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주산 배초향 지상부에서 얻은 정유의 조성과 항산화 효과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Composition of Essential Oil from the Herbs of Jeju Agastache rugosa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22 no.2 = no.142, 2012년, pp.156 - 160  

문영건 ((주)해이래) ,  홍준석 ((주)해이래) ,  송민호 ((주)해이래)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수증기증류법으로 얻은 제주산 배초향의 정유는 DPPH radical 소거활성이 현저하게 뛰어나는 것을 확인할 수가 있었다. 제주산 배초향의 유효성분을 확인하기 위해 정유성분을 GC-MS로 분석한 결과 각 성분의 retention time및 mass spectral data의 표준 물질과의 비교에 의해서 Pulegone, L-menthone, DL-limonene, Isopulegone, beta-caryophyllene, beta-myrcene, estragole. 등의 정유성분이 확인되었다. 이 연구에서 밝혀진 여러 성분들은 천연유기합성물로 항산화 활성이 잘 알려져 있어 이들이 그 유효성분으로 추측된다. 연구결과 제주산 배초향 정유는 식품 보존제 및 항산화 대체 물질로 개발이 적합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essential oil obtained by steam distillation of the herbs of Jeju Agastache rugosa has shown significant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For the elucidation of its volatile components, the essential oil was analyzed by GC-MS. Each component was identified by GC or mass spectral analysis. The 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제주산 배초향과 국내산 배초향의 지상부에서 추출한 정유 성분에 대하여 비교 분석하였으며, 또한 DPPH radical 소거활성을 측정하여 배초향에 정유 성분의 활용성을 높이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 추출된 정유를 gas chromatography와 mass spectrometer가 부착된 GC-MS를 이용하여 Table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조건 하에서 분석하였다. 이 연구에서 정유 성분 분석 목적은 각 화합물의 농도 개념의 정량적 분석이 아닌 채집된 3종의 시료들(제주산 배초향, 전남 및 경북산 배초향)간의 정유성분화합물의 조성을 비교하기 하기 위한 것으로 GC-MS분석 후 각 화합물의 peak의 면적으로 화합물의 조성을 상대 비교하였다. 표준품으로 사용된 isomenthone, anethole, vanillin, eugenol, emthyleugenol은 Sigma사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배초향이란? 본 연구에서 사용한 배초향(排草香, Agastache rugosa)은 꿀풀과 (Labiatae)에 속하는 다년초로서 착생 후 군락을 이루고 척박한 산야에서도 생장력이 강하다. 또한, 지리적으로는 동북아에 분포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남부 지방에 야생하거나 일부 재배되고 있는 토착 식용자원이다.
허브의 어떤 부분이 향신료로 사용되는가? 허브(방향성 식물)는 잎, 꽃, 뿌리, 줄기, 열매 등에서 독특한 향과 맛이 있어 향신료와 항산화제 등으로 많이 사용되어 왔으며, 최근에는 건강 보조제, 화장품 등의 기능성 위주로 이용량이 계속 증가하고 있다. 특히 허브산업은 최근 로하스와 더불어 국내시장에서 고부가가치 전략산업으로 전망되어 식용, 약용, 관상용 등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4].
허브를 이용한 제품화의 예시를 말해보시오. 국내 허브산업 발전을 위한 관상용, 분화형태, 식용자원화, 허브제품 등 다각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허브는 기능성과 효능이 알려지면서 식용 및 화장품용, 입욕제 등으로 널리 이용되는데, 배초향, 로즈마리 등은 향신료, 샐러드, 오일, 비빔밥 재료 등으로 이용되며, 로즈마리, 라벤더, 페퍼민트 등을 비롯한 도입허브와 배초향, 감국, 구절초, 작약 등의 자생허브는 주로 화장품용으로 이용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Ahn, B. and C. B. Yan. 1996. Volatile flavour component s of bangah (Agastache rugosa O. Kuntze)herb. Korean J. Food Sci. Technol. 23, 582-586. 

  2. Ames, B. N. and R. L. Saul. 1987. Oxidative DNA damage, cancer and aging. Oxygen and human disease. Am. Inter. Med. 107, 536-539. 

  3. Charles, D. J., J. E. Simon, and M. P. Widrlechner. 1991. Charaterization of essential oil of Agastache species. J. Agric. Food Chem. 39, 1946-1949. 

