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황성동 출토 여성토우의 복식 고증과 돌 코스튬 응용디자인 연구
A Study on the Design for Doll Costume with Historical Research in Clay Female's Costume from Hwangsung-dong Tomb 원문보기

服飾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v.61 no.7, 2011년, pp.67 - 79  

최정 (원광대학교 생활과학부 패션디자인산업)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to design a ball-jointed doll costume with historical research in clay female doll's costume from Hwangsung-dong tomb of the Silla Dynasty[新羅] in 7C. This clay female doll's costume was characterized by slim silhouette, long sleeves, no neckline, side slit, high waistline, and bun on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시기의 복식유물은 매우 적고, 토우의 형태만으로는 당시의 복식문화를 이해하는 데에 어려움이 많다. 본 연구는 이를 보완하기 위해 간단하게 묘사된 황성동 여성 토우의 차림새를 고증을 거쳐 디자인에 응용하고, 유물이 적은 시기의 복식문화에 대한 관심을 높이기 위한 연구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경주 황성동 고분이란 무엇인가? 경주 황성동 고분은 축조연대 7C 후반으로 추정되 는 돌방무덤 유적으로서2), 목 부분이 파손된 인물토 우 및 동물토우와 함께 온전한 상태의 남성 2명과 여성 1명의 토우가 발견되었다.
경주 황성동 돌방무덤에서 출토된 신라 토우는 언제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는가? 경주 황성동 돌방무덤에서 출토된 신라 토우는 7C 후반의 것으로 추정되며, 고신라와 통일신라 교체기 복식의 특징이 드러나는 중요한 자료에 속한다. 이 시기의 복식유물은 매우 적고, 토우의 형태만으로는 당시의 복식문화를 이해하는 데에 어려움이 많다.
황성동 여성토우의 옆트임과 밑단 모양을 고려할 때 생각할 수 있는 치마의 형태는? 첫번째는 이중치마를 착용했고 겉치마에 옆트임이 있는 형태로서, 이 경우라면 제 42대 흥덕왕의 사치 복식금제에서 제시된 내상(內裳)과 표상(表裳)의 조 합이 이미 7C 중후반에 나타났음을 보여주는 예가 될 것이다. 두번째로는 겉에 입은 것이 옆트임의 포, 안에 입 은 것은 밑단 부분이 나뉘어졌거나 선을 두른 치마인 경우이다. 조우현 외13)는 한대(漢代) 심의(深衣)처럼 딱 맞는 스타일에서 허리선을 매끄럽게 하려면 허리 말기 아래와 치마 밑단을 잘라 주름분량에 차등을 둔 티어드 스커트 형식, 또는 주름이 없는 치마가 필요 했다는 설을 제시하였다. 황성동 토우의 치마 밑단에 그어진 선은 주름묘사가 없어 선두름으로 보이지만, 몸에 붙는 라인을 살리기 위해 치마 밑단만 자른 후 벌어지도록 만든 흔적일 가능성도 생각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권준희 (2001), 고신라기 토우에 나타난 복식 연구, 복식, 51(4), pp. 57-69. 

  2. 권준희, 조우현 (2002), 統一新羅內衣, 短衣考, 복식, 52(2), pp. 103-113. 

  3. 권준희 (2001), 통일신라의 치마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6(3,4), pp. 539-547. 

  4. 윤지원 (2003), 長袖衣에 관한 연구 -漢부터 唐시대의 무용복을 중심으로-, 복식, 53(4), pp. 17-29. 

  5. 채금석 (2005), 저고리 세부 구조의 발생과 그 형태 변화에 대한 연구-삼국시대에서 통일신라시대를 중심으로-, 복식, 55(1), pp. 113-128. 

  6. 박윤미 (2008), 신라 5-6세기 임당고분군 직물의 특성, 복식, 58(1), pp. 9-16. 

  7. 국립경주박물관 (1996), 신라인의 무덤, 서울: 통천문화사, p. 101. 

