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정보채집으로의 접근 - 폭소노미 이해를 위한 개념적 틀 연구 -

Information Forager's Approach to Folksonomy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22 no.3, 2011년, pp.189 - 206  

박희진 (성균관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정보채집(information foraging) 이론을 적용하여 웹 정보자원을 조직, 검색, 공유하는 폭소노미 이용자의 상호작용을 체계적으로 연구, 분석하는 개념적 틀을 제시하고자 한다. 폭소노미 상호작용 이해를 위한 개념적 틀은 최종 이용자의 세 가지 정보행위간의 유기적인 관계로 구성되어 있다: (1) 태그를 활용하여 웹 정보자원을 분류하고 조직하는 태깅; (2) 폭소노미 내에서 유용한 정보 자원을 발견하고 검색하는 정보탐험; (3) 폭소노미를 통해 유사한 관심을 갖고 있는 다른 이용자를 발견하고 커뮤니티를 구성하며, 협업을 통해 새로운 정보자원을 창출해내는 지식공유. 이 틀에서 최종이용자는 정보환경에 유연적으로 적응하며 폭소노미를 통해 줄곧 관심사에 관한 정보를 수집, 모니터하며 다른 이용자와의 효율적인 공유와 검색을 위해 끊임없이 탐험하는 정보채집자(information forager)로 이해된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개념적 틀은 이용자와 폭소노미의 역동적이고 복잡한 상호작용 현상을 포괄적으로 조망함으로써, 향후 폭소노미를 비롯한 웹 정보서비스의 유용화 연구 설계에 보다 체계적인 이론적 토대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proposes a conceptual framework to explore the ways in which people work with in accessing, sharing, and navigating Web resources. In order to provide a better frame of a user's interaction with a folksonomy, an information foraging approach was adapted that denotes adaptive information 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제까지 폭소노미 연구의 대부분이 웹 정보서비스로서의 그 유용성과 기능에 대해서만 중점적으로 다루어져 왔다면, 이제 그 이해를 폭소노미와 관련되어 이루어지는 이용자의 정보탐색행위로 확장시킬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정보채집이론을 바탕으로 폭소노미와 상호작용하는 이용자의 정보행위를 보다 포괄적으로 조망할 수 있는 이론적 틀을 제공하고자 한다.
  • 정보채집 맥락에서 국내외 폭소노미 활용현황 및 이용패턴에 대한 관련연구를 분석, 조사하고 이용자의 폭소노미 상호작용에 관련된 정보행위들을 종합적으로 정리하여 개념적 틀을 제시할 것이다. 본 연구는 최종 이용자의 시각에서 정보채집 이론에서 비롯한 폭소노미 상호작용을 구체화하고 선행연구의 실증적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제안한 개념적 틀의 유용성을 고찰함으로써 그 적용을 제안하는 것을 궁극적 목적으로 한다.
  • 이들 중 Choo 등(2000)은 정보채집이론에 근거하여 인터넷, 특히 웹 상에서의 정보탐색 행위를 일반화한 모델을 제시하였다. 이 행동모델은 34명의 다양한 산업체에 근무하는 인터넷 이용자들의 정보탐색 행위 분석을 토대로 정보검색(searching)행위와 브라우징(browsing) 행위를 정보채집 시각에서 통합하고자 하였다. 지속적인 관찰을 통해 인터넷 정보탐색에 있어서 보이는 다양한 행동적 패턴과 변화 추이를 정보환경에 따라 끊임없이 변화하는 ‘정보채집’ 모델 내에서 종합적으로 접근하고 Aguilar(1967)의 4가지 스캐닝 모델과 Ellis(1987)의 정보탐색 모델로 구체적으로 정리하였다(<표 2> 참조).
  • 2000). 이런 배경에서 본 연구는 정보채집(information foraging)1) 이론을 기반으로 한 폭소노미를 비롯한 웹 정보서비스상호작용 연구를 위한 개념적 틀을 제안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는 이용자들의 폭소노미 상호작용 이해에 있어서 정보채집 이론에서 비롯한 접근-과정-시작단계-진행-목표단계-InputOutput을 다음과 같이 파악하고 분석하고자 한다. (1) 접근: 정보채집을 통해 이용자가 정보요구를 채워나가는 정보활동, (2) 시작단계: 공유한 태그(태그는 이용자들의 자신의 방식으로 정보를 분류, 조직하는 카테고리로서 분산된 정보를 연결해 줌으로써 이용자(정보채집자)가 효율적인 정보탐색 및 검색을 위한 구역이 된다.
