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물리치료사의 작업관련 근골격계 통증과 부담작업 유해요인 평가: 성인 신경계 손상 치료를 중심으로
Work-Related Musculoskeletal Pain and Workload Evaluation of Physical Therapists: Focused on Neurological Injury Treatment of Adults 원문보기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Physical Therapy Korea, v.19 no.2, 2012년, pp.69 - 79  

이중호 (대구대학교 대학원 재활과학과) ,  최영철 (대구대학교 대학원 재활과학과) ,  김진상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 물리치료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mportance of the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WMSDs) has been increasing in the hospital industry such as health care industry and financial industry. This study investigated in order to identify the factors like general, occupational and ergonomically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re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환자들의 재활치료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는 물리치료는 환자치료 동안 발생하는 신체적 접촉, 정신적 스트레스 등으로 인한 근골격계질환에 노출된 환경 속에서 치료를 하고 있지만 물리치료사가 직면하고 있는 여러 가지 사회적 여건이나 병원 내의 치료환경, 치료 조건으로 인하여 간과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물리치료사의 근골격계질환에 의한 자각 증상의 신체부위별 특성과 상지의 인간공학적 평가에 대해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현재 의료업종을 대상으로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kore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 KOSHA) CODE 또는 증상조사표를 이용한 자각증상과 위험요인과의 관계를 분석한 논문으로는 치과위생사(권현진, 2004; 정상희, 2004), 종합병원 간호사(서순림과 기도형, 2005), 치과의사(최명관 등, 2006; 차주형 등, 2007), 작업치료사(강미정 등, 2007), 병원근로자(박정근 등, 2008)를 대상으로 통증호소율과 유해요인분석이 이루어졌다.
  • 본 연구를 통해 근골격계 통증의 정의에 따른 작업관련성 근골격계 자각증상률의 규모와 근골격계 증상의 발현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일반적인 특성, 업무관련 특성), 인간공학적(RULA) 위험 요인을 알아보았다. 다만, 연구 대상자가 50명으로 적었고 물리치료사의 치료활동중 환자체위 변경과 환자 운반 그리고 보행 훈련을 제외한 치료 작업을 중점으로 평가하였으며, 소아 신경손상 환자를 제외하고 성인 신경손상 환자만을 치료하는 물리치료사를 연구 대상으로 하였기에 전반적인 특성이 고려되지 못하여 향후 이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 이에 본 연구는 근골격계질환의 위험 요인들에 노출된 환경 속에서 근무하는 물리치료사의 작업활동과 관련한 근골격계질환에 대한 증상을 파악하여 통증의 발생부위, 통증의 강도, 통증의 양상과 함께 근골격계질환 호소율이 많은 상지에 대한 평가로 인간공학적 유해요인 평가 방법인 RULA를 이용하여 성인 신경손상 환자를 치료하는 물리치료사를 대상으로 부담작업 유해요인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설문지와 RULA 평가도구를 이용하여 성인 신경계손상 환자를 치료하는 물리치료사들의 일반적인 특성과 업무적인 특성 그리고 인간공학적 특성을 파악하고 RULA의 상지 자세 점수인 자세점수 A(posture score A)와 물리치료사의 신체부위별 자각증상, 통증 강도 및 양상과 관련된 요인을 찾고자 하였다.
  • 이 연구는 물리치료사의 근골격계 자각증상과 관련된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물리치료사 50명을 대상으로 일반적인 특성, 업무관련 특성, 인간공학적 특성과 관련된 근골격계 자각증상을 조사하였다. 근골격계 증상조사는 표준화된 측정도구(KOSHA CODE H-30-2003의 근골격계 증상조사표)를 사용하였고 인간공학적 위험에 대한 평가는 RULA를 이용하였다.
  •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서 성인 신경손상 환자를 치료하는 물리치료사들의 치료활동에 따른 개인적인 측면과 물리적인 측면(일반적 특성과 업무관력 특성) 그리고 인간공학적인 측면을 통해 부적절한 자세로 인하여 근골격계질환이 발생될 수 있는 유해요인을 알아보았다. 향후에는 사회 심리적인 측면까지도 고려한 조사와 근골격계질환에 대한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예방프로그램의 개발과 실시, 교육 등 다각도의 대책 마련이 필요하고 생각한다.
  • 이에 본 연구는 근골격계질환의 위험 요인들에 노출된 환경 속에서 근무하는 물리치료사의 작업활동과 관련한 근골격계질환에 대한 증상을 파악하여 통증의 발생부위, 통증의 강도, 통증의 양상과 함께 근골격계질환 호소율이 많은 상지에 대한 평가로 인간공학적 유해요인 평가 방법인 RULA를 이용하여 성인 신경손상 환자를 치료하는 물리치료사를 대상으로 부담작업 유해요인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설문지와 RULA 평가도구를 이용하여 성인 신경계손상 환자를 치료하는 물리치료사들의 일반적인 특성과 업무적인 특성 그리고 인간공학적 특성을 파악하고 RULA의 상지 자세 점수인 자세점수 A(posture score A)와 물리치료사의 신체부위별 자각증상, 통증 강도 및 양상과 관련된 요인을 찾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근골격계질환은 왜 문제가 심각한가? 작업관련 근골격계질환(work 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 WMSDs)은 장시간의 단순반복 작업, 부자연스러운 자세, 과도한 힘, 불충분한 휴식, 진동 등에 근로자들이 노출되면 근육, 혈관, 신경 등에 손상이 누적 되어 목, 어깨, 팔, 팔꿈치, 손/손목, 허리, 다리 등에 통증과 감각이상을 호소하는 것을 말한다. 근골격계질환은 발병초기에 미약한 통증으로 인해 가벼운 타박상, 피로누적 등으로 치부하기 쉬우며 증상이 악화되어야 비로소 의학적 관리가 필요하다고 느끼는 경우가 다반사이기 때문에 문제가 심각하다. 근골격계질환이 발생한 노동자의 경우 자신의 신체적 고통은 물론이고 기업의 생산성 저하나 보상비용의 상승 등의 경제적 손실을 증가시킨다.
작업관련 근골격계질환이란 무엇인가? 작업관련 근골격계질환(work 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 WMSDs)은 장시간의 단순반복 작업, 부자연스러운 자세, 과도한 힘, 불충분한 휴식, 진동 등에 근로자들이 노출되면 근육, 혈관, 신경 등에 손상이 누적 되어 목, 어깨, 팔, 팔꿈치, 손/손목, 허리, 다리 등에 통증과 감각이상을 호소하는 것을 말한다. 근골격계질환은 발병초기에 미약한 통증으로 인해 가벼운 타박상, 피로누적 등으로 치부하기 쉬우며 증상이 악화되어야 비로소 의학적 관리가 필요하다고 느끼는 경우가 다반사이기 때문에 문제가 심각하다.
작업관련 근골격계 질환은 2007년에 전체 산업재해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어떠한가? 6%를 차지할 만큼 중요한 문제가 되었다. 이 문제는 2007년에 전체 산업재해의 67.3% (7,723명)를 차지하여 전년도에 비해 23.9%, 2003년에 비해서는 7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강미정, 정원미, 구정완. 작업치료사의 근골격계 자각증상 과 관련요인. 대한작업치료학회지. 2007;15(2):117- 128. 

