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구멍갈파래 급여가 육계 혈액 내 항산화, 면역조절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실시 하였으며, 이를 위해 LPS로 염증반응이 유도된 육계에서 혈액 SOD 유사 활성, immunoglobulin 농도 및 비장 조직 내 cytokine mRNA 발현을 조사하였다. 공시계로는 1일령 Ross종 육계수컷 96수를 선별하여, 육계전기(0~3주), 육계후기(3~5주)의 5주 동안 사양시험을 실시하였다. 처리당 24수(3수${\times}$8반복)씩 4처리구에 총 96수를 임의배치 하여 실시하였다. 시험구 배치는 무첨가구(Negative Control ; NC), 시판 면역증강제 첨가구(Positive Control ; PC, ${\beta}$-glucan 25 ppm), 구멍갈파래 분말 3% 첨가구(Ulva pertusa kjellman Powder ; Ulva P) 및 구멍갈파래 추출물 0.3% 첨가구(Ulva pertusa kjellman Extract ; Ulva E)로 배치하였다. 혈액 내 SOD 유사 활성을 분석한 결과 구멍갈파래 첨가구 (Ulva P, Ulva E)는 무첨가구와 면역제제 첨가구보다 높은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immunoglobulin 농도에서 IgA와 IgG 농도는 처리구간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IgM농도에서 구멍갈파래 추출물 처리구가 무첨가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은 수준을 나타냈다(P<0.05). 이는 구멍갈파래 추출물이 LPS에 대한 면역자극을 조절하여 과잉면역반응을 억제한 것으로 사료된다. 비장 조직 내 cytokine mRNA 발현량을 조사한 결과 IL-1, IL-2 및 IL-6에서 처리구별 공통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는데 구멍갈파래 처리구(Ulva P, Ulva E)의 mRNA 발현 비율이 무첨가구와 면역제제 처리구에 비해 낮았으며, 구멍갈파래 처리 간 비교에서 구멍갈파래 추출물이 분말보다 더 낮았다(P<0.05). iNOS의 경우 구멍갈파래 분말 첨가구는 무첨가구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지만 구멍갈파래 추출물 첨가구는 모든 처리구보다 iNOS의 발현이 낮았다(P<0.05). 구멍갈파래 분말과 추출물은 LPS 주입에 의한 염증 관련 사이토카인 mRNA 발현을 억제하는 경향을 나타내며, 특히 구멍갈파래 추출물이 발현억제 효과가 더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P<0.05). 본 연구 결과 육계에서 구멍갈파래 급여는 염증, 질병의 원인인 활성산소 제거에 효과가 있다고 사료된다. 특히 구멍갈파래 추출물은 혈액 내 IgM의 농도를 조절하여 외부항원에 대한 과잉면역반응을 억제하고 염증 관련 cytokine mRNA 발현을 억제하여 육계 면역조절에 긍적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test the efficacy of Ulva pertusa kjellman as immunomodulators under lipopolysaccharide (LPS) challenge in broilers by investigating their effects on serum superoxide dismutase (SOD) like ability, immunoglobulin concentration, and splenic cytokine mRNA expression. A tota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구멍갈파래를 자원화시켜 환경문제를 해결하고 더 나아가 구멍갈파래 생리활성 효과를 가축에게 적용시키는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구멍갈파래가 새로운 가축사료 소재로서 항산화, 면역조절 효과가 있는지 확인하고자 실시하였으며, 이를 위해 LPS로 염증반응이 유도된 육계에서 혈액 superoxide dismutase(SOD) 유사 활성, immunoglobulin 농도 및 비장 조직 내 cytokine mRNA 발현을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구멍갈파래는 주로 어디서 생육되나? 녹조식물 갈파래과에 속하는 구멍갈파래(Ulva pertusa kjellman)는 단독 또는 2~3가닥 뭉쳐서 나고 길이는 10 cm 그 이상에 달하며 제주도 연안 하부에 큰 군락을 이루며 계속 자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담수가 유입되는 지역에도 많이 생육하고 특히 겨울부터 늦봄까지 걸쳐 활발히 생육하며 여름에는 쇠퇴하여 해안선에 주로 부근에서 연중 생육한다. 다른 해조류와 마찬가지로 표면 전체를 통해 영양분을 흡수하여 수계에 비해 최대 수만 배까지 광물질을 농축하는 특징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Steinmetz와 Potter, 1991).
갈파래의 주요특성은? 또한 다량의 미량성분이 함유되어 대사작용 개선에 관여하며, 식이섬유에 의한 정장작용 효능이 입증되었다(Steinmetz와 Potter, 1991; Ray와 Lahye, 1995; Ayako 등, 1999). 갈파래의 주요특성의 하나는 육상 식물과 달리 황산기를 함유한 다당을 다량 함유하고 있으며 이 산성 다당은 항 종양, 항 바이러스, 면역증강 및 혈액 항 응고 작용 등 다양한 기능을 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Steinmetz와 Potter, 1991; Azuine 등, 1992; Yoo 등, 2001). 국내에서는 홑파래에서 추출한 당 단백질의 항암효과 및 면역활성이 연구 된 바가 있으나(Newmark, 1996) 구멍갈파래를 비롯한 해조류의 복합 산성 다당은 산이나 알칼리에 비교적 안정적이고 특수한 세균효소에 의하지 않고서는 분해되기 어려워 이용이 제한적인 것으로 알려져 왔다(Sugano 등, 1994).
기후변화로 제주 연안의 표면 수온이 지속적으로 상승하였는데 이로 인한 문제는? 04℃ 상승할 것으로 예상된다(국립수산과학원, 2010). 지속적인 표층수온 상승으로 녹조현상(green tide)을 유발하는 구멍갈파래가 대량 증식하였으며 이로 인해 최근 제주지역의 환경생태학적 문제를 야기한 바 있다(환경부, 2008). 따라서 구멍갈파래 이상증식에 대한 대처방안을 강구하여 앞으로 지속적으로 야기될 환경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매우 시급한 현실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AOAC 1995 Official method of analysis. 16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P1-43. 

