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Microsatellite 마커를 이용한 한국산 피조개, Scapharca broughtonii Schrenck 집단의 유전적 다양성
Genetic Variation of Wild and Hatchery Populations of the Korean Ark Shell, Scapharca broughtonii Assessed by Microsatellite Markers 원문보기

한국패류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v.28 no.3, 2012년, pp.269 - 274  

지영주 (국립수산과학원 생물공학과) ,  김우진 (국립수산과학원 생물공학과) ,  김병학 (국립수산과학원 남서해수산연구소) ,  변순규 (국립수산과학원 남동해수산연구소) ,  조기채 (국립수산과학원 남동해수산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우리나라 피조개 집단의 유전적 다양성을 분석하기 위해 남해안 5개 지역의 피조개 443마리를 수집하여 6개의 다형성이 높은 microsatellite 마커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5개 집단의 유전자좌당 대립유전자는 10-28개의 범위였으며, 각 지역별 microsatellite 마커의 평균 대립유전자 수는 JHH (진해 양식집단) 이 15.5로 가장 적었고, GJ (강진 자연집단) 이 20.3으로 가장 많았다. 평균 기대 이형접합률은 SR (사량자연집단) 이 0.817로 가장 낮았고, GJ (강진자연집단)이 0.831로 가장 높았으며 JHH (진해양식집단) 은 0.822로 자연집단에 비교해 의미적인 차이는 없었다. 집단 간 $F_{ST}$ 값은 GJ (강진 자연집단) 이 다른 집단과 분화적 차이를 보여 다른 집단과 유전적으로 차이를 나타내었다. JH (진해 자연집단), SR (사량 자연집단) 및 JHH (진해 양식집단) 사이의 $F_{ST}$ 값은 매우 낮게 나타나 집단 간 유전자 교류 (gene flow)가 일어났음을 암시하고 있다. 특히 JH (진해자연집단) 과 SR (사량 자연집단) 은 $F_{ST}$ 값이 0.0001로 가장 낮았으며 집단 간 유전적 거리 (0.0386) 도 가장 가까웠고 집단 간 유전적 유연관계도 가장 가까운 것으로 나타나 유전적으로 같은 집단이라고 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genetic variation of Ark Shell, Scapharca broughtonii black was estimated using six polymorphic microsatellite (MS) loci in 443 individuals collected from five populations in Korea. The mean numbers of alleles per locus in five populations were 10-28. The mean number of alleles per locus in Jin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우리나라 피조개 주생산지인 남해안 각 지역별 피조개를 수집하여 유전적 다형성이 높은 microsatellite 마커를 이용하여 지역별 피조개의 유전적 다양성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피조개의 자연채묘를 위한 연구는 무엇이 있는가? 피조개에 대한 연구는 1970년대부터 시작되었는데, 자연채묘를 위한 연구로는 노․변 (1977) 의 자연채묘 및 중간육성에 관한 연구, 김․윤 (1980) 의 피조개 채묘수층과 중간육성 효과 연구 및 김 등 (1981) 의 채묘자재별 연구가 있으며, 인공종묘 생산에 관한 연구로는 변 등 (1976) 의 피조개 유생 사육 및 채묘에 관한 연구, 김 등 (1979) 의 피조개 실내채묘와 치패수송에 대한 연구, 김 등 (1980) 의 피조개 인공채묘 치패의 중간육성에 대한 연구, 정 등 (1982) 의 피조개 조기인공종묘생산시험 연구, 김 등 (2006) 의 피조개 어미의 수온에 따른 성 성숙 유도 연구가 있다.
피조개란 어디에 서식하는 유용패류인가? 피조개, Scapharca broughtonii (Schrenck)는 돌조개과 (Arcidae) 꼬막아과 (Anadarinae) 에 속하며 북서태평양 연안에 위치한 한국, 일본, 중국, 대만에 서식하는 유용패류이다. 피조개는 42-43개의 방사늑을 가지고 있으며 헤모글로빈을 가지고 있어 연체부는 붉은 색을 띈다.
국내 피조개는 어디서 생산되고 있는가? 피조개는 42-43개의 방사늑을 가지고 있으며 헤모글로빈을 가지고 있어 연체부는 붉은 색을 띈다. 우리나라 진해만, 거제만 및 고성만 등의 수심 10-50 m 깊이의 모래와 진흙이 혼합된 바닥에서 많이 생산되고 있다 (유 200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An, H.S., Park, J.Y. (2005) Ten new highly polymorphic microsatellite loci in the blood clam Scapharca broughtonii. Molecular Ecology Notes, 5: 896-898. 

  2. Cheong, S.C., Kang, H.W. and Lee, J.M. (1982) Experiments on the early artificial seedling production of ark shell Anadara broughtonii (SCHRENCK). Bulletin of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Agency, 28: 185-197. [in Korean] 

  3. Cho, E.S., Jung, C.G., Shon, S.G., Kim, C.W. and Han, S.J. (2007) Population Genetic Structure of the Ark Shell Scapharca broughtonii Schrenck from Korea, China, and Russia Based on COI Gene Sequences. Marine Biotechnology, 9: 203-216. 

