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부지역 대학생들의 자아존중감과 정신건강간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Mental Health of College Student in Some Region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3 no.1, 2012년, pp.274 - 283  

유은영 (광주보건대학 보건행정과) ,  윤치근 (원광대학교 보건행정학과) ,  양유정 (초당대학교 의약관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대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정신건강과의 관계를 파악하여 대학생활에서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고 건전한 정신건강을 유지 향상시킬 수 있도록 효과적인 교육 및 상담 활동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G시에 소재한 2개 종합대학, 3개 전문대학 재학생을 대상으로 2010년 10월 2일부터 12월 2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468부를 최종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일반적 특성과 인지적 자아, 평가적 자아 및 자아존중감 간의 관계에서는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일반적 특성과 정신건강과의 관계에서는 경제상태, 입학동기, 학과 만족도, 교우관계, 건강상태에서 정신건강 하위영역과 유의한 결과를 보이고 있다. 셋째, 인지적 자아, 평가적 자아 및 자아존중감 간에는 순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인지적 자아, 평가적 자아 및 자아존중감은 강박증, 적대감, 대인예민, 신체화, 불안, 편집증, 정신증에서 역상관관계가 있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결과를 기초로 하여 대학생들의 자아존중감을 증진시키고 정신건강을 완화할 수 있는 정규적인 건강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이 요구되며, 그에 따른 효과를 검증할 수 있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mental health of college students. The data collected is to be utilized to promote effect methods of education and consultation that will improve the self-esteem and mental health of college students. There were a total of 468 questio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대학생의 평가적자아와 인지적자아 모두 포함하는 자아존중감과 정신건강과의 관계를 파악하여 대학생활에서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고 건전한 정신건강을 유지 향상시킬 수 있도록 효과적인 교육 및 상담 활동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 본 조사 대상 대학생의 정신건강과 자아존중감과의 관계를 분석하여, 대학생활에서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고 건전한 정신건강을 유지 향상시킬 수 있도록 효과적인 교육 및 상담 활동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평가적 자아, 인지적 자아 및 자아존중감 간의 관계에서는 유의하지 않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아존중감은 무엇인가? 자아존중감은 한 개인이 자신에 대해 긍정적으로 지각하고 있는 정도를 의미한다. 자신을 중요하다고 생각하거나 성공적이고 가치 있다고 느끼는 정도로서 개인의 환경과 의미 있는 타인들, 즉 가족, 동료, 친구들의 태도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다[5].
자아존중감은 어떻게 구분되며, 그에 대하여 각각 설명하시오. 자신을 중요하다고 생각하거나 성공적이고 가치 있다고 느끼는 정도로서 개인의 환경과 의미 있는 타인들, 즉 가족, 동료, 친구들의 태도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다[5]. 자아존중감은 인지적요소와 평가적요소로 구분되는 데 인지적자아는 주로 개인이 사회에서 담당하고 있는 역할에 관한 것이며, 평가적 자아는 자기자신을 평가적 기준으로 파악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인지적자아는 인간의 행동종류를 설명하고 평가적자아는 인간행동의 질을 설명하는데 도움이 된다[6].
정신적 건강함과 자이정체감(identity) 확립이 대학생 시기의 궁극적인 과제임을 뒷받침할 근거는 무엇인가? 낮은 자아존중감을 가진 사람은 높은 자아존중감을 가진 사람보다 정신건강의 심리적 징후가 8배나 된다고 하였다[10]. 즉, 자아존중감은 정신건강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으며[11], 삶의 만족, 행복, 의욕, 긍정적인 감정과 정적 상관관계가 있고, 우울, 불안, 스트레스, 부정적 감정과는 부적 상관관계가 있다고 보고되었다[12]. 따라서 정신적 건강함과 자이정체감(identity) 확립은 대학생 시기의 궁극적인 과제이며, 이 시기의 성취에 따라 향후 전문 직업인으로서의 자기 주체성을 확립하게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Kim, SY, Cha, BJ, Park, JY & Kam, S, "Relationship between Mental health and Social Support of Junior College Students", The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8(2), pp. 277-291, 1995. 

  2. Suk, MH & Park, JW, "A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stress, self respect & stress response in high school students", Korea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11(2), pp. 556-565, 2000. 

  3. Choi, MS, "A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mental health of high school students", Kong- ju National graduate school for Counseling Psychology, 1994. 

  4. Kim. EJ, "A Correlational study of the self-esteem and the professional self-concept of students of college of nursing", The New Medical Journal, 40(11), pp. 68-74, 1997. 

  5. Rosenberg, M.,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65. 

  6. Chun, BJ, "A study on The self-concept", Humanities, 29, pp. 103-127, 1972. 

  7. Kim, SR, "A Study on the nursing college students' self-concepts and academic achievement", Red cross college of nursing, 14(1), pp. 1-43, 1992. 

