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3개월 미만 영아의 발열에 대한 원인 및 임상양상에 대한 단일기관 연구; 2008-2010
Etiology and Clinical Manifestations of Fever in Infants Younger than 3 Months Old: A Single Institution Study, 2008-2010 원문보기

소아감염 = Korean journal of pediatric infectious diseases, v.19 no.3, 2012년, pp.121 - 130  

석준영 (서울대학교병원 소아청소년과) ,  강지은 (서울대학교병원 소아청소년과) ,  조은영 (서울대학교병원 소아청소년과) ,  최은화 (서울대학교병원 소아청소년과) ,  이환종 (서울대학교병원 소아청소년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 적 : 본 연구는 발열로 내원한 3개월 미만 영아에서, 그 임상 양상과 원인균을 확인함으로써 심각한 세균감염의 고위험군을 구분하는 데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방 법 : 2008년 1월부터 2010년 12월까지 발열을 주소로 서울대학교병원 응급실에 내원하거나 입원치료 받았던 3개월 미만 영아 313명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대상 환자들의 임상 양상, 검사 결과 및 원인 균주 등의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심각한 세균 감염의 위험 요인을 평가하였다. 그람 염색과 세균 배양, 바이러스 배양, 항원 검사, 또는 중합효소연쇄반응 검사를 시행하였을 때 임상적으로 의미 있는 검체에서 양성으로 확인된 경우 원인 균주로 채택하였다. 결 과 : 전체 313례 중 127례(40.6%)에서 미생물학적 원인이 확인되었으며, 세균 감염이 39례, 바이러스 감염이 88례를 차지하였다. 세균 감염의 원인 균주로는 Escherichia coli (66.7%)와 Streptococcus agalactiae (12.8%)가 가장 많았고, 바이러스 감염은 엔테로바이러스(33.7%), 호흡기 세포융합 바이러스(19.8%), 라이노바이러스(18.8%) 순으로 흔하게 나타났다. 심각한 세균감염군(39례)은 심각한 세균 감염이 아닌 군(274례)에 비하여 백혈구 수($14,473{\pm}6,824/mm^3$ vs. $11,254{\pm}5,775/mm^3$, P=0.002)와 C-반응단백($6.32{\pm}8.51mg/L$ vs. $1.28{\pm}2.35mg/L$, P<0.001)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심각한 세균 감염의 위험 인자로는 남자(OR 3.7, 95% CI 1.5-8.9), 신경계 증상이 있는 경우(OR 4.8, 95% CI 1.4-16.8), 가족 중 호흡기 증상이 없는 경우(OR 3.6, 95% CI 1.2-11.3) 등이 있었다. 결 론 : 본 연구를 통해 발열로 내원한 3개월 미만 영아에서의 흔한 원인 균주 및 심각한 세균 감염의 위험 인자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것은 향후 발열로 내원한 영아에 대한 치료 방침의 결정에 기초적인 자료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clinical features and causative organisms in febrile infants younger than three months, to help identification of high risk patients for serious bacterial infection (SBI). Methods : A total of 313 febrile infants younger than three months, who h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목적 : 본 연구는 발열로 내원한 3개월 미만 영아에서, 그 임상 양상과 원인균을 확인함으로써 심각한 세균 감염의 고위험군을 구분하는 데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발열을 주소로 내원한 3개월 미만 영아에서의 임상 진단 및 원인 미생물의 변화를 확인하고, 심각한 세균 감염(Serious bacterial infection, SBI)과 심각한 세균 감염이 아닌 경우(non-SBI)의 임상 양상을 비교하여 심각한 세균 감염의 위험 요인을 파악하고 검사 및 치료 방침 결정에 도움을 주고자 시행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3개월 미만의 영아가 응급실로 내원하는 가장 흔한 이유는? 발열은 3개월 미만의 영아가 응급실로 내원하게 되는 가장 흔한 이유이다1) . 3개월 미만의 영아는 발열 외에 특별한 증상을 동반하지 않는 경우가 많아 임상적으로 발열의 원인을 추정하기 힘들다.
3개월 미만의 영아가 발열로 내원한 경우 혈액, 뇌척수액, 소변 배양 검사를 시행한 후 경험적 정맥 내 항생제 치료를 시작하는 이유는? 3개월 미만의 영아는 발열 외에 특별한 증상을 동반하지 않는 경우가 많아 임상적으로 발열의 원인을 추정하기 힘들다. 발열의 원인은 대부분 바이러스 감염이지만, 10-15%에서는 심각한 세균 감염이 원인이 된다2) . 따라서, 3개월 미만의 영아가 발열로 내원한 경우에는 혈액, 뇌척수액, 소변 배양 검사를 시행한 후에 경험적 정맥 내 항생제 치료를 시작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3개월 미만의 영아에게서 발열의 원인을 추정하기 힘든 이유는? 발열은 3개월 미만의 영아가 응급실로 내원하게 되는 가장 흔한 이유이다1) . 3개월 미만의 영아는 발열 외에 특별한 증상을 동반하지 않는 경우가 많아 임상적으로 발열의 원인을 추정하기 힘들다. 발열의 원인은 대부분 바이러스 감염이지만, 10-15%에서는 심각한 세균 감염이 원인이 된다2) .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Nelson DS, Walsh K, Fleisher GR. Spectrum and frequency of pediatric illness presenting to a general community hospital emergency department. Pediatrics 1992; 90:5-10. 

