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troduction: Ameloblastoma is a benign but locally invasive tumor with a high recurrence rat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make an easier diagnosis and treatment planning of ameloblastoma. Materials and Methods: From January 1993 to October 2009, 139 cases from 123 patients, who had been diagnose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본과에서 치료한 법랑모세포종 환자 123명에서 생긴 139 증례를 대상으로 환자의 의무기록과 조직검사 보고서 및 방사선 사진을 참고로 하여, 각 임상 소견에 따라 증례를 분류하고 치료 방법 간의 관련성을 통계처리하여 이 종양의 진단 및 치료계획 수립에 도움을 주고자 연구를 시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법랑모세포종은 어떤 특징을 갖는 종양으로 알려져 있는가? 법랑모세포종은 구강악안면 영역에서 발생하는 전체 종양 및 낭종 중 1.0-3.3%1,2, 악골에 발생하는 종양 중에서는 11%3 정도를 차지하며, 상피성 치계 종양 중 발생 빈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법랑모세포종은 구강악안면 영역에서 발생하는 전체 종양 및 낭종 중 비율은 어느 정도인가? 법랑모세포종은 구강악안면 영역에서 발생하는 전체 종양 및 낭종 중 1.0-3.3%1,2, 악골에 발생하는 종양 중에서는 11%3 정도를 차지하며, 상피성 치계 종양 중 발생 빈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법랑모세포종의 임상적 증상에는 무엇이 있는가? 이 종양의 임상적 증상으로는 초기에는 자각 증상이 거의 없으며, 악골을 팽윤 혹은 비박 시키면서 치아는 이완되고 부분적으로 서서히 침투형으로 자라므로 완전히 제거하지 않는 경우 재발 가능성이 매우 높으나, 전이는 잘되지 않고 조직병리학적으로는 양성의 소견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4-9. 이러한 임상 병리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로는 Kim10, Ko와 Kim11, Leider 등12의 보고와 Gardner8의 연구를 들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Small IA, Waldron CA. Ameloblastomas of the Jaws.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1955;8:281-97. 

  2. Dhiravarangkura P. Roentgenographic survey of ameloblastoma in Osaka University Dental School. J Dent Assoc Thailand 1969;19:163-78. 

  3. Regezi JA, Sciubba JJ. Oral Pathology: clinical-pathologic correlations. 1st ed. Philadelphia: WB Saunders; 1989:363-374. 

  4. Hoffman PJ, Baden E, Rankow RM, Potter GD. The fate of the uncontrolled ameloblastoma.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1968;26:419-426. 

  5. Lee FM. Ameloblastoma of the maxilla with probable origin in a residual cyst.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1970;29:799-805. 

  6. Porter J, Miller R, Stratigos GT. Ameloblastoma of the maxilla.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1977;44:34-8. 

  7. Reaume C, Wesley RK, Jung B, Grammer FC. Clinico-pathological conference. Case 31, part 2. Ameloblastoma of the maxillary sinus. J Oral Surg 1980;38:520-1. 

  8. Gardner DG. A pathologist's approach to the treatment of ameloblastoma. J Oral Maxilofac Surg 1984;42:161-6. 

  9. Min BI. Clinical study of the recurred ameloblastomas of the oral cavity. J Korean Oral Maxillofac Surg 1991;17:18-24. 

  10. Kim KS. Clinicopathological study of ameloblastomas. J Korean Histo Dent 1980;18:1021-29. 

  11. Ko YH, Kim CS. Clinico-statistical analysis of the odontogenic ectodermal tumor in oral and maxillofacial region. J Korean Oral Maxillofac Surg 1988;14:61-76. 

  12. Leider AS, Eversole LR, Barkin ME. Cystic ameloblastoma. A clinicopathologic analysis.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1985;60:624-30. 

  13. Heffez L, Mafee MF, Vaiana J. The role of magnetic resonance imaging in the diagnosis and management of ameloblastoma.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1988; 65:2-12. 

  14. Yokobayashi Y, Yokobayashi T, Nakajima T, Oyama T, Fukushima M, Ishiki T. Marsupialization as a possible diagnostic aid in cystic ameloblastoma. J Maxillofacial Surg 1983;11:13741. 

