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쌀 생산체계에 대한 영농방법별 전과정평가: 관행농, 무농약, 유기농법별 탄소배출량 비교
Life Cylcle Assessment (LCA) on Rice Production Systems: Comparison of Greenhouse Gases (GHGs) Emission on Conventional, Without Agricultural Chemical and Organic Farming 원문보기

韓國土壤肥料學會誌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 fertilizer, v.45 no.6, 2012년, pp.1157 - 1163  

유종희 (국립농업과학원 농업환경부 기후변화생태과) ,  권영립 (전북농업기술원) ,  김건엽 (국립농업과학원 농업환경부 기후변화생태과) ,  이종식 (국립농업과학원 농업환경부 기후변화생태과) ,  김계훈 (서울시립대학교 환경원예학과) ,  소규호 (국립농업과학원 농업환경부 기후변화생태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2011년 전북 군산과 익산 지역의 관행농, 무농약, 유기농 농가를 대상으로 영농방법별로 쌀 생산 과정 중 투입 배출되는 물질 목록을 면접조사하여 전과정평가를 수행하고 쌀 생산체계에 대한 영농방법별 환경영향을 평가하고 탄소배출량을 비교 분석하였다. 전과정 목록분석 결과 $CO_2$ 배출은 화학비료 생산과 벼 재배단계에서 가장 많았고, $CH_4$$N_2O$ 배출은 대부분 벼 재배 중에 발생되었다. 쌀 (조곡) 1 kg 생산을 기준으로 하는 탄소성적은 관행농이 1.01E+00 $CO_2$-eq. $kg^{-1}$로 가장 높았고, 무농약이 5.37E-01 $CO_2$-eq. $kg^{-1}$, 유기농법이 6.58E-01 $CO_2$-eq. $kg^{-1}$였다. 농자재 투입량이 가장 적었던 무농약 쌀 생산에서 탄소성적이 가장 낮았고, 생산량은 가장 적었지만 복비투입이 없었던 유기농이 관행농보다 탄소성적이 낮았다. 관행농과 무농약 쌀 생산체계에서 온실가스 배출 주요 요인은 복비생산과 벼 재배 중 $CH_4$ 발생이었고, 유기농에서는 벼 재배 중 농기계 연료사용과 논토양 $CH_4$ 발생이었다. 그러므로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영농방법 활용으로 복합비료 적정량 사용을 위한 맞춤형 비료의 권장 및 벼논 물관리에 의한 메탄발생 저감방법 등을 제안하며, 더불어 유기농법에서는 수확량 향상을 위한 생산 효율성 증대와, 벼 재배 단계에서 농기계 연료 효율성 증대 활용에 관한 연구가 요구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performed a comparative life cycle assessment (LCA) among three rice production systems in order to analyze the difference of greenhouse gases (GHGs) emissions and environment impacts. Its life cycle inventory (LCI) database (DB) was established using data obtained from interview wi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연구 목적 및 범위 본 연구의 목적은 쌀 생산체계에 대한 탄소배출량 산정 및 전과정 영향평가로 정의하였다. 쌀의 기능은 식용 및 각종 식품제조의 원료이며, 기능 단위는 식품 및 식품제조의 원료용으로 사용되는 쌀 (조곡) l kg 생산으로 정의하였다.
  • ), 현재 우리나라 쌀 생산체계에 대한 영농방법별 환경성 비교 평가에 대한 연구는 없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북 군산 및 익산지역의 관행농, 무농약, 유기농 쌀 생산 농가를 대상으로 전과정평가를 수행하여 영농방법별 환경 영향을 평가하고 탄소배출량을 비교 분석하였다.

