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영유아의 주 양육자가 지각하는 양육 스트레스와 피로
Degree of Parenting Stress and Fatigue Perceived by Primary Caregivers of Young Children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v.18 no.4, 2012년, pp.184 - 191  

박선정 (삼육대학교 간호학과) ,  강경아 (삼육대학교 간호학과) ,  김성희 (중앙대학교 적십자간호대학) ,  김신정 (한림대학교 간호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data for nursing interventions to assist primary caregivers of young children by determining the degree stress and fatigue that caregivers were under due to parenting young children. Methods: Participants were primary caregivers (181 mothers an...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므로 영유아의 주 양육자인 어머니와 조모가 경험할 수 있는 양육 스트레스와 피로정도를 감소시키기 위한 대처 방안을 모색하고 다양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부모 자녀 간혹은 가족의 바람직한 상호작용을 도모하고 영유아의 발달에도 도움이 되어야 한다(Jang & Cho, 2003). 이에 본 연구는 아동을 1차적으로 양육하는 어머니와 조모를 대상으로 그들이 지각하는 양육 스트레스와 피로 정도를 파악함으로써 효율적인 간호중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영유아를 양육하는 주 양육자의 양육 스트레스와 피로 정도를 파악함으로써 스트레스와 피로 정도를 감소시키고 올바른 양육을 돕기 위한 간호중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함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영유아를 양육하는 주 양육자의 스트레스와 피로 정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자가 보고식 질문지를 이용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영유아를 양육하는 주 양육자의 스트레스와 피로 정도를 파악함으로써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올바른 양육을 돕기 위한 간호중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하였다. 그리하여 본 연구에서는 영유아 주 양육자가 지각하는 양육스트레스와 피로 정도를 파악 하고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양육스트레스와 피로 정도의 차이와 대상자가 지각하는 양육스트레스와 피로 정도의 관계를 파악 하였다.
  • 본 연구는 영유아를 양육하는 주 양육자의 스트레스와 피로 정도를 파악함으로써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올바른 양육을 돕기 위한 간호중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하였다. 그리하여 본 연구에서는 영유아 주 양육자가 지각하는 양육스트레스와 피로 정도를 파악 하고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양육스트레스와 피로 정도의 차이와 대상자가 지각하는 양육스트레스와 피로 정도의 관계를 파악 하였다.
  • 본 연구는 아동 특히 어린 영유아의 양육 환경이 충분치 않은 현재 우리나라의 상황에서 영유아를 돌보는 주 양육자의 스트레스와 피로 정도를 파악함으로써 양육스트레스와 피로 정도를 완화시키기 위한 간호중재를 개발할 필요성과 양육자의 역할을 충실히 할 수 있도록 조기 간호중재의 필요성과 프로그램 개발이 중요함을 인식하는 의미가 있다고 생각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아동에게 가정의 역할은 무엇인가? 가정은 인간이 태어나 최초로 접하는 사회적 환경으로 아동이 훌륭한 인성의 기초를 형성하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무력한 존재로 태어난 아동은 가정 내에서 부모의 양육과 보호 속에서 자라면서 언어 생활습관, 가치관 등을 배우게 된다.
부모의 양육과 보호 속에서 아동이 배우는 것은 무엇인가? 가정은 인간이 태어나 최초로 접하는 사회적 환경으로 아동이 훌륭한 인성의 기초를 형성하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무력한 존재로 태어난 아동은 가정 내에서 부모의 양육과 보호 속에서 자라면서 언어 생활습관, 가치관 등을 배우게 된다. 부모는 자녀에게 관심을 갖고 바람직한 행동을 취하는 등의 일차적 기능을 통해 다음 세대의 자녀가 건강하게 잘 살아가도록 신체적, 사회·심리적, 그리고 경제적 조건을 준비해 주는 영구적인 과업을 위임받고 있다.
영유아 시기에 양육자의 역할이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영유아란 신생아기가 지난 만 1개월부터 3세까지의 아동을 의미하는데 영유아는 그들의 어린 연령 때문에 적절히 행동을 하지 못하므로 의존 상태에 있다(Richardson, 1988). 따라서 이 시기에는 아동을 돌보는 주 양육자가 아동에게 큰 영향을 미치는데, 아동측면에서도 자신의 양육은 물론 의식주에 이르기까지 생활전반에 걸린 행위가 1차적으로 돌보는 양육자에 의해 이루어지기 때문이다(Kim & Park, 200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Abidin, R. R. (1992). The determinants of parenting behavior. The Journal of Clinical Child Psychology, 21, 401-412. 

  2. Ahn, J. Y. (2006). Care stress and quality of life of grandmothers caring for their grandchildren in employment mother's home. Journal of Korean Academy Child Health Nursing, 12, 368-376. 

