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곶감으로부터의 오염미생물 분리 및 동정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Contaminated Organisms on Dried Persimmon 원문보기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v.19 no.6, 2012년, pp.939 - 945  

강복희 (호서대학교 식품기능안전연구센터) ,  조미영 (호서대학교 식품공학과) ,  허상선 (중부대학교 식품생명과학과) ,  신기선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생물자원센터) ,  이동선 (제주대학교 생명공학부) ,  이상한 (경북대학교 식품공학과) ,  이진만 (호서대학교 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상주 지역 곶감의 제조 및 저장 중의 품질열화를 방지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서 상주 곶감으로부터 오염균을 분리하여 동정을 실시하였다. 7종의 배지를 사용하여 곶감으로부터 오염균을 분리한 결과 배지 종류별로 오염균수가 $5.18{\times}10^2{\sim}2.31{\times}10^4$ CFU/g으로 나타났다. 곰팡이에 의해 오염된 곶감의 경우 배지 종류에 따라 오염균수가 $1.17{\times}10^6{\sim}1.68{\times}10^7$ CFU/g으로 나타났다. 곶감의 주요 오염균을 조사하기 위해 우점종으로 존재하는 균수를 확인한 결과, 분리된 3종의 곰팡이 중에서 푸른 곰팡이 K2-1이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여 곶감 오염에 있어 주요 원인균으로 판단하였다. 다음으로 크림색 효모와 연보라색 효모가 많이 상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리한 15종의 균주 중 주요 오염 원인균으로 판단되는 푸른 곰팡이 K2-1에 대한 균주 동정을 실시한 결과Penicillium sp.으로 동정되었으며, 곰팡이 K-1과 K-3는 각각 Caldosporium sp.와 Aspergillus sp.으로 동정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isolated microorganisms from dried persimmon in Sangju and obtained 15 strains of microorganisms as the basic research to prevent the quality changes during drying and storage of dried persimmon. Contaminated microorganisms were separated using seven species of medium. Viable cell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곶감의 저장 및 유통시의 품질 안정성을 위한 연구로는 주로 전처리와 포장방법에 따른 곶감 저장 중의 품질변화에 대한 것으로서 자몽종자추출물 처리와 포장방법에 따른 반건시 곶감의 품질변화(13), 곶감의 색 변화에 대한 전처리와 저장온도의 영향(14), 계피 추출물 처리와 포장방법에 따른 곶감의 품질변화(15), 전처리와 포장재에 따른 곶감의 저장 중 품질변화(16) 등이 있으나, 곶감 건조시의 오염 미생물방지와 관련된 다양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품질 곶감 제조의 일환으로 곶감으로부터 오염균을 분리하고 동정하여, 곶감 건조 및 저장 중의 오염 저감화를 위한 기초 연구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연건조로 곶감을 생산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문제는 무엇인가? 곶감은 건조 중 자연조건의 영향으로 기후가 따듯하고 습할 시 과육이 허물어져 손실양이 증가하거나, 감에 존재하는 폴리페놀성 물질의 산화에 의해 흑변하는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6). 뿐만 아니라, 습한 날씨가 지속되는 등 건조시 기후 조건이 좋지 않을 경우 곰팡이가 대량으로 발생하여 곶감 농가가 막심한 피해를 입게 되기도 한다.
떫은감의 효능은? 원예학적으로 품종은 다양하나 과실의 수확 후 식용방법을 결정하는 삽미의 존재유무에 따라 일반적으로 떫은 감과 단감나무로 나누어진다(2). 이 중 떫은감은 당류, 비타민 및 무기질 등이 풍부하며 고혈압, 숙취제거, 설사, 이뇨 등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생과로 소비하기가 어려운 특성 때문에 주로 곶감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다(3).
곶감에 존재하는 주요 오염균은 무엇인가? 3). 주요 비율을 차지하는 오염균은 배지별로 약간 차이가 있었으나 분리된 3종의 곰팡이 중에서는 K2-1인 푸른곰팡이가 전반적으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여 우점종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곶감 오염에 있어 주요 원인균인 것으로 판단하였다. 배지 종류별로 차이는 있었으나 전반적으로 K2-1으로 명명한 푸른 곰팡이가 분리된 다른 곰팡이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많은 수를 나타내었으며, 시판되는 정상 품질 곶감의 경우 PDA 배지에서 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Cho KM, Lee JB, Kahng GG, Seo WT (2006) A study on the making of sweet persimmon (Diospyros kaki T) wine. Korean J Food Sci Technol, 38, 785-792 

