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허브 식물 4종의 1,1-Diphenyl-2-Picrylhydrazyl 라디칼 소거능, 세포 독성 및 tyrosinase 저해활성 검정
Evaluation of 1,1-Diphenyl-2-Picrylhydrazyl Radical Scavenging Effect, Cytotoxicity and Tyrosinase Inhibition Activities in 4 Species of Herb Plants 원문보기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v.55 no.4, 2012년, pp.201 - 205  

박혜원 (College of Bio-resource Sciences, Dankook University) ,  장가희 (College of Bio-resource Sciences, Dankook University) ,  (Department of Agronomy, Bahauddin zsakariya University) ,  이동진 (College of Bio-resource Sciences, Dankook Universit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4종의 허브 식물의 부위별 MeOH 추출물에 대한 DPPH 라디칼 소거능, 세포독성 그리고 tyrosinase 저해활성을 검정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yarrow의 지상부와 뿌리 추출물에서 총 폴리페놀 함량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가장 높았을 뿐만 아니라 yarrow의 지상부에서는 높은 DPPH 라디칼 소거능을 확인하였다. HeLa (uterus), SK-Hep-1 (liver), YD-15 (oral) 세포주를 이용하여 세포독성을 확인한 결과, feverfew의 지상부에서 가장 높은 세포독성을 보였으며 $102.58-138.68{\mu}g/mL$$IC_{50}$값을 확인하였다. 또한, mallow의 뿌리 추출물($71.24{\mu}g/mL$)에서는 대조구로 사용한 arbutin ($69.56{\mu}g/mL$)과 비교하여 tyrosinase 저해 활성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of the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radical scavenging effect, cytotoxicity and tyrosinase inhibition activities using methanol extracts from different parts of four herb plants. The results showed that whole and root extracts of yarrow the highes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허브(Herb) feverfew 등 4종의 부위별 메탄올 추출물에 대한 항산화, 항암 및 Tyrosinase 저해활성을 검정하여 생리활성 및 약리효과에 대한 기초자료로 사용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4종의 허브 식물의 부위별 MeOH 추출물에 대한 DPPH 라디칼 소거능, 세포독성 그리고 tyrosinase 저해활성을 검정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yarrow의 지상부와 뿌리 추출물에서 총 폴리페놀 함량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가장 높았을 뿐만 아니라 yarrow의 지상부에서는 높은 DPPH 라디칼 소거능을 확인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허브식물의 생리적 기능은? 최근 우리 생활에 널리 이용되고 있는 허브(Herb)는 라틴어의 herba에서 비롯된 ‘풀’이라는 뜻이지만 향기와 풍미가 독특하고 현대에 와서는 줄기, 잎, 꽃, 뿌리 등의 부위가 인간에게 유용하게 이용되는 식물의 총칭으로 쓰이고 있으며 항산화작용, 항균작용, 방부성 등의 다양한 생리적 기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Ryoo와 Cha, 1998; Lee 등, 2005). 허브(Herb)는 저마다의 각기 다른 향과 효능을 가지고 있으며 spearmint, marjoram, sweet basil, rosemary 및 sage 추출물에서 강한 항산화 활성을 보였고 oregano, rosehip, 박하, 고수 등에서도 높은 항산화 활성 및 항균활성을 나타내었으며 lemon vervena와 chamomile에서도 다양한 항산화 활성 체계 및 세포 주를 이용한 세포성장 억제 효과에서 높은 활성을 나타낸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Kim 등, 2001; Yoo 등, 2005; Jang, 2006; Su 등,2007).
활성산소종은 체내에서 어떤 반응에 의해 생성되는가? 향상된 소득수준에 따른 식생활 변화와 환경조건의 변화로부터 다양한 공해물질에 대한 접촉을 피할 수 없는 현대인은 체내에서 free radical 반응에 의해 생성되는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이 체내에 축적될 기회가 많을 뿐만 아니라 이러한 활성산소종에 의해 DNA가 손상되거나 성인병 또는 암을 유발하기도 하며 인간의 노화와도 관계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Chung과 Noh, 2000; Kim 등, 2004; Yoo 등, 2005; Katalinic et al., 2006; Cho 등, 2007).
활성산소종이 유발하는 질병은? 향상된 소득수준에 따른 식생활 변화와 환경조건의 변화로부터 다양한 공해물질에 대한 접촉을 피할 수 없는 현대인은 체내에서 free radical 반응에 의해 생성되는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이 체내에 축적될 기회가 많을 뿐만 아니라 이러한 활성산소종에 의해 DNA가 손상되거나 성인병 또는 암을 유발하기도 하며 인간의 노화와도 관계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Chung과 Noh, 2000; Kim 등, 2004; Yoo 등, 2005; Katalinic et al., 2006; Cho 등, 200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Branen AL (1975) Toxicology and biochemistry of butylated hydroxyanisole and butylated hydroxytoluene. JAOCS 52, 59-63. 

