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갓김치로부터 분리한 Probiotic 유산균과 Prebiotic Fructooligosaccharide로 제조한 요구르트의 Synbiotic 가능성
Synbiotic Potential of Yoghurt Manufactured with Probiotic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Mustard Leaf Kimchi and Prebiotic Fructooligosaccharide 원문보기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v.40 no.3, 2012년, pp.226 - 236  

임성미 (동명대학교 식품영양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갓김치로부터 분리한 probiotic L. acidophilus GK20 및 L. paracasei GK74를 단독 혹은 혼합 배양하여 제조한 요구르트를 저장하는 동안 이화학적 및 미생물학적 특성과 스타터의 위산이나 담즙산에 대한 저항성, Caco-2 cell에 대한 부착능, 항균, 항산화 및 효소적 활성에 대한 prebiotic FOS(fructooligosaccharide)의 영향을 살펴보았다. FOS를 첨가했을 때 요구르트 내의 스타터 균수, 총산도 및 점도는 유의하게 높아짐과 동시에 pH는 감소되었다(p<0.05). 또한 E. coli ATCC 11229와 S. enteritidis ATCC 13076은 probiotics 스타터가 생산한 항균물질에 의해 저해되었으며, FOS를 첨가한 synbiotic 요구르트의 항균활성은 더욱 증가되었다. 게다가 FOS (1.0%)를 첨가하여 혼합 스타터로 발효시킨 요구르트에서 가장 높은 단백질 분해능 ($1.06{\pm}0.06$ unit) 및 ${\beta}$-galactosidase 활성 ($20.14{\pm}0.31$ unit)을 나타내었다. 하지만 비록 L. acidophilus GK20과 L. paracasei GK74 모두 장관액에 대한 저항성, 장관상피세포에 대한 부착능 및 DPPH radical 소거능이나 환원력과 같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지만, 이들 활성이 FOS에 의해 증가되진 않았다. 결과적으로 L. acidophilus GK20과 L. paracasei GK74 혼합 배양에 FOS를 첨가한 synbiotic 요구르트는 장내환경 개선과 건강기능 향상에 유용한 것으로 여겨지며, 생리활성은 $4^{\circ}C$에서 7일간 저장 하에서도 일정하게 유지되었음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e present work, the influence of prebiotic fructooligosaccharide (FOS) on adhesion to Caco-2 cells, viability, acid and bile tolerance, antibacterial, antioxidant, enzymatic, and metabolic activities of the probiotic starters Lactobacillus acidophilus GK20 and Lactobacillus paracasei GK74, ha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냉장(4°C) 온도에서 7일간 저장하는 동안 요구르트의 pH, 총산도, 점도 및 생균수 등의 이화학적 특성과 위산이나 담즙산에 대한 probiotic의 저항성, Caco-2 cell에 대한 부착능, Escherichia coli와 Salmonella enteritidis에 대한 항균활성, proteolytic 효소와 β-galactosidase 및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여 synbiotic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해 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식품 발효 중 유산균의 역할은 무엇인가? 유산균은 유산이나 초산과 같은 유기산이나 알코올, 균체 외 다당류 및 여러 효소들을 생산함으로써 발효되는 동안 부패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하고 발효식품의 조직감 향상과 바람직한 풍미를 부여한다[20]. 게다가 체내 정상 장내 균총의 유지와 단백질과 비타민을 합성하여 공급하고, 암세포의 증식을 억제하며,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를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면역기능을 강화하는 등 숙주의 건강을 이롭게 하는 probiotics 균주로 주목받고 있으며 건강기능식품이나 의약품 개발에 이용되고 있다[1].
Synbiotics는 어떤 식품으로 제조되고 있는가? Crittendien 등[10]에 따르면 Bifidobacterium lactis는 prebiotic 저항성 전분에 의해 증식속도가 증가하였고, 위장과 소장을 안전하게 통과하여 생존 가능하며, 대장 내에서도 butyric acid 생성량을 증가시켜 요구르트 제조용으로 적합하다고 보고한 바 있다. Synbiotics는 발효유, 치즈, 건강 음료, 소스, 쿠키, 빵, 이유식, 아이스크림 및 건강기능식품등 다양한 형태로 제조되고 있으며, synbiotics 시장은 계속해서 성장하는 추세이다[23].
유산균은 체내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가? 유산균은 유산이나 초산과 같은 유기산이나 알코올, 균체 외 다당류 및 여러 효소들을 생산함으로써 발효되는 동안 부패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하고 발효식품의 조직감 향상과 바람직한 풍미를 부여한다[20]. 게다가 체내 정상 장내 균총의 유지와 단백질과 비타민을 합성하여 공급하고, 암세포의 증식을 억제하며,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를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면역기능을 강화하는 등 숙주의 건강을 이롭게 하는 probiotics 균주로 주목받고 있으며 건강기능식품이나 의약품 개발에 이용되고 있다[1]. Lactobacillus acidophilus와 Bifidobacterium bifidum 등의 probiotics는 박테리오신, 과산화수소 및 유기산 등의 항균성 물질을 생산하고 영양분 탈취와 상피세포 부착에 대한 경쟁적 길항작용 및 장관 내 산화환원전위 변화 등에 의해 유해세균에 대한 항균작용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Adolfsson, O., S. N. Meydani, and R. M. Russell. 2004. Yoghurt and gut function. Am. J. Clin. Nurt. 80: 245-256. 