가설 설정

  • 가정 및 제한사항 본 연구에서 국립농업과학원에서 개발 중인 전과정평가법에 준하여 농기계 제조 및 시설 (육묘용 하우스 및 저장시설 등) 구축, 운송에 따른 환경부하는 고려하지 않고, 물리적인 투입·배출물만 정량화하였다. 비료포대 등 원부자재 포장에 대한 환경부하는 고려하지 않았고, 대상 시스템에서 발생한 부산물 (볏짚 등)은 기술계 (technosphere)로부터 투입된 물질들의 배출이 아닌 자연적인 물질순환의 일부로 시스템 내부에서 다시 분해된다고 가정하였다 (van Zeijts et al., 1999).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 친환경농산물 인증은 어떻게 규정되고 있는가? 친환경 농업 육성을 유도하는 정책과 더불어 삶의 질 향상으로 우리나라에서도 농산물 소비의 다양화와 고급화 추세가 진행되고 있다. 우리나라 친환경농산물 인증은 2007년부터 저농약, 무농약, 유기농산물의 3가지로 구분하고 있 으며, 어떤 경우라도 제초제는 사용하지 못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최근 국민경제 발전으로 웰빙 농산물의 수요 및 환경보전의 중요성 증대로 친환경농산물 인증면적이 2001년 5,000 ha에서 2009년 202,000 ha로 증가하였다 (NAPQMS, 2010).
친환경 벼농사에서 잡초관리는 무엇을 통해 활용되는가? 친환경농업에서 잡초관리는 인력제초에 의존할 수밖에 없어 이에 대한 대응 기술 개발이 필요하다. 친환경 벼농사에서의 잡초관리는 주로 오리, 왕우렁이, 쌀겨, 종이멀칭, EM당밀, 기계제초 등 생물 및 유기자원을 활용하고 있다. 친환경 재배방법 중 왕우렁이농법은 벼논에서 왕우렁이의 초식습성을 이용하여 제초효율을 높이는 재배방식이다 (Lee et al.
쌀 생산 과정에서 지구온난화범주 (GWP)에 대한 환경영향 기여도를 분석한 결과 어떻게 나타나는가? 전과정 영향평가 쌀 생산과 관련된 투입 ·배출물질 각각의 생산공정을 포함하는 전과정 영향평가하여 지구온난화범주 (GWP)에 대한 환경영향 기여도를 분석하였다. 관행농에서는 벼 재배 단계가 76%, 무기질비료생산 공정이 18%, 유기질 비료 3%, 보온덮개 2% 등 이었다. 무농약 농법에서 GWP에 대한 기여도는 벼 재배 단계가 73%, 비료 생산이 21%, 우렁이양식 5% 등 이었다. 유기농법의 GWP에 대한기여도 분석결과 벼 재배단계가 88%, 보온덮개 생산이 3%, 우렁이양식이 4% 에너지 생산이 1% 등 이었다. 그 외 환경 영향범주에 대한 기여도 경향은 관행농과 무농약이 유사한 경향을 보였는데, N2O에 영향을 받는 광화학적 산화물생성 (POCP) 범주는 벼 재배단계가 기여도가 가장 높았고, 다음은 비료생산이었다. 그 외 오존층파괴 (ODP), 산성화 (AP) 부영양화 (EP), 자원결핍 (ADP)에서는 복비생산의 환경영향 기여도가 가장 높았다. 복비 투입이 없었던 유기농의 경우 에너지생산과 농자재 생산 및 폐기물 처리에 대한 기여도가 높아지는 경향이 나타났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Basset-Mens, C., H.M.G. van der Werf, P. Robin, Th. Morvan, M. Hassouna, J.M. Paillat, and F. vertes. 2007. Methods and data for the environmental inventory of contrasting pig production system. J. Cleaner Prod. 15:1395-1405. 

  2. Bllengini, G.A. and M. Busto. 2009. The life cycle of rice; LCA of alternative agri-food chain management system in Vercelli (Italy). J. Environ. Manag. 90:1512-1522. 

  3. de Boer, I.J.M. 2003.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of conventional and organic milk production. Livestock Production Science 80:69-77. 

  4. Hokazono, S. and K. Hayashi. 2012. Variability in environmental impacts during conversion from conventional to organic farming: a comparison among three rice production systems in Japan. J. Cleaner Prod. 28:101-112. 

  5. ISO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1997. Environmental management-life cycle assessment-principles and framework. International Standard ISO 14040, ISO, Geneva 

  6. Jeong, H.C., G.Y. Kim, D.B. Lee, K.M. Shim, and K.K. Kang. 2011. Assessment of greenhpuse gases emission of agronomic sector between 1996 and 2006 IPCC guidelines. Korean J. Soil Sci. Fert. 44(6):1214-1219. 

  7. Jung, S.H., J.A. Park, J.H. Huh, and K.H. So. 2011. Estimation of greenhouse gas emission of complex fertilizers production system by using life cycle assessment. Korean. J. Soil. Sci. Fert. 44(2):256-262. 

  8. KWA (Korea Waste Association). 2007. Agricultural waste data. Korea Waste Association. Seoul, Korea. 

  9. Kwon, O.D., H.G. Park, K.N. An, Y. Lee, S.H. Shin, G.H. Shin, H.R. Shin, and Y.I. Kuk. 2010. Effect of various organic materials on weed control in environment-friendly rice paddy fields. Kor. J. Sci. 30(3):272-281. 

  10. Lee, S.B., M.H. Koh, Y.E. Na, and J.H. Kim. 2002. Physiological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apple snails. Korean J. Environ. Agri. 21(1):50-56. 

  11. Lee, S.G., Y.H. Lee, J.S. Kim, B.M. Lee, M.J. Kim, J.H. Shin, H.M. Kim, and D.H. Choi. 2005. Diseases and weeds occurrence and control in organic and conventional rice paddy field. Korean J. Org. Agri. 13(3): 291-300. 

  12. MIFAFF (Ministry for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es). 2004. A study on establishing effective management system for equipped agricultural input wastes. C2004-A1. Ministry for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es. Seoul, Korea. 

  13. MKE (Ministry of Knowledge Economy). Software program PASS v.4.1.3. 

  14. NAPQMS. (National agricultural product quality management service). 2010. Report of national agricultural products quality management service. Anyang, Korea. 

  15. Ryu, J.H., K.H. Kim, G.Y. Kim, K.H. So, and K.K. Kang. 2011. Application of LCA on lettuce cropping system by bottom-up methodology in protected cultivation. Korean J. Soil Sci. Fert. 44(6):1195-1206. 

  16. Ryu, J.H., K.H. Kim, K.H. So, G.Z. Lee, G.Y. Kim, and D.B. Lee. 2011. LCA on lettuce cropping system by top-down method in protected cultivation. Korean J. Soil Sci. Fert. 44(6):1185-1194. 

  17. So, K.H., J.A. Park, G.Z. Lee, K.M. Shim, J.H. Ryu, and K.A. Roh. 2010. Estimation of carbon emission and application of LCA (Life Cycle Assessment) from rice (Oryza sativa L.) production system. Korean J. Soil. Sci. 43(5): 716-721. 

  18. van Zeijts, H., H. Leheman, and A.W. Sleeswijk. 1999. Fitting fertilisation in LCA: allocation to carops in a cropping plan. J. Cleaner Prod. 7:69-7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