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대학생의 자아탄력성,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Ego-resilience and Stress Coping Styles on College Adaptation in Nursing Students 원문보기

간호행정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17 no.3, 2011년, pp.267 - 276  

박진아 (호원대학교 간호학과) ,  이은경 (청암대학교 간호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go-resilience and stress coping styles on college adaptation in nursing students. Method: The sample for this study consisted of 1st and 2nd year students from 3 colleges of nursing, one each, in Jeolla, Chungcheong, and Gyeongsa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자아탄력성, 대학생활 적응과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연구이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자아탄력성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대학생활 적응에 대한 다차원적인 이해를 돕고, 대학생활적응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기초가 되는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 이에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자아탄력성,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를 파악하고,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대학생활 적응에 대한 다차원적인 이해를 돕고, 대학생활적응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기초가 되는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 스트레스 대처 방식이란 스트레스 요인으로부터의 피해를 최소화하고자 스트레스에서 벗어나기 위해 무엇인가 하는 행위 또는 위기에 대항하는 능동적인 과정을 의미한다(Folkman & Lazarus, 1985). 본 연구에서는 Folkman과 Lazarus(1985)의 도구를 Kim(1987)이 요인 분석을 통해 수정한 도구를 사용해 나타난 스트레스 대처 방식을 말한다.
  • 이에 대학생의 자아탄력성을 발달, 증진 시키는 프로그램의 개발을 제안하는 바이다.
  • 이에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자아탄력성,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를 파악하고,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대학생활 적응에 대한 다차원적인 이해를 돕고, 대학생활적응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기초가 되는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스트레스 대처방식이란? 스트레스 대처방식은 개인이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사건 속에서 자신이 받을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보이는 대응행동으로 (Billings & Moos, 1984) 스트레스가 높은 생활사건으로부터 개인을 보호할 수도 있고, 정신건강 문제에 직면한 개인의 취약성을 강화시킬 수도 있다(Ha & Cho, 2006). 비효율적인 대처방법은 정신적 불건강 및 다양한 질병의 원인으로 작용하여(Wong, Leung, & So, 2001) 도피적, 악순환적 대처행동은 만성적 스트레스를 유발하고 우울을 증가시키므로(Munakata, 1996) 효율적인 대처방법을 통한 스트레스 관리가 중요하다.
자아탄력성이란? 이러한 적응과 관련하여 최근 대두되고 있는 개념이 자아탄력성이다. 자아탄력성은 변화하는 상황적 요구나 스트레스 상황에서 유연하게 반응하는 성향을 뜻하며 좁은 의미로는 개인의 감정적 차원의 조절과 상황 및 환경적 수반성을 변화시키는 적응 자원으로 볼 수 있으며 넓은 의미로는 내적, 외적 스트레스에 유연하고 융통성 있게 적응하는 일반적 능력으로 스트레스나 역경을 잘 극복할 수 있게 하는 것을 의미한다(Block & Block, 1980). 따라서 자아가 탄력적인 사람은 상황에 따라 달라지는 긴장, 인내의 수준을 조절하는 능력이 있어 낯선 상황에서 변화하는 상황적 요구들에 유연하게 반응하여 성공적인 적응이 가능해 진다(Park, 1996).
간호대학생의 자아탄력성,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를 파악하고,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대학생활 적응에 대한 다차원적인 이해를 돕고, 대학생활적응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기초가 되는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한 본 연구의 결과, 제언하고자 하는 것은? 첫째,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멘토, 멘티 제도, 동아리 활동, 학회활동 참여 등을 격려하는 제도적 접근이 필요하다. 둘째,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영향을 미치는 내, 외적 변인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자아탄력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 및 연구가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spinwall, L. G., & Taylor, S. E. (1992). Individual differences, coping and psychological adjustment: A longitudinal study of college adjustment and performanc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3, 989-1003. 

  2. Baker, R. W., & Siryk, B. (1984). Measuring adjustment to college. Journal of Counselling Psychology, 31, 179-189. 

  3. Billings, A. C., & Moos, R. H. (1984). Coping, stress and social resources among adults with unipolar depress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6, 877-891. 

  4. Billings, A. C., & Moos, R. H. (1984). Coping, stress and social resources among adults with unipolar depress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6, 877-891. 

