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화장품에 응용 가능한 천연 소재를 찾고자, 사자발쑥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타이로시네이즈 저해 효과 및 피부 상재균에 대한 항균작용을 측정하였다. 사자발쑥 추출물의 수득율의 경우 50% 에탄올 추출물은 23.92%,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은 2.66%, 아글리콘 분획은 1.60%으로 나타났다. 사자발쑥 추출물의 free radical 소거능력($FSC_{50}$)은 에틸아세테이트 분획($12.27{\mu}g/m$)에서 비교적 큰 소거활성을 나타내었고, 활성산소 소거활성($OSC_{50}$)은 에틸아세테이트 분획($0.33{\mu}g/mL$)에서 비교물질로 사용한 L-아스코르빅산($1.50{\mu}g/mL$)의 총항산화능보다 약 5배 더 높은 활성을 보였으며, 나머지 추출물 역시 비교물질과 비슷한 활성을 보였다. 또한, $^1O_2$으로 유도된 적혈구의 광용혈 실험에서 추출물의 ${\mu}g/mL$ 농도 범위($5{\sim}50{\mu}g/mL$)에서 농도-의존적으로 세포 보호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25{\mu}g/mL$의 농도에서 아글리콘 분획은 비교물질인 (+)-${\alpha}$-토코페롤과 비교했을 때, 약 3 배정도 높은 세포보호활성을 나타내었다. 사자발쑥 추출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의 타이로시네이즈 저해 활성($IC_{50}$)은 $29.20{\mu}g/mL$로 미백제로 알려진 알부틴($226.88{\mu}g/mL$)보다도 약 7배 정도 더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사자발쑥 추출물의 항균활성 측정결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의 피부 상재균에 대한 MIC는 Gram (+) 세균에서 높은 활성을 보였으며, 화장품에 사용되고 있는 방부제인 methyl paraben 보다 높은 항균활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천연 방부제, 항균제로서 역할이 충분히 기대된다. 항산화 활성과 항균활성 및 미백효과가 뛰어난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에서 TLCHPLC 크로마토그램을 통한 다양한 성분의 peak 중에서 2개의 peak (TLC, AP 1-1 및 AP 1-3)를 확인하였으며, LC/ESI-MS/MS의 negative ion 모드에서 HPLC peak 1 (AP 1-3)은 분자 이온 $[M-H]^-$이 m/z 329.1, HPLC peak 2 (AP 1-1)는 m/z 343.3로 나타났다. 따라서 AP 1-1은 eupatilin으로, AP 1-3은 jaceosidin 임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들은 사자발쑥 추출물의 항산화 작용과 더불어 타이로시네이즈 저해활성으로부터 미백효능 그리고 피부 상재군에 대한 항균활성 등 기능성원료로서 응용 가능성이 큼을 시사된다. 추가적으로 화장품에 이용하기 위해서는 활성 성분을 이용한 피부 흡수 증진 시스템 개발과 제형 연구가 뒷받침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e present study, the antioxidative and antibacterial activities of Artemisia princeps Pampanini (A. princeps Pamp.) extract were investigated. The ethyl acetate fraction of A. princeps Pamp. showed the most prominent free radical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scavenging activity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자발쑥 추출물을 대상으로 1O2으로 유도된 세포손상에 대한 보호활성과 free radical 소거활성, Fe3+-EDTA/H2O2계에서 생성된 활성산소에 대한 총항산화능, 타이로시네이즈 활성 저해효과와 피부 상재균의 항균 활성을 측정함으로써 사자발쑥 추출물에 대한 항산화, 항노화 및 항균 등의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서의 활성과 효능을 확인하고, ROS에 의한 피부 노화를 방지하는데 효과가 있는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서의 개발 가능성이 있는지 검토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화장품에 응용 가능한 천연 소재를 찾고자, 사자발쑥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타이로시네이즈 저해 효과 및 피부 상재균에 대한 항균작용을 측정하였다. 사자발쑥 추출물의 수득율의 경우 50% 에탄올 추출물은 23.
  • 사람 적혈구를 대상으로 활성산소(특히 1O2)에 의한 세포 손상(또는 파괴)을 모델로 한 적혈구 광용혈 실험을 통해서 세포 보호 효과를 측정하는 실험이다. 빛과 광증감제인 rosebengal에 의해 유도된 적혈구의 용혈 정도를 측정하여 추출물이 자외선에 의한 피부 보호 물질로서 적합한 지에 대한 가능성을 판단할 수 있다고 사료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피부가 항상 노출되고 있는 산화적 스트레스의 종류는? 피부는 항상 산소와 접촉하고 있으며 산화적 스트레스(자외선, 공해, 미생물 등)에 노출되어 있다. 이들 산화적 스트레스는 생체 내 산화적 손상 및 항상성 붕괴를 통하여 피부노화를 가속화시킬 수 있다.
산화적 스트레스가 피부에 주는 피해는? 피부는 항상 산소와 접촉하고 있으며 산화적 스트레스(자외선, 공해, 미생물 등)에 노출되어 있다. 이들 산화적 스트레스는 생체 내 산화적 손상 및 항상성 붕괴를 통하여 피부노화를 가속화시킬 수 있다. 피부노화의 원인은 크게 두 가지로 구분된다.
피부노화의 원인을 크게 두가지로 나눈다면? 피부노화의 원인은 크게 두 가지로 구분된다. 특별한 환경적 요인 없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피부구조의 변화와 생리적 기능이 쇠퇴하여 나타나는 내인성 노화와 공해, 자외선과 같은 외부 환경 요인에 의해서 나타나는 외인성 노화로 구분된다[8, 14, 25]. 외인성 노화의 대표적인 예로는 광노화를 들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Allen, R. G. and M. Tresini. 2000. Oxidative stress and gene regulation. Free Radic. Biol. Med. 28: 463-499. 

