, Lee BH, Shetty K. 1999. Selection of higher level of antioxidants producing rosemary (Rosmarinus officialis L.) clones by inoculation of Pseudomonas sp. Kor J Intl 11: 325-330. 

  9. Rhim TJ, Choi MY. 2010. The antioxidative effects of Ampelopsis brevipedunculata extracts. Korean J Plant Res 23: 445-450. 

  10. Park JH, Kim JS, Jeong AY, Namba T. 1995. A pharmacognostical study on the 'Man Byung Cho'. Kor J Phamacogn 26: 168-174. 

  11. Choi JS, Han SY, Park JC, Choi JH, Woo WS. 1986. Flavonoids from the leaves of Rhododendron brachycarpum. Arch Pharm Res 9: 233-236. 

  12. Byun KS, Lee YW, Jin HJ, Lee MK, Lee HY, Lee KJ, Heo MY, Yu CY, Lee JH. 2005. Genotoxicity and cytotoxicity in human cancer and normal cell lines of the extracts of Rhododendron brachycarpum D. Don leaves.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3: 199-205. 

  13. Board RG, Lovelock DW. 1975. Some method for microbiological assay. Academic press, New York, NY, USA. p 91. 

  14. Choi MY, Choi EJ, Lee E, Rhim TJ, Cha BC, Park HJ. 1997. Antimicrobial activities of pine needle (Pinus densiflora Seib et Zucc.) extract. Kor J Appl Microbiol Biotechnol 25: 293-297. 

  15. Malterud KE, Farbrot TL, Huse AE, Sund RB. 1993. Antioxidant and radical scavenging effects of anthraquinones and anthrones. Pharmacology 47: 77-85. 

  16. LeBel CP, Ischiropoulos H, Bondy SC. 1992. Evaluation of the probe 2',7'-dichlorofluorescin as an indicator of reactive oxygen species formation and oxidative stress. Chem Res Toxicol 5: 227-231. 

  17. Hu C, Zhang Y, Kitts DD. 2000. Evaluation of antioxidant and prooxidant activities of bamboo Phyllostachys nigra var. Henonis leaf extract in vitro. J Agric Food Chem 48: 3170-3176. 

  18. Hiramoto K, Ojima N, Sako K, Kikugawa K. 1996. Effect of plant phenolics on the formation of the spin-adduct of hydroxyl radical and the DNA strand breaking by hydroxyl radical. Biol Pharm Bull 19: 558-563. 

  19. Choi MY, Rhim TJ. 2008. Antimicrobial effect of oregano (Origanum majorana L.) extract on fooborne pathogens. Korean J Plant Res 21: 347-351. 

  20. Lee HA, Nam ES, Park SI. 2003. Antimicrobial activity of maesil (Prunus mume ) juice against selected pathogenic microorganisms. Korean J Food & Nutr 16: 29-34. 

  21. Jeong MR, Cha JD, Lee YE. 2005. Antibacterial activity of Korean fig (Ficus carica L.) against food poisoning bacteria. Korean J Food Cookery Sci 21: 84-93. 

  22. Chung HJ. 2000.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Opuntia ficus indica var. saboten. Korean J Soc Food Sci 16: 160-166. 

  23. Bae JH. 2005. Antimicrobial effect of Plagiorhegama dubium extracts on food-borne pathogen. Korean J Food & Nutr 18: 81-87. 

  24. Park CS. 1997. Effect of spices on the growth of pathogenic bacteria. Korean J Soc Food Sci 13: 330-337. 

  25. Yang EJ, Han J, Lee IS. 1999. Antimicrobial activity of medicinal herbs extracts on cooling preservation foods. Korean J Post Sci Technol 6: 110-114. 

  26. Park JC, Lim GN, Park SN. 2010. Antioxidant activity of Rhododendron brachycarpum D. Don extract and its skin hydration effect measure. J Soc Cosmet Scientists Korea 36: 157-165. 

  27. Rhim TJ, Lim SC. 2005. The hepatoprotective and antioxidative effects of onion (Allium cepa) extracts in rat hepatocyte primary culture. Korean J Plant Res 18: 470-47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