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지오이드 모델 구축 및 정밀도 검증
Development of Korean Geoid Model and Verification of its Precision 원문보기

한국측량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v.30 no.5, 2012년, pp.493 - 500  

이지선 (서울시립대학교 공간정보공학과) ,  권재현 (서울시립대학교 공간정보공학과) ,  백경민 (서울시립대학교 공간정보공학과) ,  문지영 (국토지리정보원 측지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2000년대 초반까지 우리나라 지오이드 모델의 정밀도는 지상 중력 자료 및 GPS/Leveling 자료의 낮은 분포 및 정밀도로 인해 약 14cm 수준에 머물렀다. 그러나 2007년 이후 높은 정밀도와 고른 분포를 나타내는 새로운 지상 및 항공 중력 자료, GPS/Leveling 자료가 획득됨에 따라 지오이드 모델의 정밀도를 향상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되었으며, 2011년 초반에 발표된 중력 지오이드 모델의 정밀도는 약 5.29cm로 기존 모델에 비해 약 27% 향상되었다. 2010년 이후에도 많은 중력 자료가 통합기준점, 수준점 및 삼각점에서 획득되었고, 특히 2010년 통합기준점 구축 사업이 완료됨에 따라 우리나라 전역에서 약 10km의 간격을 나타내는 GPS/Leveling 자료가 구축되어 보다 정밀한 지오이드 모델의 구축 및 검증이 가능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2012년 현재 우리나라에서 가용한 지상, 항공, 위성고도계 중력 자료를 기반으로 하여 중력지오이드 모델을 구축하였다. 그 결과 우리나라 전역에서 중력 지오이드 모델은 18.05m부터 32.70m의 범위의 값을 나타내며, 정밀도는 약 5.76cm로 산출되었다. 또한, 중력 지오이드 모델과 GPS/Leveling 자료를 융합하여 구축한 합성 지오이드 모델의 적합도 및 정밀도는 각각 3.60cm와 4.06cm로 계산되었다. 마지막으로 건설현장 등에서 합성 지오이드 모델을 활용할 수 있는지 검증하기 위하여 15km 기선거리에 대한 상대 정밀도를 계산한 결과 약 3.35cm로 나타났다. 상대 정밀도가 낮게 나타나는 이유는 강원도 및 동해안, 서 남해안 등에서 우리나라 수직기준체계간의 불일치로 인해 지역적인 편이가 존재하며, 일부 내륙에서도 주변 성과와의 일관성 저하문제가 나타나는 점들이 있기 때문으로 향후 통합기준점 성과에 대한 신뢰도 검증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revious geoid model developed in early 2000s shows 14cm level of precision due to the problems on distribution, and quality of the land gravity and GPS/Leveling data. From 2007, the new land and airborne gravity data as well as GPS/Leveling data having high quality and regular distribution ha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지오이드 모델의 정밀도 검증 및 지역적인 수직기준체계와 부합하는 합성 지오이드 모델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신뢰할 수 있는 GPS/Leveling 자료 역시 필요하다. 본 장에서는 우리나라의 지오이드 모델을 구축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중력 및 GPS/Leveling 자료의 현황을 2012년 현재 시점에서 파악하고, 자료별 장/단점에 대하여 정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중력지오이드 모델의 계산 과정 네 단계는 무엇인가? 중력지오이드 모델의 계산 과정은 1) 장파장 및 단파장 효과 제거, 2) 항공 중력 자료의 하향연속, 3) 잔여지오이드고 계산, 4) 장파장 및 단파장 효과 복원의 네 단계로 구성되며, 합성 지오이드 모델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중력지오이드와 지역적인 GPS/Leveling 자료를 융합하는 과정이 추가된다.
2011년에 발표된 중력 지오이드 모델의 정밀도와 비교했을 때, 본 논문에서 구축한 지오이드 모델의 정밀도가 더 낮게 나타난 이유는 무엇인가? 65cm로 본 논문에서 새롭게 구축한 지오이드 모델의 정밀도가 더 낮게 나타난다. 이는 2011년에 지오이드 모델의 정밀도를 검증할 때는 경기 북부 및 강원도 산악지역에서의 GPS/Leveling 자료에 대한 최종 성과가 도출되기 이전으로 산악 지역에서의 일부 GPS/Leveling 자료 만을 기반으로 정밀도를 산정하였기 때문이다. 그러나 2010년까지 구축이 완료된 통합기준점 GPS/Leveling 성과를 이용하여 산악지역에서의 정밀도를 객관적으로 재평가한 결과, 정밀도는 약 7.
절대적인 정밀도와 상대적인 정밀도란 각각 무엇인가? 중력 및 합성 지오이드 모델의 정밀도는 GPS/Leveling 자료와 비교하여 검증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때, 비교 방법에 따라 절대적인 정밀도와 상대적인 정밀도로 나눌수 있는데, 절대적인 정밀도란 중력 또는 합성 지오이드 모델을 GPS/Leveling 자료와 직접 비교하여 그 차이를 기반으로 산출한 통계량을 의미하고, 상대적인 정밀도란 지오이드 모델과 GPS/Leveling 자료와의 차이를 기선 길이에 따라 비교하는 것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서 상대적인 정밀도란 일정 거리에 대해 지오이드 모델과 GPS/Leveling 자료의 차이를 계산한 후 산출한 RMS(Root Mean Square)값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9)

  1. 국립해양조사원(2011), 국가해양기본조사 통합자료 분석 및 도면제작 완료보고서, 국립해양조사원. 

  2. 국토지리정보원(2011), 국가 수직기준체계 수립을 위한 연구 연구보고서, 국토지리정보원. 

  3. 국토해양부(2010), 국가기준망 관리혁신 기술개발 완료 보고서, 건설교통기술연구개발사업 지능형국토정보기술혁신사업 R&D / 07국토정보C02, 한국건설교통기술평가원. 

  4. 윤홍식, 이동하(2005), Least Square Collocation에 의한 GPS/Leveling의 정확도 개선, 한국측량학회지, 한국측량학회, 제 32권, 4호, pp. 385-392. 

  5. 이석배(2000), 중력학적 방법 및 위성측지 방법에 의한 지오이드 모델링에 관한 연구, 한국측량학회지, 한국측량 학회, 제18권, 4호, pp. 359-367. 

  6. 이지선, 권재현, 이보미, 홍창기(2009), 항공중력측정에 의한 프리에어 이상 산출, 한국측량학회지, 한국측량학회, 제 27권, 2호, pp. 139-147. 

  7. 이지선, 권재현, 금영민, 문지영(2011), 최신 중력 자료의 획득을 통한 우리나라 지오이드 모델 업데이트, 한국측량학회지, 한국측량학회, 제29권, 1호, pp. 531-537. 

  8. 해양수산부(2005), 정밀 지오이드 모델 구축에 관한 연구, 해양한국발전프로그램(KSGP) 연구개발사업 연구보고서, 부산대학교SG연구사업단. 

  9. Anderson, O.B., Knudsen, P., Berry, P., Kenyon, S. (2008), The DNSC08 global gravity anomaly field, EGU 2008 meeting.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