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분함량에 따른 곡류 압출성형물의 물리적 특성 비교
Effects of Moisture Content on Physical Properties of Extruded Cereal Flour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1 no.11, 2012년, pp.1603 - 1610  

김철현 (공주대학교 식품공학과) ,  김철 (중국 연변대학교 농학원 식품과학부) ,  류기형 (공주대학교 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곡류식품의 소재 개발을 위하여 수분함량을 달리하여 처리한 후 압출성형 곡류가루의 일반성분, 팽화율, 비길이, 밀도, 파괴력, 겉보기 탄성계수, 수분흡착지수와 수분용해지수, 비기계적 에너지 투입량, 페이스트 점도, 색도를 측정하였다. 압출성형 조건은 배럴온도 $130^{\circ}C$, 원료투입량 120 g/min, 수분함량(20, 22.5, 25, 27.5, 30%)으로 압출성형 하였다. 수분함량 20%일 때 압출성형 곡류가루의 팽화율이 가장 높았으며, 밀도와 파괴력이 가장 낮았다. 수분함량이 증가할수록 수분흡착지수는 증가하였고, 수분용해지수는 수분함량이 낮을수록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비기계적 에너지 투입량은 낮은 수분함량일 때 옥수수가루가 가장 높았으며, 귀리가루는 높은 수분함량에서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수분함량이 증가할수록 페이스트 점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명도는 압출성형 쌀가루가 가장 밝게 측정되었고 압출성형 보리가루가 가장 어둡게 측정되었으며, 총 색도 변화는 원료를 기준으로 보리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effects of moisture content on the physical properties of cereal extrudates were investigated. Cereal flours (rice, wheat, corn, barley, and oat) were extruded at a barrel temperature of $130^{\circ}C$, feed rate of 120 g/min, and various moisture contents (20, 22.5, 25, 27.5, and 30%...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쌀, 밀, 옥수수, 보리, 귀리가루의 수분함량을 달리하여 압출성형 하였을 때 비기계적 에너지, 밀도, 팽화율, 겉보기 탄성계수와 파괴력, 수분용해지수와 수분흡착지수, 페이스트 점도와 색도의 변화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곡류는 어떻게 분류되는가? 중요 식량으로 사용되어 온 곡류는 전 세계적으로 곡류자체나 곡류전분을 이용한 제품을 통하여 영양급원으로 삼고 있다. 곡류는 화본과에 속하고 쌀, 맥류, 잡곡으로 분류되며 그 성분을 보면 전분 약 60~70%, 단백질 10~15%, 지방 2~5%, 비타민, 무기질이 함유되어 있는 좋은 영양 급원으로 보고되고 있다(1,2).
곡류의 성분은 무엇으로 이루어져 있는가? 중요 식량으로 사용되어 온 곡류는 전 세계적으로 곡류자체나 곡류전분을 이용한 제품을 통하여 영양급원으로 삼고 있다. 곡류는 화본과에 속하고 쌀, 맥류, 잡곡으로 분류되며 그 성분을 보면 전분 약 60~70%, 단백질 10~15%, 지방 2~5%, 비타민, 무기질이 함유되어 있는 좋은 영양 급원으로 보고되고 있다(1,2).
압출성형 귀리가루를 제외한 멥쌀, 밀, 옥수수, 보리가루의 수분함량 20%일 때 겉보기 탄성계수가 큰 순서대로 나열하면? 압출성형 귀리가루를 제외한 멥쌀, 밀, 옥수수, 보리가루의 겉보기 탄성계수는 수분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수분함량 20%일 때 겉보기 탄성계수가 큰 순서대로 나열하면 옥수수> 멥쌀> 밀> 귀리> 보리 순으로 나타났고, 수분함량 30%일 때 옥수수> 보리> 귀리> 밀> 멥쌀의 순서로 나타났다. 수분함량이 증가함에 따른 겉보기 탄성계수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Guha M, Ali SZ. 2006. Extrusion cooking of rice: effect of amylose content and barrel temperature on product profile. J Food Process Preserv 30: 706-716. 

  2. Lee MS. 2004. Bioactive properties in whole grain. Food Indus Nutr 9: 19-25. 

  3. Gu BJ, Norajit K, Ryu GH. 2010.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extruded defatted hemp seed and its energy bar manufacturing. Food Eng Prog 14: 127-134. 

  4. Jin T, Lee ES, Hong ST, Ryu GH. 2007. Manufacturing of goami flakes by using extrusion process. Korean J Food Sci Technol 39: 146-151. 