  3. Bae, J. H., Roh, S. K., & Kweon, K. S. (2008). Current practices of grandparents raising grandchildren and their needs for support. Journal of Future Early Childhood Education, 15, 379-410. 

  4. Burnette, D. (1999). Grandparents raising grandchildren in the inner city. Family in Society, 78, 489-499. 

  5. Chae, O. H., & Jeong, E. M. (2004). The proposal to improve child care service of working wives.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7(2), 81-96. 

  6. Chae, S. M., Kang, H. S., Lee, H. J., & Shin, H. S. (1999). The effects of spousal support on the parenting stress and quality of life of mothers with preschool children. Korean Society of Maternal and Child Health, 3, 187-195. 

  7. Co, S. H. (1994). A study on perceived by mothers parenting stress.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18, 21-37. 

  8. Crinic, K. A., & Greenberg, M. (1990). Minor parenting stresses with young children. Child Development, 61, 1628-1637. 

  9. Jang, H. J., & Cho, B. H. (2003). The nursing behavior of grandmother and mother transferred over each generations and the grandmother's nursing support. The Korea Association of Child Care and Education, 31, 269-281. 

  10. Jeon, Y. J. (1997). A study on stress, coping strategies and psychological outcomes of dual- career wives.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35(1), 339-355. 

  11. Kim, K. Y. (1999). Subjective symptoms of fatigue in normal pregnant wom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9, 248-257. 

  12. Kim, M. I., & Park, D. Y. (2009). Parenting stress, depression and verbal abuse of infant's moth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Child Health Nursing, 15, 375-382. 

  13. Kim, M. J., & Chung, J. W. (2008). Original Articles: Development of a "Grandmothering Stress Index" for Korean day-care grandmoth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Womens Health Nursing, 14(1), 56-65. 

  14. Kim, S. J., Jeong, G. H., & Kim, E. H. (2000). Mothers' perception of fatigue in postpartum period.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Womens Health Nursing, 7, 461-472. 

  15. Kim, S. J., Jeong, G. H., & Kim, T. H. (2001). Subjective symptoms of fatigue in postpartum wom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Womens Health Nursing, 6, 427-438. 

  16. Kim, S. J., & Park, I. S. (2003). Analysis of fatigue perceived by the mothers of infants & toddler. Korean Journal of Child Health Nursing, 9(1), 36-45 

  17. Kim, S. J., & Seong, M. S. (1998). Subjective symptoms of fatigue in hospit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8, 908-919. 

  18. Kim, J. R., Suh, S. R., & Shin, J. W. (2009). Work stress and fatigue among medical insurance review nurses.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6(4), 63-70. 

  19.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09). Summary of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by gender and age group. Retrieved June 16, 2010, from http://Kosis. kr/ups3/service/ch_file_down.jsp?PUBCODEKL&FILE_NAME/ups3/uplode/Magazine/NEW/KL/040302.xIs&SEQ230. 

  20. Kwon, I. S. (2001).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urden and the social support of grandmothers caring their grandchildren. Korean Journal of Child Health Nursing, 6, 212-223. 

  21. Lee, J. W. (2003). The child caring stress of mothers of infant and toddler and its related factors. Korea Journal of Maternal and Child Health, 7, 207-215. 

  22. Lee, J. Y., Chung, K. M., & Kim, W. K. (2008). The mental health study of caregiving grandmothers comparing with non-caregiving grandmothers of middle class. The Korean Journal of Woman Psychology, 13, 325-341. 

  23. Lee, W. H., & Kim, C. J. (2006).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perceived stress, fatigue and anger in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6, 925-932. 

  24. Oh, J. A. (2000). Concept analysis for nursing theory development: Childcare. Nursing Science, 12(2), 26-36. 

  25. Oh, J. A. (2006). Care stress and quality of life of grandmothers caring for their grandchildren in employment mother's home. Journal of Korean Academy Child Health Nursing, 12, 295-303. 

  26. Park, H. J., & Jeong, H. M. (2010). The temperament of grandmothers and grandchildren grandmother's parenting self-efficacy and parenting stres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Maternal Child Health, 14(1), 1-11. 

  27. Park, I. S., Kim, C. S., Kim, R., Kim, Y. J., & Park, M. H. (2005). Stress, anxiety and fatigue of nursing students in clinical practic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1, 151-160. 

  28. Richardson, S. F. (1988). Child health promotion practices, Journal of Pediatric Healthcare, 2(2), 73-78. 

  29. Yu, I. Y., Lee, M. J., & Chea, S. M. (1998). A comparative study of the parenting stress and job satisfaction of working mothers related to child-care arrangements. Korean Society of Maternal and Child Health, 2, 159-169.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