  15. Gardner AF, Apter MB, Axelrod JH. A study of twenty-one instances of ameloblastoma, a tumor of odontogenic origin. J Oral Surg Anesth Hosp Dent Serv 1963;21:230-7. 

  16. Apple NB, Verbin RS. Surgical pathology of the Head and Neck, 1st edition, New York, 1986, 1331-409. 

  17. Hager RC, Taylor CG, Allen PM. Ameloblastic fibroma: report of case. J Oral Surg 1978;36:66-9. 

  18. Shafer WG, Hine MK, Levy BM. A Textbook of Oral Pathology. 3rd ed. Philadelphia: Saunders; 1985:251-8. 

  19. Rapidis AD, Angelopoulos AP, Skouteris CA, Papanicolaou S. Mural(intracystic) ameloblastoma. Int J Oral Surg 1982;11:166-74. 

  20. Stanley HR, Diehl DL. Ameloblastoma potential of follicular cysts.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1965;20:260-8. 

  21. Castner DV Jr, McCully AC, Hiatt WR. Intracystic ameloblastoma in the young patient.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1967;23:127-34. 

  22. Hutton CE. Occurence of ameloblastoma within a dentigerous cyst. Report of a case.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1967;24:147-50. 

  23. Lee CK, Yoon JH, Kim J, Lee YH. En bloc excision of the mural ameloblastoma arising from odontogenic keratocyst. J Korean Assoc Maxillofac Plast Reconstr Surg 1985;7:113-9. 

  24. Dresser WJ, Segal E. Ameloblastoma associated with a dentigerous cyst in a 6-year-old child. Report of a case.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1967;24:388-91. 

  25. Gardner DG, Pecak AM. The treatment of ameloblastoma based on pathologic and anatomic principles. Cancer 1980;46:2514-9. 

  26. Kameyama Y, Takehana S, Mizohata M, Nonobe K, Hara M, Kawai T, Fukaya M. A clinicopathological study of ameloblastomas. Int J Oral Maxillofac Surg 1987;16:706-12. 

  27. Adekeye EO. Ameloblastoma of the jaws: a survey of 109 Nigerian patients. J Oral Surg 1980;38:36-41. 

  28. Seldin SD. Ameloblastoma in Young patient: report of two cases. J Oral Surg Anesth Hosp Dent Serv 1961;19:508-12. 

  29. Komisar A. Plexiform ameloblastoma of the maxilla with extension to the skull base. Head Neck Surg 7:172-5. 

  30. Potdar GG. Ameloblastoma of the jaw as seen in Bombay, India.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1969;28:297-303. 

  31. Stout RA, Lynch JB, Lewis SR. The conservative surgical approach to ameloblastomas of the mandible. Plast Reconstr Surg 1963;31:554-62. 

  32. Martin H. Mouth cancer and the dentist. J Am Dent Assoc 1946;33:845-61. 

  33. Muller H, Slootweg PJ. The ameloblastoma, the controversial approach to therapy. J Maxillofac Surg 1985;13:79-84. 

  34. Petriella VM, Rogow PN, Baden E, Williams AC. Gigantic ameloblastoma of the mandible: report of case. J Oral Surg 1974;32:44-9. 

  35. Muller H, Slootweg P. Clear cell differentiation in an ameloblastoma. J Maxillofac Surg 1986;14:158-60. 

  36. Waldron CA. Ameloblastoma in perspective. J Oral Surg 24:331-3. 

  37. Shatkin S, Hoffmeister FS. Ameloblastoma: a rational approach to therapy.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1965;20:421-35. 

  38. Lee EW, Park HS, Cha IH, Kim J. Unicystic Ameloblastoma: case report. J Korean Assoc Maxillofac Plast Reconstr Surg 1991;13:160-6. 

  39. Isacsson G, Andersson L, Forsslund H, Bodin I, Thomsson M. Diagnosis and treatment of the unicystic ameloblastoma. Int J Oral Maxillofac Surg 1986;15;759-64. 

  40. Ronald Marks, Mike Block, I. Daniel Sanusi, Bruce Lowe, Bob D. Gross : Unicystic ameloblastoma, International J of Oral Surg. Vol 12, Issue3, June 1983, Page 186-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REEN

저자가 공개 리포지터리에 출판본, post-print, 또는 pre-print를 셀프 아카이빙 하여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