  2. Cho YJ, Ju IS, Kim BC, Lee WS, Kim MJ, Lee BG et al. (2007) Biological activity of Omija (Schizandra cinensis Baillon) extracts. J Korean Soc Appl Biol Chem 50, 198-203. 

  3. Choi HR (2001) Antimicrobial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korean and western herbs. MS Thesis, Seoul Women's Univ., Korea. 

  4. Choi IY, Song YJ, and Lee WH (2010) DPPH radical scavenging effect and atimicrobial activities of some herbal extracts. Korean J Hort Sci Technol 28, 871-76. 

  5. Chung HJ and Noh KL (2000) Screening of electron donating ability, antibacterial activity and nitrite Scavenging effect of some herbal extracts. Korean J Soc Food Sci 16, 372-7. 

  6. Chung HY and Kim HB (2000) In vitro studies on the superoxide scavenging activities, the cytotoxic and the immunomodulating effects of thirteen kinds of herbal extracts. Korea J Food Sci Technol 32, 699-705. 

  7. Erkan N, Ayraci G, and Ayranci E (2008) Antioxidant activities of rosemary (Rosmarinus Officinalis L.) extract, blackseed (Nigella sativa L.) essential oil, carnosic acid, rosmarinic acid and sesamol. Food Chem 110, 76?82. 

  8. Iwata M, Corn T, Iwata S, Everett MA, and Fuller BB (1990) The relationship between tyrosinase activity and skin color in human foreskins. J Invest Dermatol 95, 9-15. 

  9. Jang JH (2006) Antioxidant activities and antiproliferative effects of various natural herb extracts. Ph.D. Thesis, Seoul National Univ., Korea. 

  10. Jo DH, Min KJ, and Cha CG (2007) The antioxidant and antitumor effects of the extract of Bulnesia sarmientia. J FD Hyg Safety 22, 120-6. 

  11. Katalinic V, Milos M, Kulisic T, and Jukic M (2006) Screening of 70 medicinal plant extracts for antioxidant capacity and total phenols. Food Chem 94, 550-7. 

  12. Kim EY, Baik IH, Kim JH, Kim SR, and Rhyu MR (2004) Screening of the antioxidant activity of some medicinal pla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333-8. 

  13. Kim YD, Kang SK, and Choi OJ (2001) Antimicrobial activity of coriander (Coriandrum sativum L.) extract.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 692-6. 

  14. Kwak JH, Seo UK, and Han YH (2001) Inhibitory effect of mugwort extracts on tyrosinase activity. Korean J Biotechnol Bioeng 16, 220-3. 

  15. Lee SE, Hwang HJ, Ha JS, Jeong HS, and Kim JH (2003) Screening of medicinal plant extracts for antioxidant activity. Life Sci 73, 167-79. 

  16. Lee SH, Kim JK, Kim SW, Kim YW, Choi YH, and Kwon JH (2005) Evaluation of functional properties of the traditional herbs in Korea. Food Eng Prog 9, 249-61. 

  17. Rim YS, Park YM, Park MS, Kim KY, Kim MJ, and Choi YH (2000) Screening of antioxidants and antimicrobial activity in native plants. Korean J Med Crop Sci 8, 324-50. 

  18. Ryoo JW and Cha BC (1998) Mineral content and antioxidative activity in some herb plants. Korean J Med Crop Sci 6, 28-32. 

  19. Shen Y, Jin L, Xiao P, Lu Y, and Bao J (2009) Total phenolics, flavonoids, antioxidant capacity in rice grain and their relations to grain color, size and weight. J Cereal Sci 49, 106-11. 

  20. Su L, Yin JJ, Charles D, Zhou K, Moore J, and Yu L (2007) Total phenolic contents, chelating capacities, and radical-scavenging properties of black peppercorn, nutmeg, rosehip, cinnamon and oregano leaf. Food Chem 100, 990-7. 

  21. Yang MJ, Lim SJ, Ahn HS, Kim MA, and Ahn RM (1999) Inhibitory effects of chestnut bark extracts on tyrosinase activity and melanin biosynthesis. Korean J Env Hlth Soc 25, 37-43. 

  22. Yoo MY, Jung YJ, and Yang JY (2005) Antimicrobial activity of herb extra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1130-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