  4. Chung, H. J. and K. L. Noh. 2000. Screening of electron donating ability, antibacterial activity and nitrite scavenging effect of some herbal extracts. Korean J. Soc. Food Sci. 16, 372-377. 

  5. Fuentes-Granados, R. G. and M. P. Widrlechner. 1997. Inheritance of antocyanin production of malate dehydrogenase isozymes in Agastache rugosa (Fisher & Meyer). Kuntze. Hort Sci. 32, 733-734. 

  6. Fujita, S. and Y. Fujita. 1972. Miscellaneous contributions to the essential oils of the plants from various territories. XXIX. Essential oil of Agastache rugosa O. Kuntze(5). Sesquiterpene hydrocarbons in the oil. Yakugaku Zasshi. 92, 908-909. 

  7. Han, D. S., Y. C. Kim, S. E. kim, H. S. Ju, and S. J. Byun. 1987. Studies on the diterpene constituent of the root of Agastache rugosa O. Kuntze. Korean J. Pharmacogn. 18, 99-102. 

  8. Han, D. S. 1987. Triterpenes from the root of Agastache rugosa. Korean J. Pharmacogn. 18, 50-53. 

  9. Jhee, O. H. and C. B. Yang. 1996. Anoxidative activity of extract from bangah herb. Korean J. Food Sci. Technol. 28, 1157-1163. 

  10. Kim, S. K., S. C. Lee, G. G. Min, S. P. Lee, and B. S. Choi. 1998. Effects of organic matter applications on essential oil contents and composition in Anthriscus sylvestylis Hoffm. Korean J. Medicinal Crop Sci. 6, 16-20. 

  11. Kim, T. J. 1996. Korean Resources Plants. pp. 44, Publishing center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12. Lee, H. K., S. R. Oh, J. I. Kim, J. W. Kim, and C. O. Lee. 1995. Agastaquinone, a new cytotoxic diterpenoid quinone from Agastache rugosa. J. Nat. Prod. 58, 1718-1721. 

  13. Lee, H. Y., S. J. Byon, S. R. OH, J. I. Kim, Y. H. Kim, and C. O. Lee. 1987. Diterpenoids from the root s of Agastache rugosa and their cytotoxic activities. Korean J . Pharmacogn. 25, 319-327. 

  14. Lee, J. C., Y. H. Choi, and Y. H. Kim. 1994. Essential oil in aerial part of Agastache rugosa O. Kuntz. Korean J. Medicinial Crop Sci. 2, 168-173. 

  15. Lee, S. W., J. B. Kim., K. S. Kim, and M. S. Kim. 1999. Change of growth characteristics rosmarinic acid and essential oil content according to harvest time in Agastache rugosa O. Kuntze. Korean J. Medicinal Crop Sci. 7, 83-88. 

  16. Min, B. S., M. Hattori, H. K. Lee, and Y. H. Kim. 1999. Inhibitory constituent s against HIV-1 protease from Agastache rugosa. Arch. Pharm. Res. 22, 75-77. 

  17. Nguyen, X. D., D. C. Luu, H. T. Nguyen, D. M. La, V. H. Le, and P. A. Leclercq. 1996. Constituent s of the leaf and flower oils of Agastache rugosa (fisher & Meyer ) Kuntze from Vietnam. J. Essent. Oil Res. 8, 135-138. 

  18. Oh, S. R., K. Y. Jung, and H. K. Lee. 1996. In vitro anticomplementary activity of phenylpropanoids from Agastache rugosa. Korean J. Pharmcogn. 27, 20-25. 

  19. Shin, S. H., H. K. Kim, and H. J. Chi. 1991. Production of giant hyssop oil by plant tissue culture. Korean J. Pharmacogn. 22, 91-94. 

  20. Sun, S. W. and K. S. Byun. 1997. Application of the Natural Flavor from Plants. Korean J. Corp Sci. 42, 49-57. 

  21. Wilson, L. A., N. P. Senechal, and M. P. Widerlechner. 1992. Headspace analysis of the volatile oils of Agastache. J. Agric. Food Chem. 40, 1362-1366. 

  22. Fujita, Y. and S. Fujita. 1965. Japanese Chemical Letters, 86, 635.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