  4. Chun, Y.G., Na, G.H. and Choi, W.J. (1991) Mass mortality of ark shell, Anadara broughtonii SCHRENCK seedlings with marine ecological characteristics. Journal of Korean Fishery Society, 24: 70-78. [in Korean] 

  5. Felsenstein, J. (1993) PHYLIP: Phylogeny inference package, version 3.5. University of Washington, Seattle. 

  6. Holland, B.S. (2001) Invasion without a bottleneck: microsatellite variation in natural and invasive populations of the brown mussel Perna perna (L.). Marine Biotechnology, 3: 407-415. 

  7. Hughes, C.R., Quelle, D.C. (1993) Detection of highly polymorphic microsatellite loci in a species with little enzyme polymorphism. Moecular Ecology, 2: 131-137. 

  8. Kim, B.H., Min, K.S., Lee, S.J., Park, K.Y., An, C.M. and Min, B.H. (2006) Effect of Temperature on Induced Sexual Maturation of the Ark Shell, Scapharca broughtonii (Schrenck) Broodstock.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22: 175-182. [in Korean] 

  9. Kim, B.H., Shin, Y.K., Park, K.Y., Choi, N.J., Oh, B.S. and Min, B.H. (2008) Growth and survival of the spat of arkshell, Scapharca broughtonii in intermediate culture with different shape of protective net and type of preventive net of spat loss.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24: 131-136. [in Korean] 

  10. Kim, J.D., Cheong, S.C. and Kang, H.W. (1980) Studies on the artificial mass seed production of the ark shell Anadara broughtonii (SCHRECK)-(II). Bulletin of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Agency, 25: 45-53. [in Korean] 

  11. Kim, Y., Yoon, D.S. (1980) On the spat collection of ark shell, Anadara broughtonii SCHRENCK I. Bulletin of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Agency, 23: 219-227. [in Korean] 

  12. Kim, Y., Hue, J.S. and Koo, J.H. (1981) On the spat collection of ark shell, Anadara broughtonii SCHRENCK(II). Bulletin of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Agency, 27: 161-167. [in Korean] 

  13. Kim, Y.G., Kang, Y.J. (1985) Culturing density and production of ark shell, Anadara broughtonii (Schrenck). Bulletin of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Agency, 36: 81-88. [in Korean] 

  14. Lee, J.M., Park, J.W., Yoo, M.S. and Hong, Y.K. (1997)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genetic diversity using the RAPD technique in the arkshell, Scapharca broughtonii (Schrenck) from the Korea and China. Journal of Korean Fisheries Society, 30: 297-304. [in Korean] 

  15. Li, Jingjing and Li, Qi (2008)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welve novel microsatellite loci in the ark shell Scapharca broughtonii. Conservation Genetics, 9: 1055-1057. 

  16. Min, K.S., Kim, B.H., Lee, S.J., Park, K.Y. and Kim, B.G. (2004) Intermediate culture of the spat arkshell, Scapharca broughtonii in summer.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20: 125-130. [in Korean] 

  17. Nei, M. (1972) Genetic distance between populations. Americal Naturalist, 106: 283-292. 

  18. Park, M.S., Lim, H.J. and Kim, P.J. (1998) Effect of Environmental Factors on the Growth, Glycogen and Hemoglobin Content of Cultured Arkshell, Scapharca broughtonii. Journal of Korean Fishery Society, 31: 176-185. [in Korean] 

  19. Pyon, C.K., Rho, Y.G. and Yoo, Y.K. (1976) Studies on spat collection and rearing of the larvae, Anadara broughtonii (SCHRENCK) in tank. Bulletin of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Agency, 15: 7-18. [in Korean] 

  20. Raymond, M. and Rousset, F. (1995) GENEPOP Version 1.2, a population genetics software for exact tests and ecumenicism. Journal of Heredity, 86:248-249. 

  21. Rho, Y.G., Pyon, C.K. (1977) Experimental studies on the seed collection of Anadara broughtonii (Schrenck). Bulletin of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Agency, 16: 135-149. [in Korean] 

  22. Rice, W.R. (1989) Analysing Tables of Statistical Tests. Evolution, 43: 223-225. 

  23. Shin, Y.K., Kim, B.H., Choi, N.J., Jung, C.K. and Park, M.W. (2008) Influence of Temperature, Salinity and Hypoxia on Survival and Metabolic Rate in the Ark Shell, Scapharca broughtonii.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24: 59-65. [in Korean] 

  24. Slate, J., Marshall, T.C. and Pemberton, J.M. (2000) A retrospective assessment of the accuracy of the paternity inference program CERVUS. Molecular Ecology, 9: 801-808. 

  25. Weir, B.S. and Cockerham, C.C. (1984) Estimating F-statics for the Analysis of Population Structure. Evolution, 38: 1358-1370. 

  26. Yoo, S.K. (2000) In: Shallow Sea Aquaculture. Gudeok Press, Busan, Korea. pp. 203.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