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문도서관 기준의 동향과 개정 방향 연구
Trend Analysis and Revision of the Special Library Standard in Korea 원문보기

정보관리연구 = Journal of information management, v.43 no.1, 2012년, pp.1 - 22  

김홍렬 (전주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문헌정보학)

초록

도서관 기준은 도서관의 사명과 목적, 이용자서비스, 운영관리 등에 대한 기본 방향을 제공하고, 도서관이 수행하는 각종 서비스와 프로그램을 측정 평가할 수 있는 준거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도서관이 중장기 계획을 수립하고, 목표수준을 설정할 때, 근거자료가 될 수 있다. 국내에서도 관종별 도서관 기준이나 법적인 기준을 마련하여 이의 활동을 위한 도구로 활용하고 있다. 그러나 한국도서관기준은 오랜기간 동안 개정되지 못하여 현재의 도서관 환경을 반영하기 어려우며, 법적인 기준도 그 내용이 매우 미미하여 최소한의 기준으로도 작동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주요국가의 전문도서관 기준과 국내의 관련 기준들을 분석하여 현재의 도서관 환경을 반영할 수 있는 직원, 장서, 시설 기준의 개정방향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tandard of library is to provide the mission and goals, user services, and operations management of the library. Also, it is can be used as a tool that evaluate a various services and programs of the library. However, library standard of domestic does not reflect a realistic situation of speci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1950년 도서관법이 제정된 이래 정규적인 도서관 기준이 별도로 만들어지지 못하다가 2001년 7월 18일에 도서관법제 18조에 따라 공립도서관의 설치 및 운영에 대한 기준 이 고시되었다. 그 후 2009년 6월에 도서관법 개정에 따라 기준 적용의 대상을 기업, 조직, 단체 등의 사립도서관으로까지 확대하였고, 도서관운영에 대한 평가 및 개선을 병행하여 지역주민에 대한 정보서비스의 질적 수준을 높이고자 하였다.
  • 특히 준사서를 비사서직과 동일하게 적용하고 있는 것은 전문성의 측면에서 보면 무리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정규직과 비정규직을 별도로 구분하지 않으며, 정사서와 준사서를 구분하지 않고 모두 사서직원으로 통칭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다만, 기본 사서직원 가운데 60% 이상을 2급 정사서 이상의 자격을 소지한 정규직으로 확보해야 함을 명시하고자 한다.
  • 전문도서관 관련 가장 최근의 기준인 2007년도 과학기술 정보관리협의회의 기준은 100인 이하에서 100종을 기본자료 수로 하고 봉사대상자 수 각 영역별로 100~200종씩 증가하는 기준을 설계하였다. 본 연구에는 과학기술정보관리협의회의 기준과 2008년도 연속간행물 통계현황을 근거로 해서 봉사대상자 수 100명 미만일 경우 연속간행물을 300종으로 설정하고자 하였다. 과정협의 기준인 100종은 전문도서관 현황을 고려해 볼 때 너무 적은 종수이고, 2003년판 기준인 500종은 너무 과하기 때문에 2008년도 현황에서 100명의 봉사대상자 수에 해당하는 평균 종수는 약 300종을 고려하여 책정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현재 독자적으로 전문도서관 기준을 제시하고 있는 국가를 중심으로 전문도서관 기준을 살펴보고자 한다. 먼저 호주의 전문도서관 기준을 살펴보면, 호주의 전문도서관 기준은 1993년 호주도서관정보협회(Australian Library and Information Association: ALIA) 가 제정한 “Guidelines for Australian Special Libraries"이다(ALIA 1993).
  • 따라서 전문도서관의 보편적인 합의를 도출할 수 있고 전문도서관의 새로운 정보환경을 반영한 기준을 개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기존의 다양한 전문도서관 기준들을 분석하여 현재의 정보환경을 반영할 수 있는 새로운 도서관 기준의 개정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의 결과는 전문도서관의 핵심요소인 직원, 자료, 시설, 예산을 중심으로 타당성을 가질 수 있는 논리적 근거를 마련하여 전문도서관 기준의 개정 방향을 제시함으로써 한국도서관기준의 개정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국내에서 제․개정된 전문도서관의 관련 기준은 도서관법시행령에 제시된 법적기준과 2003년판 한국도서관기준이 있으나, 기준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데 많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문도서관 통계현황을 활용하여 현행 전문도서관 기준의 한계를 제시하고 새로운 도서관 기준의 가능성과 개정방향을 제시한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권장기준은 어떠한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제정되었나? 권장기준은 기존의 법적인 기준들이 가지고 있는 현실적인 한계를 넘어 전문도서관의 기능과 목적을 실질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지침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하여 1981년 한국도서관협회에서 처음으로 제정되었다. 도서관 기준은 도서관 환경변화에 적절히 대응하고 도서관경영의 지표로서의 실질적인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주기로 개정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여러 가지 사정으로 그러지 못하였다.
국내 전문도서관에 대한 기준은 무엇이 있나? 국내 전문도서관에 대한 기준으로는 법적인 기준인 도서관법시행령 에 제시된 기준과 한국도서관협회에서 제시한 한국도서관기준 (한국도서관협회 도서관기준작성위원회 2003), 그리고 과학기술정보관리협의회가 제시한 전문도서관의 사서 수 및 도서관규모 기준 (과학기술정보관리협의회 2007) 등의 권장기준이 있다. 또한 문화관광부에서 제시한 전문도서관 운영 평가지표 (문화관광부 도서관정보정책기획단 2007)도 이들 기준들과 유사한 측면이 있다.
모든 기관에 일률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전문도서관 기준을 개발하기가 어려운 이유는? 한국도서관연감(2009)에 수록된 전문도서관은 전부 589개관으로서 중앙행정기관, 정부출연기관, 지방자치단체, 민간단체, 기업체 등등 다양한 모체기관에 소속되어 있고 그 규모도 매우 다양하다. 따라서 이들 모든 기관에 일률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전문도서관 기준을 개발하기는 대단히 어려운 일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과학기술정보관리협의회. 2007. 전문도서관 사서수 및 도서관 규모 기준. 대전: 동협의회. 

  2. 문화관광부 도서관정보정책기획단. 2007. 전문도서관 평가지표 개발: 경영, 인력, 시설,자료, 서비스 영역별 평가지표 개발. 서울: 문화관광부. 

  3. 문화체육관광부 도서관정보정책기획단. 2008. 국가도서관통계시스템: 전문도서관 통계현황. . 

  4. 윤희윤. 2011. 대학도서관 기준의 동향분석과 개정안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2(2): 5-28. 

  5. 한국도서관협회 도서관기준작성위원회. 2003. 한국도서관기준 . 서울: 한국도서관협회. 

  6. 홍명자. 2006. 법학전문대학원 법학전문도서관의 기준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37(2): 345-373. 

  7. ?門?書館協議?. 2009. "私立?書館の設置及び運?上望ましい基準案." [인용 2011. 9. 12]. 

  8. Australian Library and Information Association. 1993. "Guidelines for Special Libraries."[cited 2011. 9. 11]. . 

  9. Cowgill, Logan O. and Havlik, Robert J. 1972. "Standards for Special Libraries." Special Libraries, 63: 249-260. 

  10. Carnovsky, Leon. 1959. "Standards for Special Libraries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The library Quarterly, 29(3): 168-173. 

  11. International Federation of Libary Associations & Institutions. 2008. "Guidelines for Libraries of Government Department." [cited 2011. 9. 12]. . 

  12. SLA. 2003. "Competencies for Special Librarians : Competencies for Special Librarians of the 21st Century." [cited 20119. 11]. .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