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영주 지역 향토음식의 인지도 분석 및 개발방안
Study on Recognition and Development of Native Local Foods in the Young-ju Area 원문보기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v.26 no.5, 2011년, pp.445 - 454  

남선정 (대구가톨릭대학교 외식식품산업학부) ,  박금순 (대구가톨릭대학교 외식식품산업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better understand the local and specialty foods of the Yeong-ju region. This study provides basic data for new menu development and commercialization. The results of 384 surveys, which were conducted to determine traditional rice cake production methods and thei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영주지역의 향토음식 및 특산물의 인지도 및 기호도의 실태조사를 통해 지역 향토음식에 대한 이해도를 높여 향토음식의 메뉴개발 및 산업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수집하고자 실시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경북 지역 유교문화권인 영주지역의 향토음식을 개발하여 관광자원화 및 산업화를 하기 위한 일환으로 영주지역 시민의 향토음식 및 지역 특산물에 대한 인식과 기호도 및 실태 조사를 하고 이를 대중화 및 상품화를 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조사하기 위해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향토음식의 개발 및 상품화는 어떠한 개발전략인가? 향토음식의 개발 및 상품화는 지역성을 부각시키고, 경쟁력을 상실해 가는 농촌의 소득을 올릴 수 있으며 지역의 특수성과 고유성을 발굴할 수 있는 바람직한 개발 전략이다 (Kim 1998; Choi 등 2004). 최근에는 각 시군에서 향토음식의 특성화 기회로 새롭게 지역의 향토음식을 선정하거나 발굴하는 작업들이 진행 중이며 이로써 현재 향토음식이라는 개념은 예로부터 내려온 지역 고유의 특산물을 이용한 음식 외에도 지역의 특색에 맞게 개발된 음식들도 포함되어 범위가 다소 확대 되어가는 편이다(Jin 등 2001; Kwang & Lee 2004).
음식문화의 중요성과 관광상품으로서의 가치를 단적으로 보여 주는 우리나라에서의 사례는 무엇인가? 최근 세계화 의식이 고조되고 한류열풍과 함께 외국에서 우리 음식인 김치, 장류 등 발효음식과 콩 제품인 두부요리 등의 우수성을 인정하고 다양한 응용요리 개발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증폭되고 있는데(오 & 조 2005), 일례로 2006년 우리나라를 찾은 외국인 관광객들은 한국에서 가장 인상 깊었던 것으로 ‘음식이 맛있다(48.5%)’ 꼽고 있다(한국관광공사 2006). 이는 문화유산이나 수려한 자연환경 등과 같이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관광상품보다 훨씬 높은 수치였으며, 음식문화의 중요성과 관광상품으로서의 가치를 단적으로 보여 주는 것이다.
향토음식이 한 나라 혹은 한 지역을 대표하는 문화상품이라고 할 수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향토음식은 한 나라 혹은 한 지역을 대표하는 문화상품이라고 할 수 있는데, 오랜 시간의 흐름 속에서 자연스레 형성 되어 그 지방의 특징을 잘 나타내는 관광자원으로서의 가치를 갖기 때문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농촌진흥청 농업과학기술원. 2008. 한국의 전통향토음식 경상북도. 

  2. 농림부 보도자료. 2006. pp 1-3 

  3. 오석태, 조용범. 2005. 한국음식의 글로벌화 전략 조리학회 추계 학술세미나 

  4. 한국관광공사. 2006. 외래관광객실태조사 보고서 

  5. Chang HJ, Yang IS, Chung LN, Shin SY. 2004. The study on the present status of overseas and domestic tourism products focusing on traditional food. Korean J. Food Culture, 19(4):394-398 

  6. Choi SK, Lee YJ, Park SS. 2004. A verification study on the strengthening of recognition of native cuisine with respect to Hadong-Gun area, Kyungsangnam-Do. Korean J. Food Culture, 19(3):285-294 

  7. Choi QS, Lee YH. 2004. A study on the stratcgies to modernize local dishes in Kyung-Buk for hotel menu-based on analysis of menus. Korean J. Tourism Information Research, 16(1):45-69 

  8. Choo JJ. 2009. Dietary attitudes and concerns regarding local foods among married women in Jeollabuk-do.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9(3):316-326 

  9. Jeon MS. 2003. The methods of cultural-heritage tourism product development in Kyungju area. Korean J. Tourism Research, 7(3):269-289 

  10. Jin YH, Kim SH, Kim JY. 2001. A study of traditional cuisine as tourism resource. Korean J. Culture & Tourism, 3(2):49- 83 

  11. Kim DH. 1998. Literature review on food culture by tourism resources in Korea. Korean J. Tourism Information Research. 2(1):49-83 

  12. Kim HR 1999. Development of native local foods associated with regional festival. Korean J. Culinary Research, 5(2):229- 233 

  13. Kwang SJ, Lee JH. 2004. Development of Native local foods of the northern part of GyongSang-bukdo and their commercialization. Korean J. Tourism Research, 19(1):49-60 

  14. Lee YJ. 2006. Analysis of current use of local food of adults in Gyeongju classified by age. Korean J. Food Culture, 21(6):577-588 

  15. Lee YJ, Kim SC. 2008. A study of residents consciousness of local food menus excavation and development in Gyeongju areas. Korean J. Food Cookery Sci., 24(4):549-559 

  16. Lee YJ, Hwa MO, Choi SK. 2006 A study on the dietary attitude and preference of native local foods in Ulsan area. Korean J. Food Culture, 21(5):446-455 

  17. Lee SH, Park YB. 2002. Tour experience program development a utilizable cooking peculiar of an Andong locality. Korean J. Culinary Research. 8(3):147-68 

  18. Shin AS. 2000. A research of traditional&native local foods in Busan. Korean J. Culinary Research. 6(2):67-78 

  19. Son YJ. 2005. A study on the consumers' recognition of regional cuisine in Kyonggi province. Korean J. Culinary Research. 11(2):1-1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