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경기도 김포시 모기의 계절적 발생소장 및 얼룩날개모기 유충 발생원의 생태학적 특성

Seasonal Prevalence of Mosquitoes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Anopheline Larval Occurrence in Gimpo, Gyeonggi Province, Republic of Korea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v.51 no.4, 2012년, pp.305 - 312  

김용기 (인천대학교 생명과학부) ,  이철민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생태연구과) ,  이정분 (국립생물자원관 생물자원총괄과) ,  배양섭 (인천대학교 생명과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김포시에서 모기성충의 계절적 발생소장과 얼룩날개모기류 유충의 발생을 파악하기 위해서 실시되었다. 성충모기는 6지점에서 유문등을 이용하여, 2008년 5월부터 9월까지 조사되었다. 조사결과 8속 16종 48,919마리가 채집되었다. 금빛숲모기(Aedes vexans nipponii)가 43%로 가장 많았고, 중국얼룩날개모기(Anophels sinensis)가 34%, 작은빨간집모기(Culex tritaeniorhynchus)가 14%로 이 3 우점종이 전체의 91%를 차지했다. 얼룩날개모기류의 계절적 발생소장은 작은빨간집모기와 비교하여 다른 피크를 보였다. 얼룩날개모기류 유충은 203지점 중 138지점(63%)에서 확인되었다. 지점당 정량조사 결과에서 평균유충밀도는 연꽃 재배지가 6.9개체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수로가 4.5개체, 미나리꽝이 3.4개체, 유수지가 3.2개체, 휴경논이 3.1개체, 논이 1.8개체, 습지가 1.4개체, 하천이 0.2개체 순이었다. 유충밀도와 용존산소량, 산도, 염분도, 흡밀원(축사, 돈사, 계사) 사이에 유의한 관계성은 없었다. 최근린평균거리분석(ANNA)의 결과에서, 유충 조사지점간 분포패턴은 전체 조사지점간과 4.0개체 이상 확인된 지점간에서 각각 밀집분포와 불규칙분포였다. 하성면에서는 유충이 3.0 개체 이상 확인된 지점간 분산분포를 나타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lucidate the seasonal prevalence of adult mosquitoes and occurrence of anopheline larvae in Gimpo, Gyeonggi province, Republic of Korea. Sampling of adult mosquitoes was carried out 18 times from May to September in 2008, using light traps at six sites. A total of 48,919...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모기의 주 흡혈원이라 할 수 있는 축사, 돈사, 계사 등의 393개의 가축농가가 위치해 있어(Gimpo Public Health Center, 2008) 모기가 대량 발생하기에 좋은 환경이다. 본 연구는 김포시에서 서식하는 모기의 계절적 발생소장과 유충밀도를 파악하기 위해서 실시하였다. 또한, 공간분석을 통하여 얼룩날개모기 유충의 발생원의 분포 특성을 중점적으로 검토하였다.

가설 설정

  • 2) Mean number of individuals of Anopheles larvae collected per one site.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Gimpo Public Health Center. 2008. Survey of mosquito habitat and density. Gimpo, Korea (Final report). pp. 4-5. 

  2. Jeong, Y.S, Lee, D.K., 2003. Prevalence and seasonal abundance of the dominant mosquito species in a large march near coast of Ulsan. Korean J. Appl. Entomol. 42: 125-132. 

  3. Kamimura, K. 1968. The distribution and habitat of medically important mosquitoes of Japan. Jap. J. Sanit. Zool. 19: 15-34. 

  4. Kim, H.C., Lee, K.W., Robert, L.L., Sardelis, M.R. Chase, F.E., 1995. Seasonal prevalence of mosquitoes collected from light trap in Korea (1991-1992). Kor. J. Entomol. 25: 225-234. 

  5. Kim, H.C., Lee, K.W., Miller, W.B., Strickman, D.A., 2001. Seasonal prevalence of mosquitoes collected from light trap in Korea(1997-1998). Kor. J. Entomol. 31:7-13. 

  6. Kim, H.C., Strickman, D.A. Lee, K.W., 2000. Seasonal prevalence and feeding activity of Anopheles sinensis (Diptera: Culicidae) in the Northwestern part of Kyonggi province, Republic of Korea. Kor. J. Entomol. 30: 193-199. 

  7. Kim, H.C., Lee, K.W., Jones, J.W., Worch, G.W., 1997. Seasonal prevalence of mosquitoes collected from light trap in Korea (1993-1994). Kor. J. Entomol. 27: 21-28. 