  8. Troll, L. E. & Skaff, M. M., "Perceived continuity of self in very old age", Psychology and Aging, 12, pp. 162-169, 1997. 

  9. Cheng, H. & Fumham, A., "Personality, self- esteem and demographic of happiness and depress and.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34, pp. 921-942, 2004. 

  10. Kim. HS, "Effects of Self-Esteem and Academic Achievement on Mental Health of High School Students", Gyeongsang graduate school for Education Psychology, 1996. 

  11. Hong, JW, "The effect of self-esteem and social support on the mental health of the elderly", Ewha Women's graduate school for Health Education, 1999. 

  12. Reitzes, D.C., et al., "Preretirement Influence on Postretirement Self- Esteem", Journal of Gerontology, 51B(5), pp. 242-249, 1996. 

  13. Rim, EH, "A study on the relations of self-concept and school achievement to mental health", Sookmyung Women's graduate school for Education Psychology, 1997. 

  14. Lee, MH, "Effects of Human Potential Seminar on the Mental Health and Self-Concept Among Juvenile Delinquents",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9(1), pp. 19, 2000. 

  15. Um, MR,"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Actualization and Mental Health of Nursing Students", Seoul National University graduate school for Nursing, 1993. 

  16. Yang, SH,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oncept and the Mental Health of Nursing Students in Junior College in Some Area",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10(3), pp. 376-390, 2001. 

  17. Choi, JH, " Perceptual Psychology", Eulyoo Publishing, 1971. 

  18. Rosenberg, M., "Society and personality", New York: Harper & Row, 1965. 

  19. Kim, KI, Won. HT, Lee JH & Kim KY, "Standardization Study of Symptom Check List-90 in Korea I", Korean Neuro Psychiatric Association, 17(4), pp. 449-458, 1978. 

  20. Lee, HG, "External-Internal Control proneness of the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Korean", The Study of student Life, Chungbuk University Students Life Research Center. 5, pp. 30-55, 1986. 

  21. An, HJ & Chung, BY, "Self-Esteem and Social Anxiety of Nursing Student",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2(2), pp. 224-228, 2006. 

  22. Kang, JH & Yang, SH, "A Correlation Study on the Self-Concept and Views on Nursing Profession of Nursing Students", The New Medical Journal, 42(8), pp. 39-51, 1999. 

  23. Ham, YH & Kim. SN, "The study of situational anxiety and self-esteem of nursing students in pre-clinical practice", Kyongbuk Science University journal, 8, pp. 45-54, 2001. 

  24. Kim. DH & Hwang, GE,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evel of Self-Esteem, Life Satisfaction and Health Status of Rural and Urban Elderly people",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21, pp. 95-12, 1998. 

  25. Moon, HC & Kim. JO, "Human relationship and mental health of freshmen university" Seoul Institute for Psychoanalysis and Psychotherapy, 31(1), pp. 55-71, 1996. 

  26. Choi, SM, "A comparative study on the college adjustment and mental health of the university students of Korea and China", Yonsei graduate school for Education, 1999. 

  27. Erwin P., "Friendship in childhood and adolescence". New York Routledge, 1998. 

  28. Newcomb A.F. & Bagewell C.L, " The developmental significance of children's friendship relations. In The Company They Keep. Bukowski WM, Newcomb AF, Hartup WW(Eds)",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pp. 289-321, 1996. 

  29. Yu, JH & Lee, MH, "A Study on the Mental Health of '2002 Freshmen", Hanyang University, Journal of Student Guidance Research, 20, pp. 121-142, 2002. 

  30. Park, GJ & Lee, CH, "An Analysis of Various Factors Influencing on Mental Health", Hyosung Women's University, Journal of student guidance, 9, 1991. 

  31. Choi, EY & Choi, IR," A Study on the Relation Between Self Esteem and Mental Health in Middle School Students", The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15(1), pp. 63-72, 2002. 

  32. Coopersmith, S., "The Antecedent of Self -Esteem San Francisco : Freeman: 1967. 

  33. Kaplan, B.H., " Deviant behavior in defense of self". New York : Academic Press: 1980. 

  34. Kim. CD, Oh .GO & Kim. TS, "A Comparative Study on the Stress, Coping Method, and Mental Health of the Nursing College Students in Korea and China",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17(1), pp. 75-84, 2008. 

  35. Shrauger, J. S., & Terbovic, M. S., "Self-evaluation and Assessments of performance by self and others",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44, pp. 564-572, 1976. 

  36. Kim, GE., "The Relation of parental evaluation of children, self-esteem and child-rearing attitudes to children's self-esteem", Pusan National University graduate school, 1987 

  37. Kaluger, G. & Kaluger, M.F., "Human Development: The Span of Life, Second Edition", St. Louis: The C.V. Mosby Company, 1979. 

  38. Mussen, P.H., Conger, J.J., & Kagan, J., " Child development and personality.(5th ed)", New York: Harper & Row, 197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