  2. Ayako, Y., Koichi, Y. and Keiichi, O. 1999. Iodine distribution in blades of several laminarias grown in the same sea area. Bull. Jpn. Soc. Sci. Fish. 58:1373-1379. 

  3. Azuine, M. A., Goswami, U. C. and Katal, J. J. 1992. Antimutagenic and anticarcinogenic effect of carotenoids and dietary palm oil. Nutr. Cancer 17:287-295. 

  4. Chomczynski, P. and Sacchi, N. 1987. Single-step method of RNA isolation by guanidium thiocyartate-phenol-chloroform extraction. Anal. Biochem. 162:156-159. 

  5. Dreesman, G., Larson, C., Pinckard, R. N., Groyon, R. N. and Benedict, A. A. 1965. Antibody activity in different chicken glrobulins. Proc. Soc. Exp. Biol. Med. 140:1289-1293. 

  6. Fellenberg, R. von. 1987. Kompendium derallgemeinen Immunologie. Verlag Paul Parey, Berlin und Hamburg. 

  7. Han, J. G., Ha, J. H., Choi, Y. B., Go, J. L., Kang, D. H. and Lee, H. Y. 2009. The Comparison of Extraction Process for Enhancement of Immunomodulating Activities of Ulva pertusa kjellman. KOREAN J. FOOD SCI. TECHNOL. 41(4):380-385. 

  8. Hanaa H. Abd El-Baky, Farouk K. El Baz and Gamal S. El Baroty. 2009. Potential Biological Properties of Sulphated Polysaccharides Extracted from the Macroalgae Ulva lactuca L. Academic Journal of Cancer Research. 2(1):01-11. 

  9. Higgings, D. A. 1975.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fowl immunoglobulins. The Vet. Bull. 45:139-154. 

  10. Ito, K., Hori, K. 1989. Seaweeds; chemical composition and potential food uses. Food Rev. Int. 5:101-144. 

  11. Ivanova, V.R., M. Rouseva, J. Kolarove Serkedjieva and N. Manolova. 1994. Isolation of a polysaccharide with antiviral effect from Ulva lactuca. Preparative Biochem. Biotechnol. 24:83-97. 

  12. Kim, I. H., Lee, H. H., Jang, J. S., Lee, S. H., Ha, J. M., Ha, B. J. and Lee, J. H. 2006.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Seaweed, Ulva lactuca. Environmental Mutagens & Carcinogens. 26(2):48-52. 

  13. Klasing, K. C. 1994. Avian leukocytic cytokines. Poult. Sci. 73:1035-1043. 

  14. Koenen, M. E., Boonstra-Blom, A. G. and Jeurissen, S. H. M. 2002. Immunological differences between layer- and broile-type chickens. Vet. Immunol. Immunopathol. 89:47-56. 