  2. 기도형, 박기현. 작업 자세 평가 기법 OWAS, RULA, REBA 비교. 한국산업안전학회지. 2005;20(2):127-132. 

  3. 김강윤, 안선희, 최호춘 등. 물리치료사의 근골격계 부담작업 유해요인평가-운동치료를 중심으로. 한국산업위생학회지. 2004;14(2):144-154. 

  4. 김경모. 물리치료사의 근골격계 통증과 직무 스트레스. 서울, 연세대 보건환경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17-23. 

  5. 권미지, 김수민. 대구지역 물리치료사들의 직업과 관련된 근골격계장애 조사. 대한물리치료학회지. 2001; 13(1):151-160. 

  6. 권현진. Video를 이용한 치과위생사의 작업자세분석과 근골격계 자각증상과의 관련성. 대한치과위생학회지. 2004;6(1):1-10. 

  7. 노동부. 노동부고시 제2003-24호. http://www.moel.go.kr 

  8. 노동부. 산업재해통계. 2004:79. http://www.moel.go.kr 

  9. 노동부. 2007년 노동백서. 2008:306-308. http://www.moel.go.kr 

  10. 명준표, 이향기, 김형렬 등. 환경미화원의 작업별 근골 격계질환 자각증상 특성과 상지의 인간공학적 평가. 대한산업의학회지. 2008;20(2):93-103. 

