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경기지역 인삼재배지의 토양 및 엽중 적정양분함량 검정
The Chracterization of Critical Ranges of Soil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Ginseng Field and Nutrient Contents of Ginseng Leaves in Gyeonggi Province 원문보기

韓國資源植物學會誌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v.24 no.5, 2011년, pp.642 - 649  

진현오 (경희대학교 식물.환경신소재공학과) ,  권혁범 (경희대학교 식물.환경신소재공학과) ,  양덕춘 (경희대학교 고려인삼명품화사업단 및 인삼유전자원소재은행)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경기도 안성, 포천지역 인삼재배지의 이화학적 성질 및 인삼의 엽 분석을 실시하여 인삼의 생육에 적합한 토양 및 엽중 적정 양분 농도를 설정하고자 수행하였다. 인삼 생근중은 우량포지가 불량포지에 비하여 안성지역이 2-5배, 포천지역이 1.5-2배 차이를 보여 동일 지역내에서도 큰 생육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인삼 생육에 관여하는 토양의 이화학적 성질의 적정 범위는 안성지역에서 공극률(>50%), 전질소(2.0-2.8 g/kg), 유효인산(500-900 mg/kg), 치환성 Ca(2.3-3.5 $cmol_c\;kg^{-1}$)이었으며, 포천지역에서는 액상(13%<), 유효인산(400-650 mg/kg), 치환성 Ca(4.0-4.7 $cmol_c\;kg^{-1}$), 치환성 Mg(<0.8 $cmol_c\;kg^{-1}$), 치환성 K(<0.5 $cmol_c\;kg^{-1}$)로 나타났다. 특히, 안성지역에 있어서는 치환성 염기 성분비(Exch Ca:Mg:K)도 인삼생육에 관여하고 있었는데 우량포지에서 6:2:1, 불량포지에서 4:2:1의 값을 보였다. 엽중 무기양분 함량 적정 범위는 안성지역에서 P(<0.25%), Mg(0.22%<), 포천지역에서 N(1.8%<), P(0.18%<), K(1.5-3.0%)의 값을 보였으며 그 이외의 일부 엽중 무기양분 성분비에서도 적정 범위가 설정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Ginseng growth is largely affected by characteristics of soil in Ginseng field. In this study, we determined the critical ranges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oil for optimization of ginseng growth by analyzing the soils from Anseong and Pocheon regions in Gyeonggi province. Fresh weight of g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인삼의 생육 및 수량증대를 위한 토양표준화및 개선재료 생산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경기도 지역내 주요 인삼 재배지인 안성, 포천 2개 지역의 토양특성 및 엽중 적정양분함량을 비교 분석함과 동시에 결핍, 과잉증상의 한계농도의 범위를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의 경작지 토양의 문제점은? 우리나라의 경작지 토양은 화학비료와 석회질 비료의 연 용으로 비옥도가 높아졌으며, 재배작물이나 경작지의 재배 방법에 따라 지역별, 동일지역 내에 있어서 비옥도 차이가 크고 양분 간의 균형에도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인삼(Panax ginseng C.
인삼시료로는 무엇을 채취하였는가? 조사지역은 경기도 지역내 주요 인삼 재배지인 안성지역과 포천지역으로 이 지역에 위치한 인삼재배 농가에서 안성은 2년근에서 5년근까지 포천은 2년근에서 6년근까지 연근별로 생육상황이 양호한 포지와 불량한 포지를 대상으로 하였다. 인삼시료는 포지별로 생육별, 연근별로 각각 3지점에서 평균적인 생육상태를 보이고 있는 개체 5-6본을 채취하였다. 또한 토양시료는 인삼시료가 채취된 지점의 직하부 표토(0-15 cm)를 토양 sampler를 사용하여 채취하였다.
안성과 포천지역 인삼의 생육차이에 영향을 주는 토양의 이화학적 성질은 어떻게 되는가? 인삼 생육에 관여하는 토양의 이화학적 성질의 적정 범위는 안성지역에서 공극률(>50%), 전질소(2.0-2.8 g/kg), 유효인산(500-900 mg/kg), 치환성 Ca(2.3-3.5 cmolc kg-1)이었으며, 포천지역에서는 액상(13%<), 유효인산(400-650 mg/kg), 치환성 Ca(4.0-4.7 cmolc kg-1), 치환성 Mg(<0.8 cmolc kg-1), 치환성 K(<0.5 cmolc kg-1)로 나타났다. 특히, 안성지역에 있어서는 치환성 염기 성분비(Exch Ca:Mg:K) 도 인삼생육에 관여하고 있었는데 우량포지에서 6:2:1, 불량포지에서 4:2:1의 값을 보였다. 엽중 무기양분 함량 적정범위는 안성지역에서 P(<0.25%), Mg(0.22%<), 포천지역에서 N(1.8%<), P(0.18%<), K(1.5-3.0%)의 값을 보였으며 그 이외의 일부 엽중 무기양분 성분비에서도 적정 범위가 설정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Jin, H.O., K. Haibara and Y. Aiba. 1988. Nutrient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site quality of sugi (Cryptomeria japonica) forests in Cheju prefecture, Korea. J. Japanese For. Soc. 70:177-181 (in Japanese). 