  5. Ryu GH. 2003. Texturization of plant protein by using extrusion process. Food Eng Prog 7: 73-79. 

  6. Singh N, Smith AC. 1997. A comparison of wheat starch, whole wheat meal and oat flour in the extrusion cooking process. J Food Eng 34: 15-32. 

  7. Sim YJ, Jung BM, Rhee KC. 2001. Quality characteristic of extruded formulated products prepared from blends of rice flour, wheat flour and fish muscle by single-screw extrus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33: 45-49. 

  8. Ryu GH, Kang SH, Lee EY, Lim ST. 1997. Effect of $CO_2$ gas injection on properties of extruded corn starch. J Korean Soc Food Sci Nutr 26: 436-442. 

  9. Liu Y, Hsieh E, Heymann H, Huff HE. 2000. Effect of process conditions on the physical and sensory properties of extruded oat-corn puff. J Food Sci 65: 1253-1259. 

  10. Choi HD, Seog HM, Choi IW, Park MW, Ryu GH. 2004. Preparation of flakes by extrusion cooking using barley broken kernels.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276-282. 

  11. Mariotti M, Alamprese C, Pagani MA, Lucisano M. 2006. Effect of puffing on ultrastructure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of cereal grains and flours. J Cereal Sci 43: 47-56. 

  12. AACC International. 1999. Approved Methods of Analysis. 11th ed. Method 08-01, 30-25, 46-10, 56-20. American Association of Cereal Chemists, St. Paul, MN, USA. 

  13. Ryu GH, Ng PKW. 2001. Effects of selected process parameters on expansion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wheat flour and whole cornmeal extrudates. Starch/Starke 53: 147-154. 

  14. Alvarez-Martinez L, Kondury KP, Harper JM. 1988. A general model for expansion of extruded products. J Food Sci 53: 609-615. 

  15. Barrett AH, Peleg M. 1992. Extrudate cell structure-texture relationships. J Food Sci 57: 1253-1257. 

  16. RVA Manual. 1995. RVA-3 series operation manual using Dos thermocline software. Newport scientific, Narrabeen, Australia. 

  17. Majzoobi M, Farahnaky A. 2010. Comparison of the effects of extrusion cooking on some cereal starches. Int J Food Eng 6, DOI: 10.2202/1556-3758.1456 

  18. We GJ, Lee I, Cho YS, Yoon MR, Shin MS, Ko SH. 2010. Development of rice flour-based puffing snack for early childhood. Food Eng Prog 14: 322-327. 

  19. Ryu GH, Lee CH. 1988. Effects of moisture content and particle size of rice flour on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extrudate. Korean J Food Sci Technol 20: 463-469. 

  20. Hagenimana A, Ding X, Fang T. 2006. Evaluation of rice flour modified by extrusion cooking. J Cereal Sci 43: 38-46. 

  21. Jin T, Park HY, Ryu GH. 2005. Characteristics of cereals prepared by extrusion-cooking and freeze-drying. Korean Food Sci Technol 37: 757-762. 

  22. Chinnaswamy R, Hanna MA. 1990. Macromolecular and functional properties of native and extrusion-cooked corn starch. Cereal Chem 67: 490-499. 

  23. Jackson DS, Gomez MH, Waniska RD, Rooney LW. 1990. Effects of single-screw extrusion cooking on starch as measured by aqueous high-performance size-extrusion chromatography. Cereal Chem 67: 529-532. 

  24. Svihus B, Uhlen AK, Harstad OM. 2005. Effect of starch granule structure, associated components and processing on nutritive value of cereal starch: A review. Anim Feed Sci Technol 122: 303-320. 

  25. Chaudhary AL, Miler M, Torley PJ, Sopade PA, Halley PJ. 2008. Amylose content and chemical modification effects on the extrusion of thermoplastic starch from maize. Carbohydr Polym 74: 907-913. 

  26. Holguin-Acuna AL, Carvajal-Millan E, Santana-Rodriguez V, Rascon-Chu A, Marquez-Escalante JA, Ponce de Leon-Renova NE, Gastelum-Franco G. 2008. Maize bran/oat flour extruded breakfast cereal: A novel source of complex polysaccharides and an antioxidant. Food Chem 111: 654-657. 

  27. Altan A, McCarthy KL, Maskan M. 2008. Extrusion cooking of barley flour and process parameter optimization by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J Sci Food Agric 88: 1648-1659. 

  28. de Cindio B, Gabriele D, Pollini CM, Peressini D, Sensidoni A. 2002. Filled snack production by co-extrusion-cooking: 2. Effect of processing on cereal mixtures. J Food Eng 54: 63-7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