  11. 박기현, 사업장 근골격계질환 예방 실천사항.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2007. 

  12. 박정근, 김대성, 서경범. 병원근로자의 근골격계질환 증상 특성 및 관리방안. 대한인간공학회지. 2008;27 (3):81-92. 

  13. 서순림, 기도형. 종합 병원 간호사의 근골격계질환 실태 조사. 대한인간공학회지. 2005;24(2):17-24. 

  14. 용준형, 이충휘, 권오윤 등. 물리치료사의 직무관련 근골격계 통증과 직무 스트레스. 한국전문물리치료확회지. 2010; 17(1):53-61. 

  15. 이충휘. 물리치료사의 요통발생 위험요인 분석. 대한물리치료사학회지. 1990;11(2):93-115. 

  16. 이태식, 백일훈. 물리치료사 업무특성과 근골격계 질환 예방을 위한 관심도 연구. 대한물리치료사학회지. 2003;10(2):163-172. 

  17. 이형수, 송화경, 김한나 등. 전남 동부지역 물리치료사 의 근무환경 및 직무 만족도 조사연구. 대한물리치료학회지. 2005;17(1):71-86. 

  18. 정상희. 치과위생사의 작업관련성 근골격계질환 유병률과 주요업무별 인간공학적 평가. 대한치과위생학회지. 2004;6(1):87-99. 

  19. 최명관, 최상복, 차상은. 치과의사의 근골격계질환 자각 증상과 유해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안전학회지. 2006;21(6): 106-115. 

  20. 차주형, 유태범, 최화순 등. 국내 치과의사의 근골격계 질환 실태 조사. 대한인간공학회지. 2007;26(2): 137-147. 

  21. 한국산업안전공단. 근골격계부담작업 유해요인조사지침. 2003. 

  22. Bongers PM, de Winter CR, Kompier MA, et al. Psychosocial factors at work and musculoskeletal disease. Scand J Work Environ Health. 1993;19(5):297-312. 

  23. Buchholz B, Paquet V, Punnett L, et al. Path: A work sampling-based approach to ergonomic job analysis for construction and other non-repetitive work. Appl Ergon. 1996;27(3):177-187. 

  24. Cromie JE, Robertson VJ, Best MO.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in physical therapists: Prevalence, severity, risks and responses. Phys Ther. 2000;80(4):336-351. 

  25. Darragh AR, Huddleston W, King P. Work-related musculoskeletal injuries and disorders among occupational and physical therapists. Am J Occup Ther. 2009;63(3):351-362. 

  26. David G, Woods V, Li G, et al. The development of the quick exposure check (qec) for assessing exposure to risk factors for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Appl Ergon. 2008;39(1): 57-69. 

  27. Dempsey P, McGorry RW, Maynard WS. A survey of tools and methods used by certified professional ergonomists. Appl Ergon. 2005;36(4): 489-503. 

  28. Fransson-Hall C, Gloria R, Kilbom A, et al. A portable ergonomic observation method (peo) for computerized on-line recording of postures and manual handling. Appl Ergon. 1995;26(2):93-100. 

  29. Fredriksson K, Alfredsson L, Ahlberg G, et al. Work environment and neck and shoulder pain: The influence of exposure time. Results from a population based case-control study. Occup Environ Med. 2002;59(3):182-188. 

  30. Hignett S, McAtamney L. Rapid entire body assess ment (REBA). Appl Ergon. 2000;31(2):201-205. 

  31. Karhu O, Kansi P, Kuorinka I. Correcting working postures in industry: A practical method for analysis. Appl Ergon. 1977;8(4):199-201. 

  32. Kemmlert K. A method assigned for the identification of ergonomic hazards-PLIBEL. Appl Ergon. 1995;26(3):199-211. 

  33. McAtamney L, Nigel Corlett E. RULA: A survey method for the investigation of work-related upper limb disorders. Appl Ergon. 1993;24(2):91-99. 

  34. Molumphy M, Unger B, Jensen GM, et al. Incidence of work-related low back pain in physical therapists. Phys Ther. 1985;65(4):482-486. 

  35. Podniece Z.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Prevention report. Belgium, European agency for safety and health at work, 2008:5-12. 

  36. Punnett L, Wegman DH.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The epidemiologic evidence and the debate. J Electromyogr and Kinesiol. 2004;14(1):13-2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