  2. Baskin MN. The prevalence of serious bacterial infections by age in febrile infants during the first 3 months of life. Pediatr Ann 1993;22:462-6. 

  3. DeAngelis C, Joffe A, Wilson M, Willis E. Iatrogenic risks and financial costs of hospitalizing febrile infants. Am J Dis Child 1983;137:1146-9. 

  4. Dagan R, Powell KR, Hall CB, Menegus MA. Identification of infants unlikely to have serious bacterial infection although hospitalized for suspected sepsis. J Pediatr 1985;107:855-60. 

  5. Dagan R, Sofer S, Phillip M, Shachak E. Ambulatory care of febrile infants younger than 2 months of age classified as being at low risk for having serious bacterial infections. J Pediatr 1988;112:355-60. 

  6. Baker MD, Bell LM, Avner JR. Outpatient management without antibiotics of fever in selected infants. N Eng J Med 1993;329:1437-41. 

  7. Lee JH, Cho HK, Kim KH, Kim CH, Kim DS, Kim KN, et al. Etiology of invasive bacterial infections in immunocompetent children in Korea (1996-2005): a retrospective multicenter study. J Korean Med Sci 2011;26:174-83. 

  8. Levine DA, Platt SL, Dayan PS, Macias CG, Zorc JJ, Krief W, et al. Risk of serious bacterial infection in young febrile infants with respiratory syncytial virus infections. Pediatrics 2004;113:1728-34. 

  9. Gomez B, Mintegi S, Benito J, Egireun A, Garcia D, Astobiza E. Blood culture and bacteremia predictors in infants less than three months of age with fever without source. Pediatr Infect Dis J 2010;29:43-7. 

  10. Bressan S, Andreola B, Cattelan F, Zangardi T, Perilongo G, Da Dalt L. Predicting severe bacterial infections in well-appearing febrile neonates: laboratory markers accuracy and duration of fever. Pediatr Infect Dis J 2010; 29:227-32. 

  11. The WHO Young Infants Study Group. Bacterial etiology of serious infections in young infants in developing countries: results of a multicenter study. Pediatr Infect Dis J 1999;18:S17-22. 

  12. Dagan R, Hall CB, Powell KR, Menegus MA. Epidemiology and laboratory diagnosis of infection with viral and bacterial pathogens in infants hospitalized for suspected sepsis. J Pediatr 1989;115:351-6. 

