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다이어트를 하고 있는 여대생들의 변비유병율과 식이섭취상태
Nutritional Status and Constipation Rate among Female College Students Practicing Weight Control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1 no.12, 2012년, pp.1734 - 1739  

이혜란 (이화여자대학교 임상보건과학대학원) ,  신윤진 (이화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양하 (이화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다이어트가 여대생들의 변비유병율에 미치는 영향 및 관련요인을 조사하고자 수행되었다. 다이어트 유무에 따라 대조군 116명과 다이어트군 135명으로 나누어 비교하였다. 다이어트군의 평균 신장과 체중은 $161.96{\pm}4.460$ cm, $53.87{\pm}6.645$ kg이었으며 대조군의 경우는 $161.42{\pm}4.492$ cm, $52.77{\pm}7.935$ kg으로 서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변비유병율을 살펴보았을 때 대조군이 20.7%, 다이어트군이 61.5%로 대조군에 비해 다이어트군에서 변비유병율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01). 대조군의 열량섭취량은 $1587.53{\pm}276.918$ kcal인 것에 비하여, 다이어트군의 열량섭취량은 $1450.47{\pm}328.94$ kcal로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p<0.001). 대조군의 식이섬유 섭취량은 $16.18{\pm}3.64$ g, 다이어트군의 식이섬유 섭취량은 $14.0{\pm}3.8$ g으로 대조군에 비해 다이어트군에서 식이섬유 섭취량은 유의적으로 낮게 섭취하였다(p<0.001). 대조군의 수분 섭취량은 $637.9{\pm}149.7$ g, 다이어트군에서 수분 섭취량은 $595.6{\pm}173.3$ g으로 다이어트군에서 유의적으로 낮게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대조군에 비하여 다이어트군에서 단백질, 칼슘, 인, 철분, 나트륨 등의 섭취가 적었다(p<0.05). 변비유병율은 식습관점수, 운동생활습관점수, 식이섬유의 섭취, 수분섭취의 세가지 항목에서 유의적인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p<0.05, p<0.001). 이와 같이 본 연구에서는 다이어트를 하는 여대생에서 변비유병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변비유병율을 높이는 관련 요인으로 식이섬유와 수분의 섭취가 확인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et on the nutritional status and constipation rate of female college students. A total of 251 female college students living in Gyeonggi province participated in this study. Dietary intake was ascertained from a 3-day dietary record, includin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체중감량의 대부분이 건강관리를 위해서가 아니라 외모관리 차원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며(14), 정확한 영양지식을 기반으로 하고 있지 않음으로 인하여 여러 가지 건강문제를 초래하고 있다(15). 그중에서도 본 연구는 여대생들을 대상으로 다이어트가 변비유병율에 미치는 요인을 조사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다이어트가 여대생의 변비유병율에 미치는 요인을 조사하였다. 다이어트 유무에 따른 식습관 및 영양섭취 실태를 비교하였고, 변비유병율과 식습관, 영양 섭취 간의 관련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다이어트가 여대생들의 변비유병율에 미치는 영향 및 관련요인을 조사하고자 수행되었다. 다이어트 유무에 따라 대조군 116명과 다이어트군 135명으로 나누어 비교 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다이어트가 여대생의 변비유병율에 미치는 요인을 조사하였다. 다이어트 유무에 따른 식습관 및 영양섭취 실태를 비교하였고, 변비유병율과 식습관, 영양 섭취 간의 관련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Shin MY. 1997. Process that mass-media affects dieting and eating disorder of young women. MS Thesi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Chuncheon, Korea. p 32-35. 

  2. Lee LS. 1997. Eating and dieting style of college women. Korean J Clinical Psychology 16: 87-100. 

  3. Song KA, Park JS. 2003. Eating habits, trend of disordered eating, weight reduction practice and body size evaluation of college students in Seoul. Korean J Women Health Nurs 9: 457-466. 

