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아침급식이 저소득층 결식아동의 영양상태, 혈액성상 및 주의집중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Breakfast Service on Nutritional Status, Hematological Status, and Attentiveness of Children in Low-Income Families 원문보기

대한영양사협회 학술지 = Journal of the Korean dietetic association, v.17 no.4, 2011년, pp.416 - 428  

이정숙 (고신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breakfast service on nutritional status, hematological status, and attentiveness of children in low-income families. The subjects were 19 boys and 13 girls between 7 and 11 years old.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a control group and a break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저소득층 결식아동들에게 아침급식을 실시하고 그 효과를 검토해 봄으로써 저소득층 결식아동을 위한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아침급식 프로그램의 도입을 요청하는 기초자료로 삼고자 계획되었다. 부산시 부산진구 J동의 저소득층 한부모가정 및 조손가정 아동을 대상으로 실험집단(급식군) 20명, 비교집단(대조군) 20명을 선정하여 설문지법, 신체계측, 혈액성상조사, 주의집중력검사를 실시하였다.
  • 국내에서도 결식아동들을 대상으로 한 식습관이나 영양상태 등에 대한 조사연구들은 다양하게 이루어져 있지만(Oh 등 2002; Yi 2004; Nam 등 2006; Shim 등 2009; Kim 등 2010; Lee 등 2011), 결식아동에게 아침급식을 실시한 후의 효과를 검토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저소득층 결식아동들에게 아침급식을 실시하고 영양상태, 혈액성상 및 주의집중력 등에 미치는 효과를 검토해 봄으로써 저소득층 결식아동을 위한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아침급식 프로그램의 도입을 요청하는 기초자료로 삼고자 계획되었다.
  • 1일 영양소 섭취 상태 파악을 위해서 연구조사원이 조사대상자를 1 : 1로 면담하여 24시간 식이섭취량을 회상하게 한 후 직접 기록하였다. 분량을 회상하는데 정확성을 기하기 위해 식품 모델, 식품사진 및 음식의 눈대중량 자료를 제시하였다. 식품의 영양소 분석을 위해 한국영양학회에서 개발한 전문가용 CANPro(3.

가설 설정

  • 매주 월요일부터 금요일까지 식단에 따라 조리하여 만든 아침도시락을 오전 7시 급식군의 가정으로 배달하였다. 아침도시락은 1일 영양필요량을 감안하여 식단을 작성하였고, 밥, 국(찌개), 과일, 김치를 포함한 3가지 반찬으로 구성하였으며, 성별 · 연령 별로 급식량을 조절하여 1일 영양필요량의 1/3이 충족되도록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아동의 식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아동의 식행동은 문화, 사회, 경제적인 요인 등에 의하여 영향을 받는데, 아동기의 건강상태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성인이 된 후의 건강을 좌우하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한다(Chung 등 2004). 식습관이 불량할 경우 신체적 발육이 저해될 뿐만 아니라 개인의 심리상태, 정서발달에도 영향을 받으므로 아동기의 영양문제는 신체발달 측면만이 아니라 행동과 심리적인 측면에서도 매우 중요하다(Choi & Lee 2009).
학동기의 균형잡힌 영양공급이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학동기는 신체적, 정신적으로 성장·발육이 왕성 하며 사회성이 발달하고 자아개념이 이루어지는 시기이며, 제2의 급속한 성장, 성적성숙을 준비하는 중요한 시기이다. 이 시기의 균형잡힌 영양공급은 일생의 성장 발육의 기초를 조성하여 지적, 사회적, 정서적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Nam 등 2006).
학동기란 어떤 시기인가? 학동기는 신체적, 정신적으로 성장·발육이 왕성 하며 사회성이 발달하고 자아개념이 이루어지는 시기이며, 제2의 급속한 성장, 성적성숙을 준비하는 중요한 시기이다. 이 시기의 균형잡힌 영양공급은 일생의 성장 발육의 기초를 조성하여 지적, 사회적, 정서적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Nam 등 200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Bae EJ, Kwon JH, Yoon HJ, Lee SK (2001): Nutritional status of school lunch supported students in an elementary school. J Korean Diet Assoc 7(4):349-360 

  2. Cheong SH, Sung H, Kim SK, Kim K, Cho M, Chang KJ (2003): Eating behaviors, perception of body image, hematological indices and nutrient intake of adolescent female athletes in Incheon. Korean J Community Nutr 8(6):951-963 

  3. Cho YH, Park YC (2010): The effect of rearing, health and nutrition intervention services on grandparents-grandchildren families in a rural Korean area. J Arg Med Commun Health 35(3):274-286 

  4. Choi DH (2000): A study on obese index, fat intake, and serum cholesterol/triglyceride concentrations in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Masters degree thesis. Wonkwang University. pp.21-37 