  2. Bang, M. H., J. G. Cho, M. C. Song, D. Y. Lee, M. W. Han, H. G. Chung, T. S. Jeong, K. T. Lee, M. S. Choi, and N. I. Baek. 2008. Development of biologically active compounds from edible plant sources XXII. Triterpenoids from the aerial parts of Sajabalssuk. J. Korean Soc. Appl. Biol. Chem. 51: 223-227. 

  3. Bang, M. H., D. H. Kim, J. S. Yoo, D. Y. Lee, M. C. Song, H. J. Yang, T. S. Jeong, K. T. Lee, M. S. Choi, H. G. Chung, and N. I. Baek. 2005. Development of biologically active compounds from edible plant sources XIV.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flavonoids from the aerial parts of sajabalssuk (Artemisia herba). J. Kor. Soc. Appl. Biol. Chem. 48: 418-420. 

  4. Castillo, D. N., B. Harcourt, C. Hatcher, M. Jackson, L. Katz, R. Mair, L. Mayer, R. Novak, L. Rahalison, S. Schmink, M. J. Theodore, J. Thomas, J. Vuong, and X. Wang. 2011. Laboratory Methods for the Diagnosis of Meningitis Caused by Neisseria meningitidis, Streptococcus pneumoniae, and Haemophilus influenzae. Second edition. WHO/IVB. 157. 

  5. Chang, S. H., E. J. Jung, Y. H. Park, D. G. Lim, N. Y. Ko, W. S. Choi, E. Her, S. H. Kim, K. D. Choi, J. H. Bae, S. H. Kim, C. D. Kang, D. J. Han, and S. C. Kim. 2009. Anti-inflammatory effects of Artemisia princeps in antigen-stimulated T cells and regulatory T cells. J. Pharm. Pharmacol. 61: 1043-1050. 

  6. Chen, Q., A. Fischer, J. D. Reagan, L. J. Yan, and B. N. Ames. 1995. Oxidative DNA damage and senescence of human diploid fibroblast cells. Proc. Natl. Sci. USA 92: 4337-4341. 

  7. Choi, E. J., H. M. Oh, B. R. Na, T. P. Ramesh, H. J. Lee, C. S. Choi, S. C. Choi, T. Y. Oh, S. J. Choi, J. R. Chae, S. W. Kim, and C. D. Jun. 2008. Eupatilin protects gastric epithelial cells from oxidative damage and down-regulates genes responsible for the cellular oxidative stress. Pharmaceut. Res. 25: 1355-1364. 

  8. EI-Domyati, M., S. Attia, F. Saleh, D. Brown, D. E. irk, F. Gasparro, H. Ahmad, and J. Uitto. 2002. Intrinsic aging vs. photoaging : comparative histopathological, immunohistochemical and ultrastructural study of skin. Exp. Dermatol. 11: 398-405. 

  9. Gordon, M. H. 1996. Dietary antioxidants in disease prevention. Nat. Prod. Rep. 13: 265-273. 

  10. Ham, S. S., D. H. Oh, J. K. Hong, and J. H. Lee. 1997. Antimutagenic effects of juices from edible Korean wild herbs. J. Food Sci. Nutr. 2: 155-161. 