  • 상호작용적인 측면에서 태그의 정량적인 분석에 기반한 폭소노미 연구는 이용자 측면에서 웹에서 발견한 유용한 정보에 태그를 부여하고 이를 동일한 관심을 가진 사람들끼리 공유하기 위해서 어떻게 폭소노미를 적용하고 있는지 설명하는데 지극히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이에 본 연구는 정보채집이론을 바탕으로 웹 정보자원을 조직, 검색, 공유하는 폭소노미 이용자의 상호작용을 전체적인 시각에서 이해할 수 있는 개념체계를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자는 ‘폭소노미에 따른 웹 분류’ 연구에서 태그를 통하여 웹 정보자원을 조직, 분류하는 이용자의 ‘태깅’ 행위를 중점으로 하여 폭소노미 상호작용 개념적 틀의 일부를 논증한 바 있다(박희진 2011). 제안한 개념적 틀의 유용성에 있어서 이 연구의 실증적 연구 결과를 중심으로 검토, 고찰하고 향후 폭소노미 연구에서 적용하는 것과 관련된 시사점을 살펴보고자 한다.
  • 폭소노미 이용자의 태깅행위 연구는 정성적인 연구 틀 내에서 최종 이용자의 태깅활동과 과정을 관찰하고 태깅활동에 참여하게 되는 동기가 무엇이며 태깅을 통해 참여하는 상호작용성에 대한 이용자의 경험과 인식을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태깅행위에 대한 심층적인 조사와 분석은 세 개의 폭소노미 시스템 Connotea(www.
  •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에서 제시하고 있는 개념적 틀은 폭소노미를 비롯한 웹정보서비스 연구에 있어서 폭소노미에 관련된 이용자의 일상적인 정보행위로의 접근이나 해석을 제시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폭소노미를 정보검색의 도구로서 이해할 뿐 아니라, 이용자가 폭소노미를 통해 잠재적인 관심영역에 대해 최근 동향을 파악하고 관련분야의 정보원과 지식을 개발하는 정보를 수집하고 탐험적인 발견을 하는 정보추구행위로 이해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정보학 분야에서 '먹이찾기'란 어떤 모델인가? 정보채집이론은 Pirolli와 Card가 최적사냥이론(optimal foraging theory)을 기반으로 인터넷 정보환경에서 정보검색과 인간과 시스템과의 상호작용을 보다 포괄적으로 설명하는 체계를 구축하려는 의도에서 제시되었다. ‘먹이찾기(foraging)’는 원래 진화생태학의 동물들이 먹이를 탐색하고 선택하는 행위들을 일컫는 것으로, 정보학분야에서는 사람들이 정보를 탐색, 수집, 이용하는 정보행위와 전략들을 이해하는 모델로 여러 연구에 적용되어왔다(Bates 1989; Sandstrom 1994). Bates(1989)는 딸기찾기(berry picking)모델을 통해 검색이 하나의 질문에 하나의 답을 얻는 방식이 아니라 목표들을 따라 검색과정에서 꼬리의 꼬리를 물고 진행됨을 증명하였으며, Sandstrom(1994)은 학술커뮤니케이션 환경에서 학자들의 정보원 선택과 검색과정에 적용시켜 설명하고자 하였다.
information scent(정보냄새)는 인터넷 정보탐색자 입장과 시스템 설계 입장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가? 정보채집 맥락에서 인터넷 탐색자가 정보의 유용성을 판단하는 역할을 하는 ‘정보냄새(information scent)’의 개념은 매우 중요하다. 인터넷 정보탐색자 입장에서 정보냄새는 어디로 항해할 것인가 선택결정의 기준이 되는 동시에, 시스템 설계 입장에서는 역으로 매력적인 정보냄새를 유포하여 자신이 원하는 경로로 이끌 수 있는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다. 강한 냄새에 이끌려 정보채집자는 정확한 경로로 검색을 수행하지만 정보냄새가 사라지면 정보환경 내에서 정체없이 방황하게 되기 때문에 정보냄새는 정보채집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Spink and Cole 2006, 4).
Pirolli와 Card(1999)가 제시한 정보채집이론은 무엇이며, 무엇을 이해하는데 유용한 이론으로 평가받고 있는가? 정보채집이론은 Pirolli와 Card(1999)가 동물들의 먹이사냥 행동에 대한 이론을 인터넷 환경에서 정보를 찾는 사람들의 탐색행위에 도입시켜 개념화 한 것으로 복잡하고 역동적인 웹상호작용을 이해하는데 유용한 이론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제까지 폭소노미 연구의 대부분이 웹 정보서비스로서의 그 유용성과 기능에 대해서만 중점적으로 다루어져 왔다면, 이제 그 이해를 폭소노미와 관련되어 이루어지는 이용자의 정보탐색행위로 확장시킬 필요가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김동숙, 정연경. 2010a. 저작관련 요소분석을 통한 폭소노미 태그의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Library Thing을 중심으로. 정보관리학회지, 27(1): 41-60. 

