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장용성 연질 캡슐 오메가3 지방산의 흡수율 평가

Absorption Evaluation of Enteric Coated Capsules Containing Omega 3 Fatty Acids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v.25 no.4, 2012년, pp.1027 - 1032  

박으뜸 (고려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박유헌 (고려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박성선 (종근당건강(주)) ,  서형주 (고려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혈액 내에서의 오메가-3 지방산의 함량 변화를 측정하여 연질 캡슐과 장용성 캡슐의 차이를 검토하였다. Fish oil 중의 EPA와 DHA의 총합의 함량이 62.87 g/100 g으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연질 캡슐의 경우, 제 1시험액(위액)에서는 내부의 지방이 70% 용출된 반면, 장용성의 경우 10% 정도만이 용출되었다. 제 2액(소장액)에서도 6시간까지 50% 정도 용출되어 90분에 50%가 용출된 일반 연질 캡슐과 대조적이었다. 기존에 사용하였던 연질 캡슐의 EPA 및 DHA는 흡수 초기에 장용성 캡슐에 비하여 다소 높은 비율을 보인 반면, 8시간 이후 장용성 캡슐 섭취한 경우 EPA와 DHA의 혈액내 함량이 비율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경구 투여 48시간 후 지방산 조성은 장용성 캡슐에서는 mono-, poly-unsaturated fatty acid 혈액 내의 함량이 다소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 saturated fatty acid 함량 역시 다소 높은 경향을 보였다. EPA와 DHA의 함량은 혈액 내에서 각 지방 분획에서의 함량 차이를 정확하게 측정하기 힘들었다. 이상의 결과에 의하면 장용성 캡슐은 위장관을 통과하여 장에서 용출되는 특성 때문에 지속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investigate the changes of fatty acids in blood for an evaluation of the effects of soft and enteric coated capsules containing omega 3 fatty acids. Fish oil, which contained 62.87 g/100 g of sum of EPA (eicosapentaenoic acid) and DHA (docosahexaenoic acid), was used as nutracueticals for omega 3...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연질 캡슐과 장용성 캡슐의 체내 흡수율뿐만 아니라, 오메가-3 지방산의 지속 여부를 평가하고자 토끼를 이용하여 단회 투여 후 혈액 내에서의 오메가-3 지방산의 함량 변화를 측정하여 연질 캡슐과 장용성 캡슐의 차이를 검토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혈액 내에서의 오메가-3 지방산의 함량 변화를 측정하여 연질 캡슐과 장용성 캡슐의 차이를 검토하였다. Fish oil 중의 EPA와 DHA의 총합의 함량이 62.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기존의 연질 캡슐제형의 오메가-3 제품들이 갖는 한계점은? 기존의 연질 캡슐제형의 오메가-3 제품들은 몸 안에서 오메가-3 지방산의 흡수, 배설이 빨라 섭취된 것 중 일부만 혈중으로 흡수되는 한계가 있었다. 하지만 오메가-3 지방산 함유 장용성 연질 캡슐은 이런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 최신 제제기술을 적용하여 만든 제품이다.
장용성 제제의 주된 목적은? 오늘날 약물의 연구는 과대한 투자비와 불확실한 결과 때문에 신약 개발보다는 기존에 존재하는 약물을 보다 편리하고 간편한 방법으로 투여하면서도 약물에 대한 효과도 기존 투여방법을 실시하였을 경우와 유사한 효과를 보이거나, 더 우수한 효과를 보이도록 약물의 제제 방법을 개선하는 쪽으로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Booth & McDonald 1988). 여러 가지 제제 제조방법 중에 장용성 제제는 약물이 위내에서는 방출되지 않고 장내에서 방출되도록 설계된 것으로 약물의 홉수를 의도적으로 늦추기 위해서도 사용되지만, 주된 목적은 위내에서의 약물의 분해방지와 위장장애의 회피에 있다(Kim 등, 1994). 장용성 제제는 보통 캡슐, 정제 또는 과립 등에 장용성 피막을 coating하여 만든다(Mose 1993).
오메가-3 지방산 함유 장용성 연질 캡슐은 기존 제품과 달리 어떤 장점을 갖는가? 하지만 오메가-3 지방산 함유 장용성 연질 캡슐은 이런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 최신 제제기술을 적용하여 만든 제품이다. 1일 1회 섭취로 최대 12시간까지 적절한 양을 유지하여 여러 번 복용하는 것과 동등한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위장장애도 최소화할 수 있다(Ko 등 20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Belluzzi A, Brignola C, Campieri M, Camporesi EP, Gionchetti P, Rizzello F, Belloi C, De Simone G, Boschi S, Miglioli M. 1994. Effect of new fish oil derivative on fatty acid phospholipid-membrane pattern in a group of Crohn's disease patients. Digest Dis Sci 39:2589-2594 

  2. Belluzzi A, Brignola C, Campieri M, Pera A, Boschi S, Miglioli M. 1996. Effect of an enteric-coated fish-oil preparation on relapses in Crohn's disease. New Engl J Med 334:1557-1560 

  3. Booth NH, McDonald LE. 1988. Veterinary Pharmacology and Therapeutics. 6th. ed. Iowa State Univ. Press 

  4. Fetterman F, Hussain MM. 2009. Therapeutic potential of n-3 polyunsaturated fatty acids in disease. Am J Health Syst Ph 66:1169-1179 

  5. Folch J, Lees M, Sloane-Stanley G. 1957. A simple method for the isolation and purification of total lipids from animal tissues. J Biol Chem 226:497-509 

  6. Guo HX, Heinamaki J, Yliruusi J. 2002. Diffusion of a freely water-soluble drug in aqueous enteric-coated pellets. AAPS Pharm Sci Tech 3:97-104 

  7. Kim DK, Shin JA, Lee KT. 2011. Monitoring of compositions of gamma-linolenic acid and omega-3 fatty acids in some functionl foods consumed in market. CNU J Agric Sci 38:277-284 

  8. Kim MC, Park JO, Kim NJ. 1994. Disintegration test of enteric coated capsules using radiopaque material in dogs. Korean J Vet Clin Med 11:377-381 

  9. Ko WH, Hong JK, Lee SW, Cha JH, Baek HH, Park HJ. 2012. The effects of coating treatments on enteric coating of the soft capsules containing omega-3 fatty acids. Korean J Food Sci Technol 44:168-172 

  10. Kosaraju SL. 2005. Colon targeted delivery systems: Review of polysaccharides for encapsulation and delivery. Crit Rev Food Sci Nutr 45:251-258 

  11. Kwrowska EM, Dresser GK, Deutsch L, Vachon D, Khalil W. 2003. Bioavailability of omega-3 essential fatty acids from perilla seed oil. Prostag Leukotr Ess 68:207-212 

  12. Mose AJ. 1993. Gastroretentive dosage forms. Crit Rev Ther Drug Carrier Syst 10:143-195 

  13. Park JS. 2011. Maternal and paternal nutrition before conception. J Korean Med Assoc 54:818-824 

  14. Park Y. 2010. Omega-3 index as a risk factor for cardiovascular disease and its application to Korean population. Korean J Obes 19:1-8 

  15. Shargel YU. 1993. Physiologic Factors related to Drug Absorption. In: Applied Biopharmceutics and Pharmacokinetics. Prentice Hall, pp. 119-122 

  16. Slover H, Lanza, E. 1979. Quantitative analysis of food fatty acids by capillary gas chromatography. J Am Oil Chem Soc 56:933-94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