  4. You JS, Chin JH, Chang KJ. 2009. Prevalence of constipation, bowel habits and nutrient intakes of college students in Incheon area. Korean J Nutr 42: 702-713. 

  5. Lee CL. 2010. A study of dietary behaviors and nutrients intake in college women with constipation. MS Thesis. Soonchunhyang University, Ansan, Korea. p 9-12. 

  6. Shin JR, Lee SY. 2003. Dietary habits and factors related to lifestyles in constipated female students. Korean J Community Nutr 8: 675-688. 

  7. Lee JR. 2001. Study on dietary habits and loosing the constipation by supplementation of aloe juice and yogurt in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area. M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p 19-20. 

  8. Kang KH, Huh KT. 1994. Bifidobacteria and oligosaccharides. Yuhan Publishing Co, Seoul, Korea. p 18-24. 

  9. Lee HJ, Kim YA, Lee HS. 2006. The estimated dietary fiber intake of Korean by age and sex.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1207-1214. 

  10. Lee JH, O JH. 2005. A study on the defecation pattern and lifestyle factors of female high school and college students in Gyeonggi province. Korean J Community Nutr 10: 36-45. 

  11. Park YS, Lee YH, Choi K. 1995. Objectivity of self-evaluated obesity and attitude toward weight control among college students. Korean J Dietary Culture 10: 367-375. 

  12. Woo YE. 2010. The study on constipation prevalence and eating behavior of high school students preparing for the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in Daegu-city area. MS Thesi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Korea. p 73-76. 

  13. Thompson WG, Longstreth GF, Drossman DA, Heaton KW, Irvine EJ, Muller- Lissner SA. 1999. Functional bowel disorders and functional abdominal pain. Gut 45 Suppl 2: II43-II47. 

  14. James DC. 2003. Gender differences in body mass index and weight loss strategies among African Americans. J Am Diet Assoc 103: 1360-1362. 

  15. Lee HO, Lee YS. 2005. The study of relationship among body composition, athletic ability and nutritional status of young women. Korean J Food & Nutr 18: 127-134. 

  16. Lee JY. 2000. A study on the anthropometric measurement, health condition and nutritional status of female college students in Kyunggido area.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0: 372-386. 

  17. Jo YL. 2010. The study on nutrition intake under eating behavior and diet habits of women students in universities in Seoul. MS Thesis. Konkuk University, Seoul, Korea. p 30-34. 

  18. KNS. 2000. Recommended dietary allowances for Koreans. 7th ed.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Seoul, Korea. 

  19. Ahn BRM, Park ES. 2009. Perception of body weight control, life styles, and dietary habits according to the obesity index (OI) of female college students. J Natural Sci 18: 167-179. 

  20. Lee JH, Kim JS, Lee MY, Jung SH, Jang KJ. 2001. A study on weight-control experience, eating disorder and nutrient intake of college students attending web class via the internet. Korean J Community Nutr 6: 604-616. 

  21. Kim HA, Lee KH, Jo YJ. 1999. An assessment of obesity and dietary habits of college students taking the course health and diet. Korean J Community Nutr 4: 166-174. 

  22. Shin YJ. 2008. The relationship between nutritional status and bone mineral density in child-bearing period woman. M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Clinical Health Sciences, Seoul, Korea. p 22-24. 

  23. KNS. 2003.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Seoul, Korea. p 15-83. 

  24. Oh JY. 2002. Study on the practice about diet, the present condition and expectation degree of commercial diet in female college students. MS Thesis. Dongduk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p 2-14. 

  25. Kim HJ, Lee KA, Yoon HS. 2009. Constipation prevalence and lifestyle factors affecting constipation of high school students in Gimhae area. J Korean Diet Assoc 15: 419-432. 

  26. Byeon YS, Lee JI. 2003. Stress and constipation in female high school students. J Korean Acad Funda Nurs 10: 23-2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