  2. Akalin, A. S., S. Fenderya, and N. Akbulut. 2004. Viability and activity of bifidobacteria in yoghurt containing fructooligosaccharides during refrigerated storage. Int. J. Food Sci. 39: 613-621. 

  3. Bang, B. H., J. S. Seo, E. J. Jeong, and K. P. Kim. 2004. Studies on the manufacture of peanut yoghurt. Kor. J. Food Nutr. 17: 53-59. 

  4. Bielecka, M., E. Biedrzycka, and A. Majkowska. 2002. Selection of probiotics and prebiotics for synbiotics and confirmation of their in vivo effectiveness. Food Res. Int. 35: 125-131. 

  5. Bouzar, F., J. Cerning, and M. Desmazeaud. 1997. Exopolysaccharide production and texture-promoting ability of mixedstrain starter cultures in yoghurt production. J. Dairy Sci. 80: 2310-2317. 

  6. Buriti, F. C. A., I. A. Castro, and S. M. I. Saad. 2010. Viability of Lactobacillus acidophilus in synbiotic guava mousses and its survival under in vitro simulated gastrointestinal conditions. Int. J. Food Microbiol. 137: 121-129. 

  7. Chameber, J. V. 1979. Culture and processing techniques important to the manufacture of good quality yoghurt. Cult. Dairy Prod. J. 14: 28-34. 

  8. Church, F. C., H. E. Swaisgood, D. H. Porter, and G. L. Catignani. 1983. Spectrophotometric assay using o-phthaldialdehyde for determination of proteolysis in milk and isolated milk proteins. J. Dairy Sci. 66: 1219-1227. 

  9. Christensen, J. E., E. G. Dudley, J. A. Pederson, and J. L. Steele. 1999. Peptidases and amino acid catabolism in lactic acid bacteria. Anton. Leeuw. 75: 217-246. 

  10. Crittenden, R. G., L. F. Morris, M. L. Harvey, L. T. Tran, H. L. Mitchell, and M. J. Playne. 2001. Selection of a Bifidobaterium strain to complement resistant starch in a synbiotic yoghurt. J. Appl. Microbiol. 90: 268-278. 

  11. Davidson, M. H., K. C. Maki, and C. Synecki. 1998. Evaluation of the influence of dietary inulin on serum lipids in adults with hypercholesterolemia. Nutr. 18: 503-517. 

  12. Donkor, O. N., A. Henriksson, T. Vasiljevic, and N. P. Shah. 2006. Effect of acidification on the activity of probiotics in yoghurt during cold storage. Int. Dairy J. 16: 1181-1189. 

  13. Donkor, O. N., S. L. I. Nilmini, P. Stolic, T. Vasiljevic, and N. P. Shah. 2007. Survival and activity of selected probiotic organisms in set-type yoghurt during cold storage. Int. Dairy J. 17: 657-665. 

  14. Ejtahed, H. S., J. Mohtadi-Nia, A. Homayouni-Rad, M. Niafar, M. Asghari-Jafarabadi, and V. Mofid. 2012. Probiotic yoghurt improves antioxidant status in type 2 diabetic patients. Nutr. 28: 539-543. 

  15. Fernandez-Garcia, E., J. U. McGregor, and S. Traylor. 1998. The addition of oat fiber and natural alternative sweeteners in the manufacture of plain yoghurt. J. Dairy Sci. 81: 655-663. 

  16. Fooks, L. J. and G. R. Gibson. 2003. Mixed culture fermentation studies on the effects of synbiotics on the human intestinal pathogens Campylobacter jejuni and Escherichia coli. Anaerobe 9: 231-242. 