  11. Jun, S., K. Goto, F. Nanjo, S. Kawai, and K. Murata. 2000. Antifungal activity of plant extract against Arthrinium sacchari and Chaetomium funicola. J. Biosci. Bioeng. 90: 442-446. 

  12. Junga, U. J., N. I. Baek, H. G. Chung, M. H. Bang, J. S. Yoo, T. S. Jeong, K.T. Lee, Y. J. Kang, M. K. Lee, H. J. Kim, J. Y. Yeo, and M. S. Choi. 2007. The anti-diabeticeffects of ethanol extract from two variants of Artemisia princeps Pampanini in C57BL/KsJ-db/db mice. Food Chem. Toxicol. 45: 2022-2029. 

  13. Kim, M. J., J. M. Han, Y. Y. Jin, N. I. Baek, M. H. Bang, H. G. Chung, M. S. Choi, K. T. Lee, D. E. Sok, and T. S. Jeong. 2008. In vitro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jaceosidin from Artemisia princeps Pampanini cv. Sajabal. Arch. Pharm. Res. 31: 429-437. 

  14. Kim, M. J., H. G. Yang, and S. N. Park. 2011. Antioxidative activities and antiaging effects of Geum aleppicum Jacq. extracts. J. Soc. Cosmet. Scientists Korea. 37: 191-198. 

  15. Lee, K. S., J. C. Lee, K. H. Han, and M. J. Oh. 1999. Antimicrobial acivities of extract of Perilla frutescens Briton var. acuta Kudo on food spoilage or foodborne disease microorganism. Kor. Soc. Food Preserv. 6: 239-244. 

  16. Lee, I. H., M. J. Kim, J. H. Choi, and S. H. choi. 2010. Antifungal effect of bilobalide and ginkgolide extracted from leaves of Ginkgo biloba against Pityrosporum ovale. KSBB J. 25: 173-178. 

  17. Lee, E. J., S. Y. Bae, K. W. Nam, and Y. H. Lee. 2010. Antibacterial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medicinal plants against acne-inducing bacteria. J. Soc. Cosmet. Scientists Korea. 36: 57-63. 

  18. Ma, W., M. Wlaschek, P. Brenneisen, L. A. Schneider, C. Hommel, C. Hellweg, H. Sauer, M. Wartenberg, G. Herrmann, C. Meewes, P. Boukamp, and K. Scharffetter-Kochanek. 2002. Human dermal fibroblasts escape from the long-term phenocopy of senescence induced by psoralen photoactivation, Exp. Cell Res. 274: 299-309. 

  19. Marples, R. R. 1974. The microflora of the face and acne lesions. J. Invest. Dermatol. 62: 326-331. 

  20. Park, S. N. 1999. Skin aging and antioxidant. J. Soc. Cosmet. Scientists Korea. 23: 75-132. 

  21. Park, S. N. 2003. Antioxidative properties of baicalein, component from Scutellaria baicalensis Georgi and its application to cosmetics (I). J. Korean Ind. Eng. Chem. 14: 657-665. 

  22. Park, S. N. 1999. Effects of natural products on skin cells-action and suppress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J. Soc. Cosmet. Scientists Korea. 25: 77-7. 

  23. Ryu, S. N., S. S. Kang, J. S. Kim, and B. I. Ku. 2004. Quantitative analysis of eupatilin and jaceosidin in Artemisia herba. Korean. J. Crop. Sci. 49: 452-456. 

  24. Seo, M. S. and K. Y. Kim. 2010. Effects of lithospermum erythrorhizon extracts on P. acnes induced cytokin gene expression in human monocytes. Kor. J. Oriental Medical Ophthalmology & Otolaryngology & Dermatology Society 23: 57-68. 

  25. Wlaschek, M., L. Tantcheva-poor, L. Naderi, W. Ma, L. A. Schneider, Z. Razi-Wolf, J. Schuller, and K. Scharffetter-Kochanek. 2001. Solar UV irradiation and dermal photoaging. J. Photochem. Photobiol. B. 63: 41-51. 

  26. Yoo, J. S., E. M. Ahn, M. H. Bang, M. C. Song, H. J. Yang, D. H. Kim, D. Y. Lee, H. G. Chung, T. S. Jeong, K. T. Lee, M. S. Choi, and N. I. Baek. 2006. Steroids from the Aerial parts of Artemisia princeps Pampanini. Kor. J. Medicinal. Crop. Sci. 14: 273-277. 

  27. Yoshitama, K., M. Hisada, and N. Ishikura. 1984. Distribution pattern of anthocyanins in the Polygonaceae. Bot. Mag. Tokyo 97: 31-3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