  2. 김동숙, 정연경. 2010b. 폭소노미 태그의 생성과 성장에 관한 연구: Library Thing을 중심으로.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4(4): 203-230. 

  3. 김성희, 이형미. 2009. 디지털화 문화유산 태그의 패턴 및 특성 분석.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0(3): 171-185. 

  4. 박태연, 김성희. 2009. 리소스 유형에 따른 태그의 특성 및 기능 분석.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3(4): 327-351. 

  5. 박희진. 2011. 폭소노미에 따른 웹 분류연구: 이용자의 태깅 행위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5(1): 189-210. 

  6. 이성숙. 2008. 대학도서관 폭소노미 태그의 형태적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2(4): 463-480. 

  7. 이성숙, 정서영. 2009. 국내 도서관 폭소노미 태그의 일반적 패턴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0(1): 137-150. 

  8. 이정미. 2007. 폭소노미의 개념적 접근과 웹 정보 서비스에의 적용. 한국비블리아학회지, 18(2): 141-159. 

  9. 조재인. 2008. 한국정보서비스의 폭소노미 분석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2(4):95-112. 

  10. Bates, M. 1989. "The Design of Browsing and Berrypicking Techniques for the Online Search Interface." Online Review, 13 (5): 407-424. 

  11. Case, D. 2002. Looking for Information: A Survey of Research on Information Seeking, Needs and Behavior. Amsterdam: Academic Press. 

  12. Chi, E. H. et al. 2001. "Using Information Scent to Model: Users Information Needs and Actions on the Web." CHI 2001, 3(1): 490-497. 

  13. Chi, C. and J. Pitkow. 2000. "The Scent of a Site: A System for Analyzing and Predicting Information Scent, Usage, and Usability of a Web Site." Conference on Human Factors in Computing Systems 2000, 2(1): 161-168. 

  14. Choo, C. and D. Turnbull. 2000. "Information Seeking on the Web: An Integrated Model of Browsing and Searching." FirstMonday, 5(2). [cited 2011.8]. . 

  15. Fokker, J. et al. 2006. "Tag-based Navigation for Peer-to-peer Wikipedia. Collaborative Web Tagging." Workshop at WWW 2006, 22 May 2006 Edinburgh UK [cited 2010.8]. . 

  16. Fu, W. and P. Priolli. 2007. "SNIF-ACT: A Cognitive Model of User Navigation on the World Wide Web." Human Computer Interaction, 22(4): 355-412. 