  8. Kim, H.C., Lee, K.W., Klein, T.A., Strickman, D.A. 1999. Seasonal prevalence of mosquitoes collected from light trap in Korea(1995-1996). Kor. J. Entomol. 29: 181-187. 

  9. Kim, H.C., Rueda, L.M., Wilkerson, R.C., Foley, D.H., Sames, W.J., Chong, S.T., Nunn, P.V., Klein, T.A., 2011. Distribution and larval habitats of Anopheles species in northern Gyeonggi Province, Republic of Korea. J. Vec. Ecol. 36: 124-134. 

  10. Lee, D.K., Cho, H.C., Kwon, H.D., Lee, C.N., Ha, S.T., Bin, J.H., Jung, G.Y., 1999. Seasonal prevalence of mosquitoes collected from light trap in Pusan, Korea (1993-1995). Kosin J. Health Sci. 9: 79-86. 

  11. Lee, D.K., Jeon, J.H., Kang, H.S., Yu, H.S., 1997. Analysis of aquatic ecosystems in organic and conventional farming rice fields and mosquito larval populations. Kor. J. Entomol. 27: 203-214. 

  12. Minakawa, N., Munga, S., Atieli, F., Mushinzimana, E., Zhou, G., Githeko, A.K., Yan, G., 2005. Spatial distribution of anopheline larval habitats in western Kenyan highlands: effects of land cover types and topography. Am. J. Trop. Med. Hyg. 73: 157-165. 

  13. Otsuru. M., 1949. A new species of Anopheles hyrcanus in Japan. Fukuoka Iagku Zassi. 40: 139-148. 

  14. Ree, H.I., Lee, S.K., 1991. Studies on mosquito population dynamics in Cholla-bugdo, Korea (1985-1990) I. Seasonal and annual fluctuations in population size. Kor. J. Entomol. 21: 141-155. 

  15. Ree, H.I., Lee, S.K., 1993. Studies on mosquito population dynamics in Chollabug-do, Korea (1985-1990) 2. Factors influencing population sizes of Culex tritaeniorhynchus and Anopheles sinensis. Kor. J. Entomol. 23: 185-194. 

  16. Ree, H.I., Lee, W.J., 1983. Laboratory studies on predation efficacy of some Odonata Nymphs and Coleoptera Larvae against mosquito Larvae. Kor. J. Entomol. 13: 31-38. 

  17. Shim, J.C., Shin, E.H., Yang, D.S., Lee, W.K., 1997. Seasonal prevalence and feeding time of mosquitoes (Diptera: Culicidae) at outbreak regions domestic malaria (P. vivax) in Korea. Kor. J. Entmol. 27: 265-277. 

  18. Shim, J.C., Yoon, Y.H., Kim, C.L., Lee, W.J., Lee, B.I., Kim, S.C., 1987. Integrated control of vector mosquitoes in rice fields. Kor. J. Entomol. 17: 83-91. 

  19. Wada, Y.T., Oda, M. Mogi, A. Mori, N. Omori, H. Fujumi, K. Hayashi, J. Mifune, A. Shichijo and S. Matsuo. 1975. Ecology of Japanese encephalitis virus in Japan. II. The population of vector mosquitoes and the epidemic of Japanese encephalitis. Trop. Med. 17: 111-127. 

  20. White, G.B., 1989. Geographical distribution of arthropod-borne diseases and their principal vector. 1. MALARIA, WHO/VBC/ 89.967, 7-20. 

  21. Wong, D.W., Lee, J., 2005. Statistical analysis of geographic information with ArcView GIS and ArcGIS. John Wiley & Sons, INC. Hoboken, New Jersey, USA. 441 pp. 

  22. Yang, K.H. 1992. Seasonal abundance of mosquito collected by blacklight trap and identification of mosquito host blood sources in Suwon. M.S. thesis. Seoul National Univ. 46 pp. 

  23. Yoo, S.H., Kwon, H.S. Park, J.J., Park, C.H., 2011. Spatial distribution of feeding sit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density and environmental factors (roosting site, road and residence) of cranes in Cheorwon Basin, Korea. Kor. J. Environ. Ecol. 25: 516-525. 

  24. Yoon, J.H., Park, H.C., Jung, B.G., Sohn, S.R., Park, S.H., 1994. Seasonal prevalence of mosquitoes collected with light trap - At a cow shed in the vicinity of Taegu city, Korea. Kor. J. Entomol. 24: 7-17. 

  25. Yu, H.S., Yun, Y.H., Lee, D.K., Lee, W.J., 1981. Biological control of mosquito larvae breeding in rice paddies in the presence of fish predator. Kor. J. Entomol. 11: 29-3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