  8. 안정복 (1778), "동사강목", 한국고전종합DB, 자료검색일 2010. 9. 1, http://db.itkc.or.kr/index.jsp?bizNameMK 

  9. 국사편찬위원회 (2006), 옷차림과 치장의 변천, 서울:두산동아, p. 31. 

  10. 김부식 (1145), 三國史記, 사회과학원 고전연구실 역(1991), 北譯三國史記上, 서울: 도서출판 신서원을 참조함. 

  11. "경주 황성동 출토 여인 토용" (2009. 2. 21), 계림의 국토박물관 순례, 자료검색일 2010. 2. 17, -http://blog.daum.net/kelim/15712077 

  12. 常沙娜主編(2004), 中國織繡服飾全集3: 歷代服飾卷, 天津:天津人民美術出版社, p. 222. 

  13. 조우현, 권준희, 박윤미, 김혜영, 조현진 (2006), 대가야복식, 경북: 대가야박물관, pp. 213-228, 

  14. 김부식 (1145), 三國史記, 사회과학원 고전연구실 역(1991), 北譯三國史記上, 서울: 도서출판 신서원을 참조함. pp. 143-144. 

  15. 윤지원 (2003), 長袖衣에 관한 연구 -漢부터 唐시대의 무용복을 중심으로-, 복식, 53(4), pp. 26-28. 

  16. 권준희, 조우현 (2002), 統一新羅內衣, 短衣考, 복식, 52(2), p. 106. 

  17. 권준희 (2001), 고신라기 토우에 나타난 복식 연구, 복식, 51(4), pp. 68-69. 

  18. 한치윤, 한진서 (18C), "해동역사", 한국고전종합DB, 자료검색일 2010. 10. 16, http://db.itkc.or.kr/index.jsp?bizNameMK 

  19. 박윤미 (2008), 신라 5-6세기 임당고분군 직물의 특성, 복식, 58(1), p, 10. 

  20. 박윤미 (2008), 신라 5-6세기 임당고분군 직물의 특성, 복식, 58(1), p, 12. 

  21. Bloom, Jonathan & Blair, Sheila (1997). Islamic Arts, 강주헌 역 (2003), 이슬람 미술, 파주: 한길아트, p. 90. 

  22. 전용신 역 (1990), 完譯日本書記, 서울: 일지사, p. 559. 

  23. 김윤구 (2009. 12. 16), "석가탑 유물 중 유리구슬 등 추가 확인", 연합뉴스, 자료검색일 2010. 4. 17, http://www.yonhapnews.co.kr/culture/2009/12/16/0901000000AKR20091216173900005.HTML 

  24. "불국사 석가탑 유리구슬" (2009. 12. 16), 연합뉴스, 자료검색일 2010. 4. 17, http://app.yonhapnews.co.kr/YNA/ Basic/Gallery/YIBW_showPhotoNews_New.aspx?contents_idPYH20091216071400013 

  25. "불국사 석가탑서 최고 비단 보자기" (2009. 12. 16), 한겨레, 자료검색일 2011.04. 21, http://photo.media. daum.net/photogallery/culture/0804_culturenews/cluster_list.html?newsid20091216165809648&clusterid108653&clusternewsid20091216170207404&pyonhap 

  26. 松本包夫(1993), 正倉院裂, 京都: 京都書院, p. 89. 

  27. 松本包夫(1993), 正倉院裂, 京都: 京都書院, p. 9, 14, 16, 21, 48, 59, 61, 64, 70, 71을 참조하여 제작함. 

  28. 松本包夫(1993), 正倉院裂, 京都: 京都書院, p. 5. 

  29. 주성희 (2009), 오녀배자에 대한 연구, 2009 한국복식학회 춘계학술대회 논문발표집, p. 132. 

  30. 최해율 (2009), 조선 초중기 양반부녀복식의 복요 유행을 응용한 구체관절인형 고증의상 디자인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33(9), p. 138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