  17. Golder, S. and B. Humberman. 2006. "Usage Patterns of Collaborative Tagging System."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32(2): 198-208. 

  18. Guy, M. and E. Tonkin. 2006. "Folksonomies: Tidying up Tags?" D-Lib Magazine, 12(1). [cited 2011.8]. . 

  19. Jacoby, J. 2005. "Optimal Foraging." In K. Fisher et al. eds. Theory of Information Behavior, New Jersey: Information Today, Inc, 257-264. 

  20. Kalbach, J. 2000. "Designing for Information Foragers: A Behavioral Model for Information Seeking on the World Wide Web." Internetworking, 3(3). [cited 2011.8]. . 

  21. Kipp, M. 2007. "@toread and cool: Tagging for time, task and emotion." Paper presented at the 8th Information Architecture Summit, Las Vegas. [cited 2011.8]. . 

  22. Kipp, M. and D. Campbell. 2006. "Patterns and Inconsistencies in Collaborative Tagging Practices: An examination of Tagging Practices." In Proceedings of the American Society for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 1-18. 

  23. Koman, R. 1998. "The Scent of Information: Helping Users Find Their Way by Making Your Site Smelly." WebReview, 1998 Issues, May 15. [online]. [cited 2011.8]. . 

  24. Lin, X. et al. 2007. "Exploring Characteristics of Social Classification." In Proceeding of the 17thASIS&T SIG/CR Classification Research Workshop. Austin, Texas: Advances in Classification Research. [cited 2011.8]. 

  25. Marlow, C. et al. 2006. "HT06, Tagging Paper, Taxonomy, Flickr, Academic Article, to Read." In Proceeding of the 17thConference on Hypertext & hypermedia. New York, NY: ACM Press. [cited 2011.8]. . 

  26. Meho, L. and H. Tibbo. 2003. "Modeling the Information-seeking Behavior of Social Scientists: Ellis's Study Revisited." Journal of the American Society for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 54(6): 570-587. 

  27. Pirolli, P. and W. Fu. 2003. "SNIF-ACT: A Model of Information Foraging on the World Wide Web." In P. Brusilovsky et al. eds. Proceedings of the 9thInternational Conference on User Modeling, 45-54. 

  28. Pirolli, P. and S. Card. 1999. "Information Foraging." Psychological Review, 106 (4): 643-675. 

  29. Pirolli, P. et al. 2005. "Information Scent and Web Navigation: Theory, Models, and Automated Usability Evaluation." In Proceedings of Human Computer International 22-27 July 2005 LasVegas: NV, USA. [cited 2011.8]. . 

  30. Sandstrom, P. 1994. "An Optimal Foraging Approach to Information Seeking and Use." Library Quarterly, 64(4): 414- 443. 

  31. Sinclair, J. and M. Cardew-Hall. "The Folksonomy Tag Cloud: When It Is Useful?"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34(1): 15-29. 

  32. Spink, A. and C. Cole. 2006. "Human Information Behavior: Integrating Diverse Approaches and Information Use." Journal of the American Society for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 57(1): 25-35. 

  33. Sundar, S. et al. 2007. "New Cues: Information Scent and Cognitive Heuristics." Journal of the American Society for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 58(3): 366-378. 

  34. Swarup, S. and Gasser. L. 2008. Collaborative Tagging as Information Foraging(Technical Report, Graduate School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University of Illinois Chicago). [cited 2011.8]. . 

  35. Trevino, E. M. 2006. Social Bookmarks: Personal Organization and Collective Discovery on the Web.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Illinois Chicago. [cited 2011.8]. . 

  36. Voss, J. 2006. "Collaborative Thesaurus Tagging in the Wikipedia Way." Wikimetrics research papers, 1(1). [cited 2011.8]. . 

  37. Wang, P. et al. C. 2000. "Users' Interaction with World Wide Web Resources: An Exploratory Study Using a Holistic Approach." Information Processing and Management, 36: 229-251. 

  38. Yi, Kwan. 2009. "Mining Semantically Similar Tags from Deliciou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26(2): 127-14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보고서와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