  2. Lee SW, Moon HK, LEE WY, Kim JK (2011)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cold-air dried persimmons and traditional dried persimmons. Korean J Food Preserv, 18, 481-487 

  3. Kang WW, Kim JK, Oh SL, Kim JH, Han JH, Yang JM, Choi JU (2004)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angju traditional dried persimmons during drying proces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 386-391 

  4. Kim JK, Kang WW, Oh SL, Kim JH, Han JH, Moon HK, Choi JU (2004) Comparison of quality characteristics on traditional dried persimmons from various region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 140-145 

  5. Im JS, Lee MH (2007) Physicochemical compositions of raw and dried Wolha persimmons. Korean J Food Preserv, 14, 611-616 

  6. Lee YR, Chung HS, Moon KD (2011) Change in the polyphenol content of Cheongdobansi persimmon fruit during development. Korean J Food Preserv, 18, 13-17 

  7. Hong JH, Kim HJ, Choi YH, Lee IS (2008) Physiological activities of dried persimmon, fresh persimmon and persimmon leav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957-964 

  8. Hwang IW, Jeong MC, Chung SK (2011)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persimmon peel powders with different particle sizes. J Korean Soc Appl Biol Chem, 54, 442-446 

  9. Woo KL, Lee SH (1994) A study on wine-making with dried persimmon produced in Korea. Korean J Food Sci Technol, 26, 204-212 

  10. Ko SH, Kim SI, Han YS (2008)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yogurt add supplemented with low grade dried persimmon extracts. Korean J Food Cookery Sci, 24, 735-741 

  11. Kim JH, Kang WW, Kim JK (2005) Quality evaluation of yut (Korean Traditional Candy) prepared from low quality dried-persimmon. Korean J Food Preserv, 12, 135-140 

  12. Moon HK, Han JH, Kim JH, Kim GY, Kang WW, Kim JK (2004)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ead with dried persimmons hot-water extra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3, 723-729 

  13. Park HW, Cha HS, Kim SH, Park HR, Lee SA, Kim YH (2006) Effects of grapefruit seed extract pretreatment and packaging materials on quality of dried persimmons. Korean J Food Preserv, 13, 168-173 

  14. Carcel JA, Garcia-Perez JV, Sanjuan N, Mulet A (2010) Influence of pre-treatment and storage temperature on the evolution of the colour of dried persimmon. LWT - Food Science and Technology, 43, 1191-1196 

  15. Park HW, Lee SA, Cha HS, Kim YH (2005) Effect of cinnamon pretreatment and packaging materials on the quality of dried persimmon. Korean J Food Preserv, 12, 305-339 

  16. Kim SH, Park HW, Lee SA, Kim YH, Cha HS (2004) Quality changes of dried persimmons depending on pre-treatment and packaging materials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Preserv, 11, 437-440 

  17. Smith E, Leeflang P, Glandorf B, Elsas JDV, Wernars K (1999) Analysis of fungal diversity in the wheat rhizosphere by sequencing of cloned PCR-amplified genes encoding 18S rRNA and temperature gradient gel electrophoresis. Applied and Environmental Microbiology, 65, 2614-2621 

  18. O'Donnell K (1993) Fusarium and it's near relatives. In the fungal holomorph : Mitotic, meiotic and pleomorphic speciation in fungal systemaitcs, p 225-233. Edited by DR Reynolds & JW Taylor. Wallingford, UK : CAB International 

  19. Innis MA, Gelfand DH, Snisky JJ, White TJ (editors) (1990) PCR protocols : a guide to methods and applications. Sandiego : Academic Press, p 3-12 

  20. Hong EY, Kim YC, Rhee CH, Kang WW, Choi JU, Chung SK (2001) Changes of microflora in processing and preservation of dried persimmon, Korean J Postharvest Sci Technol, 8, 374-378 

  21. Kwon JH, Jeong SG, Hong SB, Chae YS, Park CS (2006) Occurrence of blue mold on sweet persimmon (Diospyros kaki) caused by Penicillium expansum. Res Plant Dis, 12, 290-29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