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년 기혼 남녀의 전통 가족 의례와 제도에 대한 인식을 통해서 본 현대 한국 가족의 변화
Traditional Family Rites and Family Systems in Contemporary Korean Families From Middle-Aged Koreans' Perspectives 원문보기

한국가정관리학회지 =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v.30 no.6 = no.120, 2012년, pp.103 - 114  

성미애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가정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changes in Korean family structures by reflecting on the perception of traditional family rites and family system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7 married middle-aged men (9) and women (8) who had at least one child.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both ma...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가정생활에서 의례와 제도가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가정생활에서 의례와 제도는 삶의 가치관이 그대로 재현되는 부분으로, 현재 우리들이 어떤 지향점을 가지고 살아가는지를 보여주는 결정체이기 때문에 중요하다. 특히 가족에서 이루어지는 의례 및 제도는 일상적인 상호작용에서 반복적으로 재현되는 부분이기 때문에, 의례 및 제도에 대해 가족 구성원들이 상이하게 인식하고 가치를 부여한다면 한 가족이라고 해도 갈등을 유발할 수 있다.
한국 가족의 외면과 내면적인 특성은 무엇인가? 특히 한국 가족은 외면적으로는 부계가족의 원리가 약화되고 부부중심의 핵가족 이념이 강화되는 특성을 보이고 있지만, 그 내면에서는 보다 복잡한 원리로 진행되어 일관된 한 가지 원리가 적용되지 않는다는 특성을 보인다(Sung, 2006; Ok et al., 2000; Chang, 1994 등).
현대 한국 가족의 변화 방향을 예측하기 위해 분석하고자 하는 내용은 무엇인가?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에서는 조선 후기 부계 가부장제 가족의 특성을 보이는 대표적인 의례 및 제도인 제사, 가족 범위, 장자우대상속, 족보, 항렬자 사용(Park & Hong, 2012, 19-24) 등을 중심으로, 중년 기혼 남녀들이 이들 가족 의례 및 제도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가치를 부여하고 있으며, 어떻게 규정하고 있는지 심층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Braun, V., & Clarke, V.(2006). Using thematic analysis in psychology. Qualitative Research in Psychology, 3, 77-101. 

  2. Chang, K. S.(1994). Family and political life. In Families and Korean society. Korean Social Research Society for Women (ed.). Seoul: Kyungmunsa. 

  3. Cho, Y. H.(1999). Qualitative research. Seoul: Gyoukgoahaksa. 

  4. Civil Law. Republic of Korea Law (2005, last amendment in 2012) Retrieved from http://www.law.go.kr/LSW/lsSc.do?mouseY0&menuId0&p1&subMenu1&searchChk2&lawSearchNameLicLs%2C0&query%EB%AF%BC%EB%B2%95#liBgcolor2. 

  5. Han, G. & Yoon, S.(2004). The bilateralization of the kinship relation in Korean Families: Focused on the intergenerational exchange. Korean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27(2), 177-203. 

  6. Keum, C.(1986). Philosophical basis and religious meaning of ancestor worship in confucianism. Journal of Korean Cultural Anthropology, 18(1), 73-78. 

  7. Kim, G.(1995).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family concept and value. Family and Culture 7, 213-255. 

  8. Lee, G.(1988). A study on the continuity and change in Korean kinship relations -based on urban middle class nuclear family. Yonsei University Doctoral dissertation. 

  9. Lee, H. J.(1990). Korean family. Seoul: Kkachi. 

  10. Lee, J.(1999). Modern transformation of Korean family: Feminist analysis. Journal of Korean Women's Studies, 15(2), 55-86. 

  11. Lee, J. & Kim, M.(2001). A study on the consciousness of inheritance among married people of the middle aged and the elderly.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19(4), 151-165. 

  12. Lee, K. G.(1986). Structural analysis on Korean family. Seoul: Ilgisa. 

  13. Lee, K.(1999). A study on the ancestral ritual in Korean society. Folkloristic Studies, 9, 143-167. 

  14. Moon, O.(2007). Ancestor rites, lineage ideology and gender in modern Korea. Journal of Korean Cultural Anthropology, 40(2), 287-319. 

  15. Ok, S.(1989). A study on familism in comtemporary Korean famil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Doctoral Dissertation. 

  16. Ok, S. & Chin, M.(2011). Generational comparisons of family values and family life culture.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49(4), 67-76. 

  17. Ok, S.. Kim, J., Park, H., Shin, H. & Han, G.(2000a). Disintegration and reconstruction of the family/kinship structure among the families in the Seoul area report. Seoul: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18. Ok, S., Sung, M. & Shin, K.(2000b). A study on the family and kinship value in urban and rural families of Korea.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38(9), 1-17. 

  19. Park, H. & Hong, H.(2012). The history of Korean family life. Seoul: 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 Press. 

  20. Rhee, K.(1999). A study on the change of ceremonies of marriage and ancestor worship since liberation in Korea. Korean Journal of Family Social Work, 24(4), 153-187. 

  21. Sung, M.(2006). Bilateralization phenomena in Korean families: A qualitative approach.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24(3), 59-72. 

  22. Sung, M.(2009). A study on families and kinship concepts in Korea: A focus on family related laws.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47(4), 11-24. 

  23. Wolf, M.(1972). Women and the family in rural Taiwan. Stanford: Stanford University Press. 

  24. Yoo, G. & Yoo, Y.(2002). A survey on the family concepts and values among the citizens of Seoul.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40(5), 79-9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