  17. Ishibashi, N. and S. Shimamura. 1993. Bifidobacteria: research and development in Japan. Food Technol. 47: 129-134. 

  18. Kristo, E., C. G. Biliaderis, and N. Tzanetakis. 2003. Modelling of rheological, microbiological and acidification properties of a fermented milk product containing a probiotic strain of Lactobacillus paracasei. Int. Dairy. J. 13: 517-528. 

  19. Lee, S. H. and K. M. Kang. 2010. Effect of chitooligosaccharides on the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and shelf life of yoghurt. J. Chitin. Chitosan 15: 210-215. 

  20. Leroy, F. and L. D. Vuyst. 2004. Lactic acid bacteria as functional starter cultures for the food fermentation industry. Trends Food Sci. Tech. 15: 67-78. 

  21. Lim, S. M. 2010. Resistance to reactive oxygen specie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some strains of lactic acid bacteria from the mustard leaf kimchi. Kor. J. Microbiol. 46: 375-382. 

  22. Lim, S. M., K. S. Jeong, N. G. Lee, S. M. Park, and D. H. Ahn. 2011. Synergy effects by combination with lactic acid bacteria and fructooligosaccharides on the cell growth and antimicrobial activity. Food Sci. Biotechnol. 20: 1389-1397. 

  23. Lourens-Hattingh, A. and B. C. Viljoen. 2001. Yogurt as probiotic carrier food. Int. Dairy J. 11: 1-17. 

  24. Manning, T. S. and G. R. Gibson. 2004. Prebiotics. Best Pract. Res. Cl. Ga. 18: 287-298. 

  25. Modler, H. W., R. C. McKellar, and M. Yaguchi. 1990. Bifidobacteria and bifidogenic factors. Can. Food Sci. Tech. J. 23: 29-41. 

  26. Oliveira, R. P. D. S., A. C. R. Florence, P. Perego, M. N. D. Oliveira, and A. Converti. 2011. Use of lactulose as prebiotic and its influence on the growth, acidification profile and viable counts of different probiotics in fermented skim milk. Int. J. Food Microbiol. 145: 22-27. 

  27. Ong, L., A. Henriksson, and N. P. Shah. 2007. Proteolytic pattern and organic acid profiles of probiotic Cheddar cheese as influenced by probiotic strains of Lactobacillus acidophilus, Lb. paracasei, Lb. casei or Bifidobacterium sp. Int. Dairy J. 17: 67-78. 

  28. Rodrigues, D., T. A. P. Rocha-Santos, C. I. Pereira, A. M. Gomes, F. X. Malcata, and A. C. Freitas. 2011. The potential effect of FOS and inulin upon probiotic bacterium performance in curdled milk matrices. LWT- Food Sci. Tech. 44: 100-108. 

  29. Saarela, M., K. Hallamaa, T. Mattila-Sandholm, and J. Matto. 2003. The effect of lactose derivatives lactulose, lactitol and lactobionic acid on the functional and technological properties of potentially probiotic Lactobacillus strains. Int. Dairy J. 13: 291-302. 

  30. Saulnier, D. M. A., J. K. Spinler, G. R. Gibson, and J. Versalovic. 2009. Mechanisms of probiosis and prebiosis: considerations for enhanced functional foods. Curr. Opin. Biotechnol. 20: 135-141. 

  31. Savaiano, D. A., D. A. G. Abdelhak AbouElanouar, D. E. Smith, and M. D. Levitt. 1984. Lactose malabsorption from yoghurt, pasteurized yoghurt, sweet acidophilus milk, and cultured milk in lactase-deficient individuals. Am. J. Clin. Nutr. 40: 1219-1223. 

  32. Shah, N. P. and P. Jelen. 1990. Survival of lactic acid bacteria and their lactases under acidic conditions. J. Food Sci. 55: 506-509. 

  33. Van den Ende, W., D. Peshev, and L. De Gara. 2011. Disease prevention by natural antioxidants and prebiotics acting as ROS scavengers in the gastrointestinal tract. Trends Food Sci. Tech. 22: 689-697. 

  34. Vasilijevic, T. and P. Jelen. 2001. Production of ${\beta}$ -galactosidase for lactose hydrolysis in milk and dairy products using thermophilic lactic acid bacteria. Innov. Food Sci. Emerg. Tech. 2: 75-85. 

  35. Ziemer, C. J. and G. R. Gibson. 1998. An overview of probiotics, prebiotics and synbiotics in the functional food concept: perspectives and future strategies. Int. Dairy J. 8: 473-47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