  5. Choi JY, Lee SS (2009): Relation between dietary habit and nutrition knowledge and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in the middle school students in Seoul. Korean J Nutr 42(8):682-690 

  6. Chung SJ, Lee YN, Kwon SJ (2004): Factors associated with breakfast skipping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Korea. Korean J Community Nutr 9(1):3-11 

  7. Joung HJ (2005): Deteriorating nutritional status in an increasingly prosperous socidety. Korean J Nutr 38(9):777-785 

  8. Kang MH, Choi MK, Kim MH (2011): Evaluation of energy and nutrient intake as well as dietary behaviors in elementary school and middle school students residing in Chungnam according to breakfast eating status. J Korean Diet Assoc 17(1):18-31 

  9. Kim MS, Cho AJ, Bae WO, Choi HS, Hong M, Kim HJ (2007): Actual conditions of child poverty and supporting measures in Korea. Korea Institute of Health and Social Affairs. Seoul. pp.52-61 

  10. Kim SH (1999): Children's growth and school performance in relation to breakfast. J Korean Diet Assoc 5(2):215-224 

  11. Kim YS, Yoon JH, Kim HR, Kwon SO (2010): Factors related to eating breakfast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Korean J Community Nutr 15(5):582-592 

  12.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orean Pediatric Society (2007): 2007 Growth standards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Korean Pediatric Society,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Seoul. pp.44-102 

  13. Korean Dietetic Association (2008): Manual of medical nutrition therapy. 3rd ed. Korean Dietetic Association. Seoul. pp.23 

  14. Lee GJ, Yoon JH, Choo YJ, Chung SJ, Kwon YH (2009): Effect of school breakfast service on attitudes toward breakfast and school breakfast of male middle school students. Korean J Community Nutr 14(3):277-285 

  15. Lee JH, Son EY, Kim YS, Lim YS (2011): Dietary habits and nutrition knowledge of children using community food service centers according to family type. Korean J Nutr 44(3):255-263 

  16. Lee JS (2003): The effects of gender, obesity rate, nutrition knowledge and dietary attitude on the dietary self-efficacy of adolescents. Korean J Community Nutr 8(5):652-657 

  17. Lee JS, Kim GS (2000): Factors on the seafood preference and eating frequency of the elementary school children. J Korean Soc Food Sci Nutr 29(6):1162-1168 

  18. Mahoney CR, Taylor HY, Kanarek RB, Saumel P (2005): Effect of breakfast composition on cognitive processes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Physiol Behav 85(5):635-645 

  19. Ministry of Environment (2008): Effect of environmental pollution on health status in low-income families. Korea Ministry of Environment. Seoul. pp.160-171 

  20.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9): Korea health statistics 2009: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orea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Seoul. pp. 149-280 

  21. Moosbrugger H, Oehlschaegel J (2002): FAIR. Frankfurter Aufmerksamkeits Inventory. Frankfurter. pp.5-87 

  22. Nam KH, Kim YM, Lee GE, Lee YN, Jeung HJ (2006): Physical development and dietary behaviors of children in low-income families of Seoul area. Korean J Community Nutr 11(2):172-179 

  23. Niemeier HM, Raynor HA, Lloyd-Richardson EE, Rogers ML, Wing RR (2006): Fast food consumption and breakfast skipping: predictors of weight gain from adolescence to adulthood in a nationally representative sample. J Adolesc Health 39(6):842-849 

  24. Oh SY, Kim MY, Hong MJ, Chung HR (2002): Food security and children's nutritional status of the households supported by the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system. Korean J Nutr 35(6):650-657 

  25. Shim JE, Yoon JH, Lee KW, Kwon SY (2009): Evaluation of dietary intake of Korean school-aged children from low-income families by comparing with the Korean food guide: analysis of the data from the 2001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Korean J Nutr 42(8):691-701 

  26. Son EY (2008): The study of food intake patterns and nutrient intakes from meal service programs supported by government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low income families- in Seoul. Masters degree thesis. Kyung Hee University. pp.33-39 

  27. Yeoh YJ, Yoon JH, Shim JE, Chung SJ (2008): Factors associated with skipping breakfast in Korean children: Analysis of data from the 2001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Korean J Community Nutr 13(1):62-68 

  28. Yi BS (2004): A comparative study on dietary life and recognition of diet related factors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J Korean Diet Assoc 19(3):364-374 

  29. Yi BS, Yang IS (2006): An exploratory study for identifying factors related to breakfast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Korean J Community Nutr 11(1):25-38 

  30. Yim KS, Yoon EY, Kim CI, Kim KT, Kim CI, Mo SM (1993): Eating behavior, obesity and serum lipid levels in children. Korean J Nutr 26:56-66 

  31. Yoon GA (2001): Contribution of food behavior and psychological factor to perceived tiredness in Adolescents. Korean J Nutr 34(1):89-9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