  2. Jung, B.G., J.W. Choi, E.S. Yun, J.H. Yoon and Y.H. Kim. 2001. Monitoring on chemical properties of bench marked upland soils in Korea. Korean J. Soil Sci. Fert. 34:326-332 (in Korean). 

  3. Kang, S.W., B.Y. Yeon, G.S. Hyun, Y.S. Bae, S.W. Lee and N.S. Seung. 2007. Changes of soil chemical properties and root injury ratio by progress years of post-harvest in continuous cropping soils of ginseng.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5:157-161 (in Korean). 

  4. Khwaja, A. and R. Roy 1995. Roy R. Ginseng soil and plant analysis. In Proc. Intl. Ginseng Conf. Vancouver, Canada. pp. 269-277. 

  5. Ko, S.R., K.J. Choi, H.K. Kim and K.W. Han. 1996. Comparison of proximate composition, mineral nutrient, amino acid and free sugar contents of several Panax species. J. Ginseng Res. 20:36-41 (in Korean). 

  6. Konsler, T.R. and J.E. Shelton. 1990. Lime and phosphorus effects on American ginseng: I. Growth, soil fertility, and root tissue nutrient status response. J. ASHS. 115:570-574 (in Korean). 

  7. Kwon, W.S., M.G. Lee and K.T. Choi. 2000. Breeding process and characteristics of Yunpoong, a new variety of Panax ginseng C.A. Meyer. J. Ginseng Res. 24:1-7 (in Korean). 

  8. Lee, I.H., C.S. Yuk, K.W. Han, C.S. Park, H.S. Park and K.Y. Nam. 1980. Influence of various soil characteristics in ginseng field on the growth and the yield of ginseng (Panax ginseng C.A. Meyer). J. Ginseng Res. 4:175-185 (in Korean). 

  9. Lee, I.H., C.S. Park and K.J. Song. 1989. Growth of Panax ginseng affected by the annual change i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ginseng cultivated soil. J. Ginseng Res. 13:84-91. (in Korean). 

  10. Lee, J.C., J.S. Byen, D.J, Ahn and J.S. Ho. 1995. Effect of physical properties of soil on ginseng seedling growth in nursery bed. J. Ginseng Res. 19:287-290 (in Korean). 

  11. Lee, J.W., S.K. Lee and J.H. Do. 2002. Comparison of the content of saponin and mineral component in Korean red ginseng and other red ginseng. J. Ginseng Res. 26:196-201 (in Korean). 

  12. Lee, S.W., S.W. Kang, D.Y. Kim, N.S. Seong and H.W. Park. 2004. Comparison of growth characteristics and compounds of ginseng cultivated by paddy and upland cultivation.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2:10-16. (in Korean). 

  13. Lee, S.W., S.W. Kang, N.S. Seong, G.S. Hyun, D.Y. Hyun, Y.C. Kim and S.W Cha. 2004. Seasonal changes of growth and extract content of root in Panax ginseng C. A. Meyer.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2:483-489 (in Korean). 

  14. Lee, C.H., C.H. Shin, K.S. Kim and M.S. Choi. 2006. Effect of inorganic components on the seedling growth performance of Kalopanx pictus Nakai.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4:173-177 (in Korean). 

  15. Lee, J.Y., J.H. Park, B.C. Jang, K.S. Lee, B.K. Hyun, S.W. Hwang, Y.S. Yoon and B.H. Song. 2007. The establishment of critical ranges of inorganic nutrition contents in leaves of net melon (Cucumis melo L.) in protected cultivation. Korean J. Soil Sci. Fert. 40:471-475 (in Korean). 

  16. Nadeau, I., R.R Simard and Olivier, A. 2003. The impact of lime and organic fertilization on the growth of wild-simulated American ginseng. Canadian J. Plant Sci. 83:603-609. 

  17. Park, H. 1996. Research on ginseng production during the past 20 years. J. Ginseng Res. 20:472-500 (in Korean). 

  18. RDA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10. Soil and Plant Analysis. 

  19. Seo, Y.J., J.S. Kim, J.K. Kim, J.U. Cho, T.Y. Kwon and J.S. Lee. 2002. Soil chemical properties of peach orchard and nutrient content of peach leaves in Gyeongbuk area. Korean J. Soil Sci. Fert. 35:175-184 (in Korean). 

  20. Stoltz, L.P. 1982. Leaf symptoms, yield, and composition of mineral-deficient American ginseng. Hortscience 17:740-74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