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배추 조직감 측정 방법의 최적화와 품종 간 물성특성비교
Optimizing a Method for Measuring Firmness of Chinese Cabbage (Brassica rapa) and Comparing Textural Characteristics among Cultivars 원문보기

원예과학기술지 = Korean journal of hort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v.30 no.6, 2012년, pp.700 - 708  

정준혁 (중앙대학교 식물시스템과학전공) ,  이영섭 (중앙대학교 식물시스템과학전공) ,  김종기 (중앙대학교 식물시스템과학전공)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배추의 조직감 측정 방법을 확립하기 위하여 4종류의 탐침을 사용하여 '노랑봄' 배추의 엽서별 중륵의 경도를 비교 측정하였다. 이중에서 volodkevich bite jaws 탐침으로부터 엽서와 경도의 상관이 가장 높은 유의성이 나타났다($r^2=0.85$). 배추 중륵의 조직감은 단위두께당 조직파쇄에 소요되는 힘으로 나타냈다. 배추의 작형과 생태형을 고려하여 16 품종의 엽서별 중륵 부위의 경도를 측정하였다. 중륵의 두께 분포는 외엽부 수개의 잎에서 증가하다가 내엽으로 갈수록 감소하였으며, 중륵의 평균두께는 'CR-싱싱'이 7.74mm로 가장 얇고, '노랑여름' 배추는 9.28mm로 가장 두꺼웠다. 잎두께의 변이는 '치힐리'가 23.6%로 가장 높았으며, '불암' 배추는 5.8%로 가장 적었다. 중륵의 조직감은 모든 품종에서 외엽에서 일시적으로 감소하다가 내엽으로 갈수록 증가하는 2차 함수적인 관계를 보였고, 결정계수는 16품종 중 13품종에서 0.75 이상이었다. 'CR-그린'은 0.23으로 가장 낮았고, '치힐리' 배추는 0.96으로 적합성이 가장 높았다. 수확한 배추의 조직감을 신속하게 평가하기 위하여는 제10번 또는 제11번 잎의 중륵의 경도를 측정하는 방법을 제시하였으며, 16품종의 평균결정계수는 0.81이었다. 중륵의 건물중과 경도는 정의 상관($r=0.70^{**}$)을 보였고, 세포벽 함량과 경도와의 상관은 다소 낮았지만 유의성이 있었다($r=0.58^*$). 본 연구에서 얻어진 배추의 조직감 측정기술은 원료배추와 김치의 조직감의 관계를 구명하거나 조직감이 우수한 배추품종을 육성하는 데 활용할 수 있다고 사료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order to optimize a method to determine the firmness of Chinese cabbage, hardness of midrib tissues was examined based on their chronological order of emergence. Texture measurement using volodkevich bite jaws gave a consistent and highest regression ($r^2=0.85$) between firmness and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실험은 배추의 조직감을 측정하는 방법을 확립하고, 이를 바탕으로 작형 및 생태형에 따라 주요 배추 품종의 물성특성을 비교하고자 수행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김치의 식품으로써의 우수성이 입증되면서 어떤 연구가 진행되는가? 최근 기상이변으로 인한 배추의 작황이나 재배면적의 변동이 다소 심하지만, 지난 10년간 33,000-40,000ha 가량 재배되고 있으며, 생산량도 250만 톤 내외를 기록하고 있다(MIFAFF, 2011). 최근에는 국제적으로 김치의 식품으로써의 우수성이 입증되면서 배추김치의 재료 및 종류의 표준화에 관한 연구가 진행 되고 있다. 더우기 농산물 시장이 개방되면서 국내 채소들의 품질고급화, 안전성 및 기능성에 대한 관심도 어느 때보다 높아지고 있다.
우리나라 국민의 1인당 채소소비량에서 배추는 얼마나 차지하는가? 우리나라 국민의 1인당 채소소비량은 세계에서 가장 높은데 최근 5년간의 연평균 350kg으로 배추는 채소 소비량의 약 30%를 차지한다(MIFAFF, 2011). 최근 기상이변으로 인한 배추의 작황이나 재배면적의 변동이 다소 심하지만, 지난 10년간 33,000-40,000ha 가량 재배되고 있으며, 생산량도 250만 톤 내외를 기록하고 있다(MIFAFF, 2011).
김치가 적당히 단단하고 아삭아삭하고 씹는 맛이 나는 데에는 무엇에 좌우되는가? 국제식품규격에 의하면 김치의 품질은 정상적인 ‘색상’ ‘맛’, 그리고 ‘조직감’을 가지고 있어야 하며, 이 중 조직감은 ‘적당히 단단하고 아삭아삭하고 씹는 맛이 있어야 한다’ 라고 표기되어 있다(CODEX STAN 223-2001). 김치 주재료로써의 배추의 조직감(textural properties)은 조직의 물성 특성에 크게 좌우되며, 부재료의 종류나 가공방법에 의해 다소 영향을 받는다(Kim et al., 2000; Lee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Brett, C. and K. Waldron. 1996. Cell walls in diet and health, p. 222-238. Physiology and biochemistry of plant cell walls. 2nd ed. Champman & Hall, London. 