  15. Leshchinsky, T. V. and Klasing, K. C. 2001. Divergence of the inflammatory response in two types of chickens. Develop. and Comp. Immunol. 25:629-638. 

  16. Margret, R. J., Kumaresan, S. and Ravikumar, S. 2009. A preliminary study on the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methanol extract of Ulva lactuca in rat.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30(5):899-902. 

  17. Mason, V. C., 1984. Metabolism of nitrogen compound in the large gut: Emphasis on recent findings in the sheep and pig. Proc Nutr Soc. 43:45-53. 

  18. Nam, C. S., Kang, K. S., Ha, J. M., Lee, S. H., Lee, J. H., Lee, D. G., Jang, J. S., Kang, H. Y. and Ha, B. J. 2006. Anti-Oxidative Effects of Ulva lactuca Extract Fractions Against $CCl_4$ Toxification. J. Toxicol. Pub. Health. 22(4):333-338. 

  19. Newmark, H. L. 1996. Plant phenolics as potential cancer prevention agents, Adv. Extract obtained from seaweeds. Bull. Korean. Fish. Soc. 19: 502-508. 

  20. Ortiz, J., Romero, N., Robert, P., Araya, J., Lopez-Hemandez, J., Bozzo, C., Navarrete, E., Osorio, A. and Rio, A. 2005. Dietary fiber, amino acid, fatty acid and tocopherol contents of the edible seaweeds Ulva lactuca and Durvillaea antarctica. Food Chemistry, 99:98-104. 

  21. Pryor, W. A. 1986. Oxy-radicals and related species : their formation, lifetimes, and reactions. Annu. Rev. Physiol. 48:67-657. 

  22. Ray, B. and Lahye, M. 1995. Cell-wall polysaccharides from the marine green alga Ulva rigida (Ulvaes, chlorphyta), extraction and chemical composition. Carbohyd. Res. 274:251-261. 

  23. Rietschel, E. T., Schletter, J., Weidemann, B., El-Samalouti, V., Mattern, T., Znhringer, U., Seydel, U., Brade, H., Flad, H. D., Kusumoto, S., Gupta, D., Dziarski, R. and Ulmer, A. J. 1998. Lipopolysaccharide and peptidoglycan: CD14-dependent bacterial inducers of inflammation. Microb. Drug Resist. 4:37-44. 

  24. SAS, 2008 SAS User's guide, Statistical Analysis System Inst. Inc Cary NC. 

  25. Sibbald, I. R. 1976. A bioassay for true metabolizable energy in feedingstuffs. Poultry Sci. 48:41-43. 

  26. Stefan, M. and Gudrun, M. 1974. Involvement of the superoxide anion radical in autoxidation of pyrogallol and convenient assay for superoxide dismutase. Eur. J. Biochem. 47:469-474. 

  27. Steinmetz, K. A. and Potter, J. D. 1991. Vegetable, fruit, and cancer II mechanism. Cancer Causes Aontril. 2:427-442. 

  28. Sugano, Y., Kodama, H., Terada, I., Yamajaki, Y. and Noma, M. 1994.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novel enzyme, ${\alpha}$ -neoagararooligosaccharide hydrolase, from a marine bacterium, Vibrio sp. strain JT0107. J. Bacteriol. 176:6812-6818. 

  29. Szenberg, A., Lind, P. and Clarke, K. 1965. IgG and IgM antibodies in fowl serum. Aust Exp Biol Med Sci. 43:451-454. 

  30. Xie, H., Rath, N.C., Huff, G. R., Balog, J. M. and Huff, W. E. 2000. Effects of Salmonella typhimurium lipopolysaccharide on brioler chickens. Poult. Sci. 79: 33-40. 

  31. Yoo, J. S., Cheun, B. S. and Kim, N. G. 2001. Determination of Na+ channel blocker in seaweeds. Korean. J. Environ. Biol. 19:107- 112. 

  32. 국립수산과학원. 2010. 기후변화에 따른 수산업 대응방안. 기후변화 대응사 업 추진성과 보고회. 

  33. 환경부. 2008. 연안 녹조(綠潮)를 유발하는 해조류 갈파래의 생육 지도 작 성. 보도자료. 

  34. 한국사양표준. 2007. 농촌진흥청 축산과학원.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