  13. Shin SH, Choi CW, Lee JA, Kim EK, Choi EH, Kim HS, et al. Risk factors for serious bacterial infection in febrile young infants in a community referral hospital. J Korean Med Sci 2009;24:844-8. 

  14. Nah SY, Hong JY, Choi EH, Yoon BY, Lee HJ. Etiology and clinical features of acute viral lower respiratory tract infection in apparently healthy children. Korean J Pediatr 1996;39:1690-9. 

  15. Kwon JH, Chung YH, Lee NY, Chung EH, Ahn KM, Lee SI. An epidemiological study of acute viral lower respiratory tract infections in hospitalized children from 2002 to 2006 in Seoul, Korea. Pediatr Allergy Respir Dis 2008;18:26-36. 

  16. Byington CL, Enriquez FR, Hoff C, Tuohy R, Taggart EW, Hillyard DR, et al. Serious bacterial infections in febrile infants 1 to 90 days old with and without viral infections. Pediatrics 2004;113:1662-6. 

  17. Titus MO, Wright SW. Prevalence of serious bacterial infections in febrile infants with respiratory syncytial virus infection. Pediatrics 2003;112:282-4. 

  18. Yarden-Bilavsky H, Ashkenazi-Hoffnung L, Livni G, Amir J, Bilavsky E. Month-by-month age analysis of the risk for serious bacterial infections in febrile infants with bronchiolitis. Clin Pediatr 2011;50:1052-6. 

  19. Huppler AR, Eickhoff JC, Wald ER. Performance of low-risk criteria in the evaluation of young infants with fever: review of the literature. Pediatrics 2010;125:228-33. 

  20. Baskin MN, O'Rourke EJ, Fleisher GR. Outpatient treatment of febrile infants 28 to 89 days of age with intramuscular administration of ceftriaxone. J Pediatr 1992; 120:22-7. 

  21. Baker MD, Bell LM, Avner JR. The efficacy of routine outpatient management without antibiotics of fever in selected infants. Pediatrics 1999;103:627-31. 

  22. Bachur RG, Harper MB. Predictive model for serious bacterial infections among infants younger than 3 months of age. Pediatrics 2001;108:311-6. 

  23. Kourtis A, Sullivan DT, Sathian U. Practice guidelines for the management of febrile infants less than 90 days of age at the ambulatory network of a large pediatric health care system in the United States: summary of new evidence. Clin Pediatr 2004;43:11-6. 

  24. Baraff LJ. Management of infants and young children with fever without source. Pediatr Ann 2008;37:673-9. 

  25. Putto A, Ruuskanen O, Meurman O, Ekblad H, Korvenranta H, Mertsola J, et al. C reactive protein in the evaluation of febrile illness. Arch Dis Child 1986;61:24-9. 

  26. Pulliam PN, Attia MW, Cronan KM. C-reactive protein in febrile children 1 to 36 months of age with clinically undetectable serious bacterial infection. Pediatrics 2001; 108:1275-9. 

  27. Baraff LJ, Bass JW, Fleisher GR, Klein JO, McCracken GH, Powell KR, et al. Practice guideline for the manage ment of infants and children 0 to 36 months of age with fever without source. Ann Emerg Med 1993;22:1198-210. 

  28. Baker MD. Evaluation and management of infants with fever. Pediatr Clin North Am 1999;46:1061-72. 

  29. Elder JS. Urinary tract infections. In: Kliegman RM, Stanton BF, St. Geme JW, Schor NF, Behrman RE, editors. Nelson textbook of pediatrics. 19th ed. Philadelphia, PA: Saunders Elsevier, 2011:1829. 

  30. Libster R, Hortoneda JB, Laham FR, Casellas JM, Israele V, Polack NR, et al. Breastfeeding prevents severe disease in full term female infants with acute respiratory infection. Pediatr Infect Dis J 2009;28:131-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