  5. Cho, H. J. (2005). A study of the impact of parental attachment and separation-individuation on college student adjustm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of Korea, Seoul. 

  6. Cho, H. J. (2005). A study of the impact of parental attachment and separation-individuation on college student adjustm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of Korea, Seoul. 

  7. Cho, H. J. (2005). A study of the impact of parental attachment and separation-individuation on college student adjustm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of Korea, Seoul. 

  8. Faul, F., Erdfelder, E., Lang, A. G., & Buchner, A. (2007). G*Power 3: A flexible statistical power analysis program for the social, behavioral, and biomedical sciences. Behavior Research Methods, 39, 175-191. 

  9. Folkman, S., & Lazarus, R. (1985). If it changes it must be a process: study of emotion and coping during three stages of a college examina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7, 150-170. 

  10. Garmezy, N. (1983). Stressor in childhood. In N. Garmezy & M. Rutter(Eds.). Stress, coping and development in children(pp. 43-84). New York: McGraw-Hill. 

  11. Ha, J. H., & Jo, H. I. (2006). The relationship among perfectionism, stress, the ways of stress coping, self-efficacy, college adjustment. The Korea Journal of Counseling, 7(2), 595-611. 

  12. Hyun, J. W. (1992). The effect of perfectionism and evaluative threat on the performance of task. Unpublished master's thesis, Yeonsei University of Korea, Seoul. 

  13. Jang, H. S. (2001). Resileince as a factor interrupting psychological disorders.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Development, 14(1), 105-119. 

  14. Klohnen, E. C. (1996). Conceptual analysis and measurement of the construct of ego-resilienc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0(5), 1067-1079. 

  15. Kim, A. R. (2010). The relationship of self-resilience, hardiness and stress coping style. Unpublished master's thesis,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Daegu. 

  16. Kim, J. H. (1987). Relations of perceived stress, cognitive set and coping behaviors to depression: a focus on freshman's stress experienc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Korea, Seoul. 

  17. Kim, M. Y., & Park, W. J. (2008). Ego-resilience, stress coping styles and disposition to delinquency in middle school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14(4), 415-422. 

  18. Kim, N. S., Lee, K. E., Kwon, M. K., & Kim, H. W. (2007). Ways of coping and health-related hardiness in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 Nursing, 14(2), 237-247. 

  19. Lee, H. N., Jeong, H. J., Lee, K. H., & Lee, H. J. (2006). The relationship among stress perception, stress coping, egoresilience and happiness of university students. The Korea Journal of Counseling, 7(3), 701-713. 

  20. Lee, S. J. (2009). The effect of sense of social connectedness and autonomy on college adjustment and subjective well-being among University students: Testing a mediation effect of interpersonal problems. The Korean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6(2), 229-248. 

  21. Luthar, S. S., & Cicchetti, D. (2000). The construct of resillience: Implications for interventions and social policies. Development and Psychopathology, 12(4), 857-885. 

  22. Munakata, T. (1996). Behavioral science in health and illness. Tokyo: Mejikarufurendosha. 

  23. Park, H. J., & Jang, I. S. (2010). Stress, depression, coping styles and satisfaction of clinical practice in nursing students. The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6(1), 14-23. 

  24. Park, H. J. (1996). Perceived stress, coping process and depression to ego-resilience.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of Korea, Seoul. 

  25. Park, Y. S., & Hyun, E. M. (2007). Ego-resilience and stress coping styles of adolescents.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25(6), 83-94. 

  26. Park, W. J. (2009). The influence of ego-resilience o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s, learning styles, and academic adjustment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18(3), 240-250. 

  27. Seligman, M. E. P. (1991). Learned Optimism. New York: Knopf. 

  28. Sung, M. H. (2008). The relationships between peer attachment, self-esteem and adjustment to college life in female college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ublic Health Nursing, 22(1), 84-96. 

  29. Taylor, S. E., & Brown, J. D. (1988). Illusion and well-being: A social psychological perspective on mental health. Psychological Bulletin, 103(2), 193-210. 

  30. Wong, D. F. K., Leung, S. S. K., & So, C. K. (2001). Differential impacts of coping strategies on then mental health of chinese nurses in hospitals in Hong Kong.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Practice, 7(3), 188-19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