  2. Cho, Y.H., K.C. Yoo, J.K. Sung, B.M. Chun, S.H. Nam, H.D. Kim, and W.Y. Lee. 1998. Radish and Chinese cabbage for competitive technology and management. Nongmin Publishing Co., Seoul, Korea. 

  3. Kang, N.K., J. Kim, B.M. Chun, and Y.H. Cho. 1999. A temporal relationship between tissue firmness and cell wall compositions in radish roots (Raphanus sativus L.). Acta Hort. 483:95-104. 

  4. Kim, J., K.D. Kim, and Y.S. Choi. 2007. Chinese cabbage, a postharvest technology manual book. Ministry for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Seoul, Korea p. 1-35. 

  5. Kim, J.Y., E.J. Lee, S.K. Park, G.W. Choi, and N.K. Baek. 2000. Physicochemical quality characteristics of several Chinese cabbage (Brassica pekinensis RuPR) cultivars. Kor. J. Hort. Sci. Technol. 18:348-352. 

  6. Kim, J., T. Solomos, and K.C. Gross. 1999. Changes in cell wall galactosyl and soluble galactose content in tomato fruit stored in low oxygen atmospheres. Postharvest Biol. Technol. 17:33-38. 

  7. Lee, C.H. and I.J. Hwang. 1988. Comparison of cutting and compression tests for the texture measurement of Chinese cabbage leaves. Kor. J. Food Sci. Technol. 20:749-754. 

  8. Lee, C.H., I.J. Hwang, and J.K. Kim. 1988. Macro-and microstructure of Chinese cabbage leaves and their texture measurement. Kor. J. Food. Sci. Technol. 20:742-748. 

  9. Lee, I.S., W.S. Park, Y.J. Koo, and K.H. Kang. 1994. Changes in some characteristics of brined Chinese cabbage of fall cultivars during storage. Kor. J. Food. Sci. Technol. 26:239-245. 

  10. Lee, S.K, J. Kim, Y.M. Park, J.G. Seo, Y.J. Yang, and Y.S. Hwang. 2007. Chinese cabbage, in postharvest handbook. Ministry for Food, Agriculture, Forest and Fisheries, Seoul, Korea p. 188-210. 

  11. Ministry for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MIFAFF). 2011. Current status of greenhouse and vegetable crop production. www.mifaff.go.kr. 

  12. Park, K.Y., E.J. Cho, S.M. Lee, and S.H. Rhee. 1998. Studies on the standardization of Chinese cabbage Kimchi. Kor. J. Food. Sci. Technol. 30:324-332. 

  13. Yoon, E.J. and C.H. Lee. 1990. Changes in the force-distance curve of Chinese cabbage leaf-stalk by the type of puncture and cutting probes and their relation to the textural parameters. Kor. J. Rheology. 2:46-52. 

  14. Yoon, J.Y. S.S. Lee, and J.G. Woo. 1985. A questionnaire survey on preference of Kimchi and heading Chinese cabbage. J. Kor. Soc. Hort. Sci. 26:122-12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